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CDMA 상용화…서정욱 전 과기부 장관 별세

이충원 2024. 1. 12. 09:3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기술인 트랜지스터를 산업화한 건 일본이었고,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기술을 상용화한 건 한국이었다.

1996년 1월 세계 최초 CDMA 상용화를 이끌며 디지털 시대를 개막한 서정욱(徐廷旭) 전 과학기술부 장관이 11일 오전 5시30분께 경기도 용인의 한 병원에서 노환으로 세상을 떠났다고 유족이 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이충원 기자 = 미국 기술인 트랜지스터를 산업화한 건 일본이었고,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기술을 상용화한 건 한국이었다. 1996년 1월 세계 최초 CDMA 상용화를 이끌며 디지털 시대를 개막한 서정욱(徐廷旭) 전 과학기술부 장관이 11일 오전 5시30분께 경기도 용인의 한 병원에서 노환으로 세상을 떠났다고 유족이 전했다. 향년 90세.

1934년 11월 서울에서 태어난 고인은 휘문고, 서울대 전기공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텍사스A&M대에서 유학했다. 국방과학연구소(ADD) 창설 멤버로 들어가 진공관식 구형 무전기를 대체할 트랜지스터형 소형 경량 무전기를 개발하는 등 군 통신기기 개발 전문가로 이름을 떨쳤다. 1984년 1월 한국통신 TDX 사업단장으로 임명된 뒤 TDX 전자교환기 개발을 이끌었고, 이 공로로 한국통신 부사장, 과학기술처 차관, KIST 원장을 역임했다.

남들은 은퇴를 고민할 나이인 만 58세에 CDMA 상용화에 착수했다. 휴대전화는 1980년대 후반 이용자가 급증했지만,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AMPS)으로는 한계가 뚜렷했다. 당시 유력한 대체기술은 시분할다중접속(TDMA)이었지만 정부는 1989년 미 퀄컴사가 발표한 CDMA 기술을 채택하기로 했고, 1991년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미 퀄컴사와 계약을 체결하게 했다.

금성·삼성·현대·맥슨 등 4개 사가 뛰어들었지만 시스템 개발이 난항을 겪자 정부는 1993년 8월 체신부 장관 자문기구인 전파통신기술개발추진협의회와 한국이동통신(SK텔레콤의 전신) 이동통신기술개발관리사업단을 만들고, 양쪽 책임자로 고인을 임명했다. 이때부터 개발이 급속도로 진행돼 1년 후 시스템 개발을 끝내고 상용화 시험을 한 데 이어 1995년 11월 시험통화에 성공했고, 1996년 1월1일 세계 최초로 인천과 부천 지역에서 서비스를 개시했다. 같은해 4월12일부터 서울 지역에 CDMA 방식의 이동전화를 공급했다. '스피드 011'의 등장이었다.

1996년 4월1일 이수성 국무총리(오른쪽)로부터 금탑산업훈장을 받는 고인 [촬영 박창기]

당시만 해도 CDMA 서비스를 고려한 나라는 미국과 홍콩 등 일부에 지나지 않았지만, 일본이 자체 기술인 PDC 방식을 포기하고 CDMA로 바꾼 데 이어 중국, 페루, 캐나다, 필리핀, 이스라엘 등이 뒤를 따르면서 전 세계로 퍼졌다. 고인은 CDMA 상용화를 이끈 공로로 1996년 금탑산업훈장을 받았다.

이후 SK텔레콤 사장과 부회장, 초당대 총장, 1999∼2001년 과학기술부 장관을 지냈고, 이후에도 명지대·서울대·이화여대·공군사관학교·순천대 등에서 강의했다. 한국무역협회 전자무역추진센터 위원장으로도 활동했다.

'미래엘리트를 위한 뗄레마띠끄'(1990), '정보화사회의 길목에 서서'(1993), '한국의 2001년 설계'(1995), '미래를 열어온 사람들-통신과 함께 걸어온 길'(1997) 등 저서를 남겼고, 철탑산업훈장(1978), 국민훈장 동백장(1986), 황조근정훈장(1992), 정보통신대상(1996), 전자대상 한국공학한림원 대상(2002)을 받았다. 2018년 방위산업유공자로 인정됐다. 부인 이정숙씨는 "자기 일을 사랑했고, 열정적인 분이었다"고 말했다.

유족은 부인 이씨와 사이에 3녀(서윤석·서현지·서윤희)와 사위 진성철씨 등이 있다. 빈소는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17호실, 발인 13일 오전 10시30분, 장지 마석 정동제일교회 수양관. ☎ 02-3410-3151

chungwon@yna.co.kr

※ 부고 게재 문의는 팩스 02-398-3111, 전화 02-398-3000, 카톡 okjebo, 이메일 jebo@yna.co.kr(확인용 유족 연락처 필수)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