[우리말 산책] 음식은 익숙하지만 이름은 낯선 ‘꼼치’

엄민용 기자 2024. 1. 14. 20:0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애주가들이 좋아하는 해장거리 중 하나가 ‘곰칫국’이다. 겨울이 제철인 음식이기도 하다. 묵은 김치를 넣어 칼칼한 맛이 나게 끓이는 것이 일반적인 조리법이다. 김치 대신 무와 대파를 넣어 담백한 맛이 나게 끓여 내기도 한다. 국에 들어가는 생선 살이 유난히 흐물거려 식감은 별로다. 하지만 국물 맛이 좋아 찾는 사람이 많다. 예전에는 주로 바닷가의 음식점에 가야 맛볼 수 있었지만 요즘에는 도심에서도 쉽게 그 맛을 즐길 수 있다.

그러나 곰칫국이라는 이름과 달리 곰치는 식용으로 쓰이지 않는다. ‘진짜’ 곰치는 뱀장어처럼 가늘고 길며 날카로운 이빨 때문에 사납게 보이는 생선이다. 바닷속 생태계를 다룬 다큐멘터리 등에서 볼 수 있는, 산호초 속에 숨어 있다가 불쑥 튀어나와 사냥을 하는 흉측한 생김새의 물고기다. 비늘이 없는 곰치 피부의 점액에는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곰치를 먹는 사람은 없다.

현재 시중의 곰칫국에 들어가는 생선의 바른 이름은 ‘꼼치’다. 지역에 따라 ‘물텀벙’ ‘물곰’ ‘물잠뱅이’ 등으로 불리는 생선 대부분이 ‘꼼치’다. ‘꼼치’ 대신 ‘물메기’나 ‘미거지’를 음식 재료로 쓰기도 한다. 꼼치·물메기·미거지는 비슷하게 생겼지만 엄연히 다른 물고기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이들의 구분법을 상세하게 담은 포스터를 제작해 배포하기도 했다. 하지만 현재 <표준국어대사전>에 꼼치와 물메기는 등재돼 있으나 미거지는 올라 있지 않다. <표준국어대사전>의 보완이 필요하다.

이들을 가리키는 한자어로는 주로 ‘해점어(海鮎魚)’가 쓰였다. ‘점어’는 누구나 아는 ‘메기’다. 즉 해점어는 ‘바다메기’라는 의미다. 생김새 역시 민물 메기와 닮았다. 조선 후기의 학자 정약전은 <자산어보(玆山魚譜)>에서 이들을 ‘미역어(迷役魚)’라는 이명(異名)으로 다루면서 “살과 뼈는 연하고 부드러우며 맛은 싱겁지만 능히 술병을 다스린다”고 기록했다. 예부터 해장국의 재료로 널리 먹어 왔음을 보여 주는 사례다. 한자말 ‘미역어’가 순우리말 ‘미거지’와 발음이 비슷한 것도 흥미롭다.

엄민용 기자 margeul@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