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초교 17.8%가 평균 통학거리 1.5㎞ 넘는다

이병희 기자 2024. 1. 13. 07: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평균 통학거리가 1.5㎞를 초과하는 경기도내 초등학교가 전체의 17.8%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도시에서는 평균 통학거리의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농촌에서는 1㎞ 이상의 통학거리를 가진 학교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실질적으로 도보 통학이 어려운 평균 통학거리가 1.5㎞ 초과 학교 204개교 중 57.8%(118개교)만이 스쿨버스를 운영했으며, 해당 학교 학생의 21.6%만이 스쿨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기연구원 "204개 학교"
그중 58%만 스쿨버스 운행
도·농 불균형도 심해
[서울=뉴시스] 등교하는 학생들 (사진=뉴시스 DB). photo@newsis.com


[수원=뉴시스] 이병희 기자 = 평균 통학거리가 1.5㎞를 초과하는 경기도내 초등학교가 전체의 17.8%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주로 농촌지역의 어린이 통학거리가 1㎞ 이상으로, 도시와 농촌의 불균형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경기연구원에 따르면 연구원은 '어린이 스쿨버스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는 지난해 9월12일~10월 16일 통학버스 이해관계자인 학부모, 교사·운영자, 운전기사 등 1846명을 대상으로 통학버스 효율적 운영 개선 및 만족도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한 내용이 담겼다.

먼저 초등학교별 학구도(통학구역) 면적을 원으로 가정해 그 반경을 통학거리로 산출했다. 학구도 정보가 있는 도내 초등학교 1147개교의 평균 통학거리는 860m, 중앙값은 530m로 분석됐다.

평균 통학거리가 1.5㎞를 초과하는 학교는 204개교(17.8%)로 나타났다. 도시에서는 평균 통학거리의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농촌에서는 1㎞ 이상의 통학거리를 가진 학교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시군별로는 가평군이 3㎞로 가장 멀었는데, 이는 지도상 직선거리로 실제 교량 등을 지나는 통학거리는 더 늘어날 수 있다. 실제로 통학거리 최댓값이 가평군(9.68㎞)에서 나왔다. 통학거리가 가장 짧은 곳은 안양시로 400m였다.

연구원이 초등학생 1475명에게 물은 평균 등교 소요시간은 도시형(801명)은 11.7분, 농촌형(674명)은 14.0분이었다. 이들의 통학 교통수단은 도시형은 도보가 57.4%로 높은 비중이었지만 농촌형은 통학버스 44.4%·승용차 28.7%를 주로 이용했다.

실질적으로 도보 통학이 어려운 평균 통학거리가 1.5㎞ 초과 학교 204개교 중 57.8%(118개교)만이 스쿨버스를 운영했으며, 해당 학교 학생의 21.6%만이 스쿨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쿨버스의 필요성에 대해 전체 학부모의 67.3%(993명)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농촌지역의 경우 83.6%(564명)로 특히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스쿨버스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으로는 학부모의 58.4%(869명), 교사·운영자의 87.0%(134명)가 통학차량 운영에 대한 통합관리가 필요하다고 했다.

연구원은 도내 초등학교 중 20명 이하인 학교가 전체 약 18%에 달한다며, 지속되는 저출생 현상으로 초등학교 통폐합이 가속화돼 경기도 어린이의 통학거리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연구원은 어린이 스쿨버스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으로 ▲통학지원대상 명료화 및 지원범위 확대를 위한 경기도 학생 통학지원 조례 개정 ▲실태조사자료를 기반으로 통학거리와 학교별 학생수를 고려한 통학지원 우선순위 선정 ▲스쿨버스 운행의 3단계 책임안과 단위학교 책임운영에서 교육청 통합관리로의 전환 등을 제시했다.

구동균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방치된 스쿨버스 운영에 대한 문제를 이제는 해결해야 할 때”라며 “교육청 통합관리 기반으로 교육청, 교육지원청, 경기도와 31개 시군, 학부모와 운영자 등 모든 이해당사자가 함께 고민해 경기도 어린이 스쿨버스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도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iambh@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