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산책] 음식은 익숙하지만 이름은 낯선 ‘꼼치’
애주가들이 좋아하는 해장거리 중 하나가 ‘곰칫국’이다. 겨울이 제철인 음식이기도 하다. 묵은 김치를 넣어 칼칼한 맛이 나게 끓이는 것이 일반적인 조리법이다. 김치 대신 무와 대파를 넣어 담백한 맛이 나게 끓여 내기도 한다. 국에 들어가는 생선 살이 유난히 흐물거려 식감은 별로다. 하지만 국물 맛이 좋아 찾는 사람이 많다. 예전에는 주로 바닷가의 음식점에 가야 맛볼 수 있었지만 요즘에는 도심에서도 쉽게 그 맛을 즐길 수 있다.
그러나 곰칫국이라는 이름과 달리 곰치는 식용으로 쓰이지 않는다. ‘진짜’ 곰치는 뱀장어처럼 가늘고 길며 날카로운 이빨 때문에 사납게 보이는 생선이다. 바닷속 생태계를 다룬 다큐멘터리 등에서 볼 수 있는, 산호초 속에 숨어 있다가 불쑥 튀어나와 사냥을 하는 흉측한 생김새의 물고기다. 비늘이 없는 곰치 피부의 점액에는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곰치를 먹는 사람은 없다.
현재 시중의 곰칫국에 들어가는 생선의 바른 이름은 ‘꼼치’다. 지역에 따라 ‘물텀벙’ ‘물곰’ ‘물잠뱅이’ 등으로 불리는 생선 대부분이 ‘꼼치’다. ‘꼼치’ 대신 ‘물메기’나 ‘미거지’를 음식 재료로 쓰기도 한다. 꼼치·물메기·미거지는 비슷하게 생겼지만 엄연히 다른 물고기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이들의 구분법을 상세하게 담은 포스터를 제작해 배포하기도 했다. 하지만 현재 <표준국어대사전>에 꼼치와 물메기는 등재돼 있으나 미거지는 올라 있지 않다. <표준국어대사전>의 보완이 필요하다.
이들을 가리키는 한자어로는 주로 ‘해점어(海鮎魚)’가 쓰였다. ‘점어’는 누구나 아는 ‘메기’다. 즉 해점어는 ‘바다메기’라는 의미다. 생김새 역시 민물 메기와 닮았다. 조선 후기의 학자 정약전은 <자산어보(玆山魚譜)>에서 이들을 ‘미역어(迷役魚)’라는 이명(異名)으로 다루면서 “살과 뼈는 연하고 부드러우며 맛은 싱겁지만 능히 술병을 다스린다”고 기록했다. 예부터 해장국의 재료로 널리 먹어 왔음을 보여 주는 사례다. 한자말 ‘미역어’가 순우리말 ‘미거지’와 발음이 비슷한 것도 흥미롭다.
엄민용 기자 margeul@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무료 공영주차장 알박기 차량에 ‘이것’ 했더니 사라졌다
- ‘블랙리스트’ 조윤선 서울시향 이사 위촉에 문화예술계 등 반발
- [전문] 아이유, 악플러 180명 고소…“중학 동문도 있다”
- 미납 과태료 전국 1위는 ‘속도위반 2만번’…16억원 안 내고 ‘씽씽’
- 고작 10만원 때문에…운전자 살해 후 차량 불태우고 달아난 40대
- 평화의 소녀상 모욕한 미국 유튜버, 편의점 난동 부려 검찰 송치
- “내가 죽으면 보험금을 XX에게”···보험금청구권 신탁 내일부터 시행
- 경북 구미서 전 여친 살해한 30대…경찰 “신상공개 검토”
- 가톨릭대 교수들 “윤 대통령, 직 수행할 자격 없어” 시국선언
- 김종인 “윤 대통령, 국정감각 전혀 없어” 혹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