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실은 민간, 속내는 군사…인도양 연구조사 열 올리는 중국

박병수 기자 2024. 1. 11. 15:4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9년 4월 중국 칭다오 국제관함식에서 공개된 095형 핵추진잠수함 창청호의 모습. 칭타오/로이터 연합뉴스

중국군과 연계된 연구조사선이 인도양을 누비며 광범위하게 해양과 해저 환경을 조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이 모으는 연구 자료들은 주로 잠수함 운항에 핵심적인 것이어서, 중국군의 영향력을 인도양까지 넓히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의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10일 2020년 이래 중국의 해양 연구조사선의 활동을 분석한 뒤 이런 내용의 보고서를 누리집에 올렸다. 이 자료를 보면, 중국은 2020년 이래 지금까지 13척의 배를 동원해 인도양에서 조사·연구 활동을 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들의 연구조사는 에너지 자원 탐사, 해양 생태계 등 민간 연구 목적이 포함돼 있지만 대부분 군사 목적으로도 전용할 수 있다. 이른바 민간-군수 이중 용도인 셈이다. 특히 이들 연구조사선은 모두 중국군 소속이거나, 중국군과 연계돼 있다. 사실상 군사적 목적을 띤 조사라고 볼 수 있는 셈이다.

한 예로 샹양훙 6호는 2020년 110일 동안 1만㎞를 항해하면서 인도양을 조사했다. 복잡한 바다 환경에 대한 자료를 축적하기 위해 해저 글라이더와 해상 부유물 등도 사용했다. 지난해엔 스옌 6호가 넉달 동안 인도양 동쪽 바다를 조사했다. 이들은 연구조사 활동 중에 중국군 항구에 기항하거나 특정 해역에서 자동식별장치를 끄고 운항하는 방식으로 구체적인 항로를 숨겼다.

인도양은 동아시아와 중동·유럽을 잇는 핵심 해상 교통로다. 특히 중동의 석유나 천연가스는 페르시아만에서 인도양을 거쳐 남중국해로 들어온다. 중국은 최근 이 해상로를 적극 활용하기 위해 지부티에서 파키스탄에 이르는 전략 거점을 개발해 이용하고 있다. 전략국제문제연구소의 매슈 퍼니올레는 워싱턴포스트에 “인도양은 중국의 전략적·경제적 이익뿐 아니라 인도와 지정학적 경쟁을 하는 데도 핵심적”이라며 “중국은 대양해군 건설에 진심이며 해양연구 생태계와 국가안보기구 사이의 경계선을 흐리고 있다”고 말했다.

신문은 중국은 전세계에서 어느 나라보다 많은 64척의 해양 연구조사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들 중 적어도 80%는 군사 목적과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의심된다고 전했다. 이 배는 주로 남중국해에서 활동하지만, 몇년 사이에 인도양 출몰이 늘어나면서 지역 긴장도 높이고 있다.

지난주 스리랑카는 인도의 압력을 받고 중국 연구조사선의 영해 진입을 일시 금지했다. 인도는 이들 중국 연구조사선이 스리랑카의 항구를 오가며 인도의 영향권에 있는 해역을 조사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스리랑카의 이번 조처가 얼마나 이어질지 의문이다. 스리랑카는 2000~2020년 사이에 중국에서 거의 120억달러(약 15조원)에 이르는 차관을 얻어 썼다. 스리랑카로선 지역 강대국 인도와 중국 사이에서 어떻게 균형을 맞춰갈지 고민거리일 수밖에 없다.

특히 중국의 잠수함 역량 확대와 맞물려 인도양 해저 조사에 나서고 있는 점이 눈길을 끈다. 미국 국방부는 지난해 10월 연례 의회 보고서에서 중국이 핵추진잠수함 12척을 포함해 잠수함 60척을 보유하고 있으며, 2035년까지 80척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평가했다.

잠수함 운영을 위해선 해저 지형과 바다의 조류·염도·수질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필수적이다. 해저 환경이 겉보기와 달리 변화무쌍하기 때문이다. 실제 2014년 남중국해 하이난섬 주변 해역에서 중국 잠수함은 갑작스레 해수 밀도가 달라지자 깊은 해구에 가라앉을 뻔했다. 중국 연구조사선들이 이런 정보를 확보하려 활동에 나선 것 아니냐는 의심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미국 국방부도 이런 중국군의 움직임에 주목하고 있다. 국방부는 지난해 보고서에서 “중국군이 인도양에도 잠수함을 전개했다. 이는 중국이 남중국해를 넘어선 해상로를 보호하는 데 관심이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