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춘추] 어떤 의리를 지킬 것인가

2024. 1. 14. 17: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화와 칼'.

일본인 스스로도 의리를 일본 고유의 문화로 받아들이는데, 이는 서양이나 다른 나라에는 없는 개념이라는 것이다.

그가 말하는 일본의 의리는 자신에게 은혜를 베푼 사람에게 목숨까지 바쳐 반드시 보답하는 것을 말한다.

그것이 일본의 의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화와 칼'. 미국의 인류학자인 루스 베니딕트가 1946년 지은 불후의 명저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맞닥뜨린 일본인의 행태는 서양인의 눈으로는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일이 많았다. 자신의 목숨을 내걸고 자살 공격을 감행하고 패배의 책임을 할복으로 갚았다.

미국 정부는 일본군의 정신문화를 파헤쳐줄 것을 베니딕트에게 의뢰했다. 베니딕트는 미국에 거주하는 일본인의 증언과 일화, 문헌조사, 관찰을 통해 일본 문화, 풍습의 심층을 해부했다.

그중에서 베니딕트는 일본인이 아니라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그들의 '의리'(義理, 일본어로 '기리(ぎり)')를 발견하게 된다. 일본인 스스로도 의리를 일본 고유의 문화로 받아들이는데, 이는 서양이나 다른 나라에는 없는 개념이라는 것이다.

그가 말하는 일본의 의리는 자신에게 은혜를 베푼 사람에게 목숨까지 바쳐 반드시 보답하는 것을 말한다. 일본의 문화를 '은(恩)의 문화'라고 말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그것이 일본의 의리다. 그렇다면 베니딕트가 말한 대로 의리는 일본에만 있는 유일한 문화인가? 틀렸다.

우리나라에도 의리의 문화가 있다. 그것도 삼국 시대부터다. '의리학'이라는 이름으로 존재한 의리는 우리 선비들의 최고 화두였다. 그렇다면 우리의 의리와 일본의 의리는 무엇이 다른가?

우리의 '의리학'은 무엇이 옳은가, 무엇이 정의인가를 밝히는 학문이었다. 엄정하고 치열했다. 그리고 '의리'란 정의롭고 옳은 것을 행하는 것을 의미했다.

의리에는 두 가지가 있다고 했다. 하나는 소의, 하나는 대의다. 소의는 작은 의리, 즉 나에게 베푼 자에게 보은하는 것이다. 대의는 이를 뛰어넘어 더 많은 사람에게 의로움을 행하는 일이다.

소의라 하지만, 은혜를 베푼 자에게 보답하는 것은 인간이라면 마땅히 행해야 할 도덕적 의리이다. 문제는 소의와 대의가 부딪칠 때이다. 이때는 말할 것도 없이 대의가 우선한다는 것이 우리 선조의 정신이었고, 우리가 배워온 가르침이었다.

우리 선비들은 소의에 연연하는 사람을 소인(小人)이라 했고, 용감하게 대의를 행하는 사람을 대인(大人)이라 했다. 선비에게 소인이라 칭하는 것은 최악의 욕이었고 소인배라며 무리 배(輩)자를 붙여 경멸의 의미를 더했는데 거기에는 대인보다 소인의 수가 더 많을 수밖에 없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우리 선비들의 의리는 무엇이 옳은지를 탐구하고 이를 실천으로 추구하는 것이었지, 은혜를 베푼 사람에게 목숨 바쳐 보답하는 것이 아니었다. 사무라이의 의리 문화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우리 선비들의 의리 문화와 교잡되어 버린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 일본 사무라이 문화의 의리와 선비 문화의 의리는 다른 것이었다.

정치적 선택의 계절이 다가왔다. 어떤 의리를 선택할 것인가. 소의와 대의. 개념은 간단해 보이지만, 기실 무엇이 소의이고 무엇이 대의인지 정의하는 것은 분명한 철학과 논리가 요구되는 우리 선비들의 지난한 명제였고, 이를 선택하는 것은 한 인간의 인격과 목숨마저 건 모험이기도 했다. 냉철한 분별이 요구되는 계절이 왔다.

[최민호 세종특별자치시장]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