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관인데 면접이 무섭습니다

이상돈 사람인 컨설팅사업실장 2024. 1. 11. 16:3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WEEKLY BIZ][Biz&HR] 질문·시선 처리 연습하며 ‘훈련’해야

WEEKLY BIZ 뉴스레터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46096

그래픽=김의균

Q. 면접관이지만 면접이 두렵습니다. 저는 얼마 전 리더가 된 개발자라 아직 소통이 서투릅니다. 제가 던진 질문이 미숙해 유능한 인재를 놓칠까 염려됩니다. 무심코 흘린 발언이 물의를 빚진 않을까 하는 우려도 합니다. 직책자가 된 이상 면접관 업무를 아예 피할 순 없겠지요. 하지만 적어도 후보자를 마주하기 전 두려움을 떨쳐 내는 노하우라도 알고 싶습니다.

A. 면접장을 겁내는 면접관. 구직자가 보기엔 황당할 수도 있겠으나 유난하거나 드문 고민은 결코 아닙니다. 사람인이 인사 담당자 377명을 대상으로 했던 설문에서도 무려 83%가 ‘면접에 어려움을 느낀다’고 조사된 바 있습니다. 면접 볼 때 어려운 부분은 구체적으로 ‘지원자 분별과 평가’(51.7%·복수 응답) ‘체계적인 면접 질문 구성’(48.3%) 등입니다.

면접장에서 ‘갑’의 위치인 면접관도 두려움을 느끼는 이유는 뭘까요. 그 이유는 전문 면접관이 아닌 이상 그들 역시 예전에 해 본 바가 거의 없는 낯선 업무를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해결책은 ‘훈련’입니다. 연습을 거듭해 경험을 충분히 쌓으면 극복에 무리가 없습니다. 그렇기에 채용을 앞둔 기업 중 상당수는 면접관 후보자를 대상으로 ‘모의 면접 시뮬레이션’을 진행합니다. 자세나 시선 처리, 제시할 질문 등을 미리 정리하고서 반복 숙달해 두면 실전에서 마주할 당혹감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전문 업체에서 제공하는 면접관 교육 프로그램을 수강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합니다. 면접 질문 작성 지침, 말을 건네는 요령과 평가 기준 수립 노하우, 후보자의 능력 및 조직 내 태도를 확인하는 방법 등을 체계적인 커리큘럼에 따라 제공하기 때문에 짧은 기간에 빠르게 면접 기술을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선 내부 역량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속한 조직 내에 노련하고도 우수한 면접 전문가가 몇몇 있는 상황이라거나 사내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교육 제도가 활성화된 기업이라면, 면접 전문가를 강사나 멘토로 삼는 수업을 개설해 달라고 회사 측에 요청하는 것도 유용한 전략입니다.

※직장 생활이나 취업 준비 과정에서 고민과 갈등이 있나요.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과 함께하는 Biz& HR(smchelp@saramin.co.kr)로 메일을 보내주세요! Biz& HR 주제로 선정되신 분께는 커피 기프티콘을 드립니다. 해당 답변은 작성자의 소견으로서 사람인의 공식 입장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WEEKLY BIZ 뉴스레터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46096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