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태 기자의 책에 대한 책] 책은 정신적 티켓이며, 인생 경유지에서 만나는 명상이다

김유태 기자(ink@mk.co.kr) 2024. 1. 12. 17: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르헨티나의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가 노벨상을 받지 못하고 1986년 사망했을 때, 분개한 팬들은 한림원에 야유를 보냈다.

그런데 앞을 못 보는 보르헤스는 책을 어떻게 읽었을까.

칩거와 은둔으로서의 독서(상아탑의 독자)는 낡아빠졌고, 남김없이 먹어치우는 과식으로서의 독서(책벌레인 독자)는 과욕이다.

책은 그러므로 한 권의 정신적 티켓인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독서는 나 아닌 타자, 내가 속한 세상이 아닌 이계로의 여행

아르헨티나의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가 노벨상을 받지 못하고 1986년 사망했을 때, 분개한 팬들은 한림원에 야유를 보냈다. '보르헤스에게 노벨상을 주지 않은 건 그의 수치가 아닌 노벨상의 수치다.'

그런 보르헤스가 인생 말년에 완전히 실명했던 일화는 유명하다. 유전적 결함 때문이었다. 그런데 앞을 못 보는 보르헤스는 책을 어떻게 읽었을까. 덜 알려진 사실이지만 보르헤스는 1964년 한 서점을 찾았다가 직원으로 일하던 학생을 만나게 된다. 노작가는 16세였던 학생에게 부탁했다. "큰 소리로 책을 읽어 달라"고.

나이 차를 초월한 노인과 소년의 만남은 4년간 이어졌고 소년은 수십 년 뒤 국립도서관장으로 임명된다. 노스승이 오래전에 앉았던 바로 그 자리였다. 소년의 이름은 알베르토 망구엘. 그는 전 세계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최고의 다독가(多讀家)로 명성을 떨치고 있다.

망구엘의 책 '은유가 된 독자'는 책 읽는 인간을 세 부류로 나눠 사유하는 책이다. 고대 문헌부터 전자책까지 20세기와 21세기의 독서를 성찰한다. 책에 따르면 독자(讀者)는 세 번 진화했다. 첫 번째 유형은 '여행자로서의 독자'였다. 책은 하나의 길이며, 독서는 근원으로의 여행이다. 종이와 잉크로 구성된 세계를 염탐하고 관조하면서 타자와 세계를 바라보는 여행자. 그런 독서는 삶의 길을 도모케 한다.

인류의 두 번째 독서 유형은 '상아탑에 갇힌 독자'였다. 상아탑의 독자는 둘러싸인 책으로 자신을 세상으로부터 엄폐하는데, 그 결과 칩거한 지식인은 '세상의 의무를 기피하는 자'의 동의어가 됐다.

마지막 유형인 '책벌레로서의 독자'도 이상적 책 읽기와 거리가 있다고 망구엘은 간파한다. 닥치는 대로 책을 읽어도 피와 살이 되는 건 아니기 때문이다. 칩거와 은둔으로서의 독서(상아탑의 독자)는 낡아빠졌고, 남김없이 먹어치우는 과식으로서의 독서(책벌레인 독자)는 과욕이다. 둘 다 '죽은 독서'다. "세상은 신이 인간에게 읽힐 요량으로 편찬한 책이라 할 수 있다. 책에 생명을 불어넣는 것은 독자의 숨결이다"라고 망구엘은 쓴다. 책을 읽는다는 건 나 아닌 타자, 내가 속한 세상이 아닌 이계로의 여행이다. 책은 그러므로 한 권의 정신적 티켓인 것이다.

책도 밥이다. 인간은 식탁 위의 밥만 먹고 살지 못한다. 독서는 지혜를 얻고 영혼을 살찌우는 정신의 섭식행위다. 가려 읽는 것도, 닥치는 대로 읽는 것도 정신의 독서에는 방해가 된다. 단 한 줄을 읽어도 자신의 내부에서 꼭꼭 씹어 소화시키는 독서가 중요하다. 소화불량에 걸리지 않으려면 말이다. 첫 장을 열어젖힌 책은 마지막 페이지까지 장악하고야 말겠다는 강박관념도, 한 해에 수십 권 책을 읽겠다는 고집도 헛수고다. 단 한 줄의 언어도 꼭꼭 씹어 삼키기. 그게 독서의 이상이다.

더는 앞을 보지 못하지만 모든 걸 보는 중인 노작가가 소년 망구엘에게 이식했던 건 한 줄의 문장을 대하는 마음이었을 것이다.

망구엘은 그 마음을 평생에 걸쳐 음미했던 책의 미식가다.

[김유태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