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초고령사회 코앞, 일자리 등 강도 높은 대책 마련해야

2024. 1. 11. 11: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70대 이상 인구가 631만9402명으로 처음으로 20대 인구(619만7486명)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대비 70대 이상 인구는 23만7614명(3.9%) 증가한 반면 20대 인구는 21만9695명(3.4%) 감소하면서 뒤바뀐 것이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로 분류하는데, 우리나라는 내년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70대 이상 인구가 631만9402명으로 처음으로 20대 인구(619만7486명)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대비 70대 이상 인구는 23만7614명(3.9%) 증가한 반면 20대 인구는 21만9695명(3.4%) 감소하면서 뒤바뀐 것이다. 그동안 우리는 20대가 70대 보다 많은 사회였는데 이런 인식이 깨진 셈이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로 분류하는데, 우리나라는 내년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된다. 5명중 1명이 노인으로, 대한민국이 점점 늙어가고 있다.

정부가 10일 발표한 ‘2023년 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 통계’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전체의 18.96%(973만411명)이다. 전년보다 46만3121명이나 늘었고, 10년 전인 2014년과 비교하면 321만명이나 증가했다. 올해는 84만여명에 달하는 1959년생이 65세가 된다. 베이비부머 세대가 속속 편입되면서 고령화 속도가 가팔라지게 된다. 고령화로 생산 가능 인구(15~64세)도 줄어 2022년 3628만1000명이던 게 지난해 3593만1000명(전체 인구의 70%)으로 35만명이나 감소했다. 올해는 70% 선이 무너질 가능성이 높다.

초고령사회가 눈앞에 다가왔지만 국가·개인 모두 이에 대한 대비는 부족한 게 현실이다. 우리나라 노인빈곤율은 OECD 38개국 중 압도적 1위다. 미국(22.8%)은 5위인데 우리의 절반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 한국 노인의 경제력과 삶의 질이 그만큼 떨어진다는 얘기다.

무엇보다 저출산·고령화의 가장 큰 문제는 일할 사람이 줄어든다는 데에 있다. 잠재성장률 하락으로경제는 더 어려워진다. 사회가 부양해야 할 인구의 생산인구로의 전환을 서둘러야 할 때다. 이미 많은 은퇴자들이 연금소득만으로 살아갈 수 없어 저임금 단기 일자리로 생계를 꾸려나가는 처지다. 정부가 자랑하는 지난해 역대 최고의 고용률도 대부분 60대 이상의 노인 일자리가 늘어난 데에 있다. 공공근로에 지자체들이 매년 수백억원씩 쏟아붓고 있는데 보다 생산적인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게 필요하다.

청년세대에 부담을 주지 않는 선에서의 정년 연장도 더 이상 미룰 일이 아니다. 일본은 정년 없는 사회가 된 지 오래다. 그런 면에서 제3지대 신당인 새로운선택이 총선 공약으로 정년과 호봉제를 동시에 없애자고 제안한 것은 눈여겨볼 만 하다. 거대 양당이 노조와 젊은 세대 반발을 의식해 손도 못대는 주제를 선뜻 꺼내 든 것이다. 일본과 유사하게 정년의 법적 한도를 없애고 생산 가능 인구를 64세에서 70세로 변경하겠다는 것인데, 공론화의 출발점이 돼야 한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