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바논 감옥에서 떠올린 한국, 한국인[알파고 시나씨 한국 블로그]

알파고 시나씨 튀르키예 출신·파이브스톤즈이엔티 부대표 2024. 1. 11. 23: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러스트레이션 박초희 기자 choky@donga.com
얼마 전에 레바논에서 끔찍한 일을 당했다. 레바논 정보 당국이 필자를 이스라엘 간첩으로 오인해 수사를 받은 것이다.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에 있는 한 교도소에서 3박 4일을 보내게 되었다. 이스라엘-레바논 관계가 극도로 민감해 확전 가능성까지 거론된 상황이라 지금 이 시점에 이스라엘 간첩으로 오해받아선 절대 안 되는 시기였다.
알파고 시나씨 튀르키예 출신·파이브스톤즈이엔티 부대표
그래도 처음엔 크게 겁을 먹지 않았다. 필자의 진술을 바탕으로 구글 검색을 해보면 쉽게 필자의 신분 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나라의 법 제도 때문인진 몰라도 수사가 너무 천천히 진행되어 시간이 갈수록 걱정이 커졌다. 그리고 호텔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도 아니고 교도소에서 지내다 보니 심리적, 위생적으로 힘든 상황을 감당해야 했다. 경제 상황이 나빠서 그런 건지 교도소에선 따뜻한 급식을 주는 게 아니라 늘 허브가 들어간 자타르라는 빵만 줬다.

보통 이런 경우에 처하면 일반 시민들은 수사 당국에 “우리 대사관과 통화하고 싶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필자는 그러고 싶지 않았다. 굳이 대사관에 있는 직원들을 필자의 일 때문에 바쁘게 만들고 싶지 않았다. 그러나 오랫동안 연락을 받지 못한 필자의 아내가 주레바논 대한민국 대사관에 연락했고, 덕분에 천천히 흐르던 수사가 급물살을 타서 나흘 만에 출소할 수 있었다. 이 나흘간 많은 생각이 머릿속을 오갔다.

레바논이 나를 이스라엘 간첩으로 오인한 건 단순히 예민한 시기이기 때문만은 아닐 것 같았다. 중동의 얼굴을 한 사람이 한국 여권을 가지고 있다면 의심을 사기 쉽다. 교도소에서 사람들은 필자를 ‘아부 하룬(하룬이 아빠)’ 아니면 ‘쿠리(한국인)’라고 불렀다. 필자는 ‘내가 아무리 한국인이라 해도 의미가 없네. 한국에서는 내가 한국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느꼈는데 외국에 나오니 그렇지 않구나’ 하고 생각했다.

보통 이렇게 감옥에 끌려 가면 오해였다고 해도 일찍 나와봐야 일주일이나 열흘 안에 나올 수 있다는데, 필자는 대사관 덕분에 일찍 석방될 수 있었다. 풀려나자마자 대사관 직원들이 연락해서 도와주고, 필자가 안전하게 레바논에서 나갈 때까지 동행했다. 본인 때문에 직원분들이 늦은 시간까지 퇴근하지 못해 엄청 미안하기는 했지만, 한편으론 고맙고 안심이 되었다.

모든 상황이 마무리되고 레바논 공항에서 두바이행 비행기를 기다리는데, 귀화 시험을 보던 날이 생각났다. 사실 필자는 1차 면접에서 떨어진 드문 케이스다. 한국에서 대학을 졸업한 사람이란 생각에 자만심이 생겨서 귀화 시험을 철저히 준비하지 않은 게 화근이었다. 아내는 내가 떨어지고 나니 “잘되었다. 통과하면 ‘대한민국의 무궁한 영광을 위하여 충성을 다할 것을 굳게 다짐합니다’라고 선서해야 하는데, 아직 그 말에 충분히 공감하지도 않으면서 거짓 맹세를 할 뻔하지 않았냐”고 했다. 사실이었다. 필자는 귀화 시험 면접을 통과하고 한국인이 된 지 얼마 안 된 분들이 이런 선서를 하는 것을 보고 좀 의아했다. 진짜일까? 진심으로 다짐하는 걸까? 하지만 귀화 시험에서 한 번 떨어지고 난 뒤 한국 독립과 관련된 영화를 보고 과거 한국인들이 이 나라를 얼마나 힘들게 세웠는지 공부하면서 그 선서에 어느 정도 공감하게 되었다.

그 덕일까. 6개월 뒤 다시 면접을 보고 아주 신속하게 시험을 통과해 한국 국민이 되었다. 그 이후에도 스스로에 대한 의심은 가시지 않았다. ‘나 진짜 한국인이 되었나?’ 그러나 그 의심들이 이번 레바논 사태로 싹 사라졌다. 필자는 한국에 살고 있고, 한국에서 돈을 벌고, 필자가 버는 돈으로 세금을 낸다. 그 세금으로 나라는 살림을 운용하고, 필자 같은 국민이 힘든 상황에 처해 있을 때 와서 구해준다. 이런 나라에 충성하지 않을 수 없다. 충성 선서는 그렇게 핏줄과 관계없이 우러나는 것이다.

요즘 이민청 개설 때문에 이주민과 관련한 많은 토론이 진행 중이다. 그러나 주로 이민자를 받아들여야 하는 이유, 즉 저출산 문제나 노동 시간 같은 것이 주된 주제다. 귀화, 귀화인과 관련한 이야기는 없다. 이민 와서 온전한 한국인이 된 귀화인들에 대한 이야기도 좀 있었으면 좋겠다. 한국인들에 대해서도 좀 토의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이러한 개인 경험을 공유한다.

알파고 시나씨 튀르키예 출신·파이브스톤즈이엔티 부대표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