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이중구조… 중소기업 이직자 중 대기업 간 사람 12%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노동시장 이중구조(고용 형태에 따른 임금 격차)를 개선하기 위해 임금제도 개편, 고용상 차별 금지, 포괄임금제 혁파 등의 근본적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노동계ㆍ학계 제안이 나왔다.
고용노동부는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을 위해 대기업 선의에 기댄 '원ㆍ하청 상생 협약 체결'을 추진하고 있지만, 현장 판단은 달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주도해 직무급제 전환·포괄임금제 혁파해야"
노동시장 이중구조(고용 형태에 따른 임금 격차)를 개선하기 위해 임금제도 개편, 고용상 차별 금지, 포괄임금제 혁파 등의 근본적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노동계ㆍ학계 제안이 나왔다. 고용노동부는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을 위해 대기업 선의에 기댄 ‘원ㆍ하청 상생 협약 체결’을 추진하고 있지만, 현장 판단은 달랐다.
12일 양대노총과 박수근 한양대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 정흥준 서울과학기술대 경영학과 교수 등이 참여한 ‘노동시장 이중구조의 원인과 대책’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과 2021년 사이에 이직한 중소기업 노동자 가운데 대기업으로 옮긴 비율은 11.8%인 반면 중소기업으로 옮긴 비율은 88.2%였다.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이동할 기회가 그만큼 적다는 뜻이다. 이 기간 대기업 이직자 가운데 39.8%는 대기업, 60.2%는 중소기업으로 이동한 것과도 비교된다.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이동할 가능성도 2006년 45%에서 2020년 12%까지 줄었다. 반대로 정규직이 정규직을 유지할 가능성은 2006년 86%에서 2020년 93%로 늘었다. 아울러 임금 격차도 나타났다. 2022년 기준 중소기업 임금은 대기업의 65%였고, 비정규직 임금은 정규직의 70%였다.
어떤 기업에 취업하느냐가 심각한 고용 조건 차별로 나타나는 이중구조를 개선하려면 기업에만 맡겨서는 안 된다는 게 연구진의 입장이다. 특히 연공형 임금체계를 직무 중심 임금체계로 전환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정흥준 교수는 “우리나라 임금은 남성ㆍ고학력ㆍ정규직ㆍ대기업이라는 ‘신분 요인’이 있으면 올라가고, 고객 상대 등 정서적으로 어려운 일을 하거나 서서 일하거나 휴식 없이 일하거나 야간에 일할수록 낮아졌다”며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줄이기 위해서는 신분 요인을 낮추고 직무 특성을 더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연구진은 하청업체ㆍ플랫폼노동자 등 고용약자를 위한 제도 개선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노란봉투법(노조법 2, 3조 개정안)을 다시 추진해 원ㆍ하청 격차를 줄일 것을 제언했다. 박수근 교수는 “5인 미만 사업장에 근로기준법을 적용하고, 최저임금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 플랫폼ㆍ특수고용 노동자를 보호하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며 “장시간 노동을 조장하고 시간 외 근로를 절도하는 포괄임금제를 폐지해야 한다”고 했다.
정지용 기자 cdragon25@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빅텐트' 광풍? '꼬마 민주당' 미풍?... '이낙연 신당' 항로는
- "만난 지 1년 넘어"...서정희, 6살 연하 남자친구 최초 공개 ('동치미')
- "4월 결혼 안 돼"...원혁 父, 예비 사돈 이용식에 폭탄선언
- '솔로지옥3' PD, 메기로 조민지 선택한 이유 [인터뷰]
- '양육비 8000만 원 미지급' 피소 김동성 측 "경제적으로 어려워"
- 양세형 "100억대 건물주, 좋은 게 없어...주식이나 할 걸" ('옥문아')
- 봉준호 감독 "故 이선균 사망, 제2의 피해자 나오지 않길"
- '바이든, 날리면' 소송, 외교부 승소... 법원 "MBC 정정보도하라"
- "핏줄은 무조건 가족?"…구하라 유족·박수홍 변호인이 말하는 상속 정의
- "자식처럼 키워" 친형 최후진술에…박수홍 측 "그런 분이 수십억 횡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