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는 환자, 나는 중환자[나민애의 시가 깃든 삶]〈432〉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 사회에서 죽음은 일종의 터부다.
그러나 이어령의 마지막 책에는 죽음은 터부가 아니라는 강조가 나온다.
나의 죽음을 생각하면 오늘은 더 잘 살고 싶어진다.
그러나 소중한 사람의 죽음은 또 다른 이야기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략)
벚꽃이 피었다가 지고
번개가 밤하늘을 찢어 놓던 장마가 지나갔다
새로 이사 간 집 천장에 곰팡이가 새어 나오듯
석 달 만에 작은 혹이 주먹보다 더 커졌다
착한 암이라고 했는데 악성 종양이었다
엄마는 일주일 동안 구토 증상을 겪었지만
나는 아무것도 해 줄 수 없었다
엄마의 피가 흐르는 내 심장을 만지며 생각한다
엄마는 나 없이 살아갈 수 없는 환자이고
나는 엄마 없이 살아갈 수 없는 중환자라는 걸 알았다
―이병일(1981∼)
우리 사회에서 죽음은 일종의 터부다. 죽음은 감춰야 하는 것, 두려운 것, 도망쳐야 하는 대상이다. 그러나 이어령의 마지막 책에는 죽음은 터부가 아니라는 강조가 나온다. 죽음은 생명의 뒷면이니까 오히려 그것을 통해 삶을 알게 된다는 말이다. ‘죽음을 기억하라’는 메멘토 모리의 정신은 우리를 조금 더 씩씩하게 만든다. 나의 죽음을 생각하면 오늘은 더 잘 살고 싶어진다. 그러나 소중한 사람의 죽음은 또 다른 이야기다. 그 사람이 없어지면 나는 어떻게 사나. 그 이별을 어떻게 감당할 수 있을까. 이런 생각이 공포가 되어 밀려온다.
이병일 시인의 이 시는 ‘처음 가는 마음’이라는 청소년 시집에 실려 있다. 시인은 성인이지만 시집에는 청소년의 시선에서 쓴 작품들이 담겨 있다. 그중에서도 이 시의 마지막 구절이 가슴에 확 꽂힌다. 엄마는 진짜 환자, 나는 엄마 없이 못 산다는 의미에서 중환자라고 쓰여 있다. 엄마 없이는 못 살 것 같은 이가 청소년뿐일까. 독립적이지 못하다고 누군가 비난한대도 어쩔 수 없다. 소중한 이를 아끼고 살자. 임영웅 콘서트 티켓을 구하려고 애쓰신 모든 분과 이 시를 함께 읽고 싶다.
나민애 문학평론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野탈당 3인 ‘미래대연합’, 이낙연 ‘새로운 미래’…합종연횡 본격화
- 美英, 예멘반군 60개 표적 대대적 폭격… 중동 확전 위기
- 대통령실, ‘바이든-날리면’ 정정보도 선고에 “정부·외교 신뢰 회복 계기”
- “저도 한가입니다” 한동훈 한마디에 빵 터졌다
- 이재명측 “당분간 출석 어렵다” vs 재판부 “그러면 끝 없어…李없어도 23일 재개”
- [단독]만취운전 사고 낸 소방관 구속…한 달간 음주운전 적발만 세 차례
- 신문, 책 등을 멀리서 보는 40세 이상이다
- “반중·친중 보단 경제” 제3후보 커원저, 20% 득표 성공할까
- 文 전 대통령, 홍익표 만나 “조금 더 통합적으로 당 운영해야”
- ‘흉기관통’ 이재명 셔츠, 의료용 쓰레기봉투서 폐기 직전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