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rest in peace, Lee Sun-kyun (KOR)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The death has been consumed in a disturbing way. Rather than sincere condolences, there is half-hearted emotional venting — and an eruption of voices claiming to be "justice fighters." When I asked Professor Lim about it, he said, "We easily convict and misunderstand the deaths of others. We judge other people based on self-centered thinking."
잃음과 잊음의 무의미한 반복.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By CHUN SU-JINThe author is the head of the Today-People News team at the JoongAng Ilbo. Is the meaningless repetition of loss and oblivion what life is all about? Professor Lim Byeong-sik, an expert in “thanatology,” says that living means constantly losing something. Losing something entails pain. The news of the late actor Lee Sun-kyun, who took his own life at the end of last year, was painful. I was bitter while witnessing the witch-hunting comments become criticism of the police and media.
The death has been consumed in a disturbing way. Rather than sincere condolences, there is half-hearted emotional venting — and an eruption of voices claiming to be “justice fighters.” When I asked Professor Lim about it, he said, “We easily convict and misunderstand the deaths of others. We judge other people based on self-centered thinking.”
How helpless must his family feel? I want to convey my condolences with the words of a webtoon artist and the author of “I am a Suicide Survivor,” who lived through the suicide of her father. “Life is a river after all, it has to flow. It has to flow, and it flows away,” she said.
Grief should be addressed with sadness and condolences, not anger. When you cry, you should cry until you can’t cry anymore, instead of holding back tears, the author says. Many readers must have cried when they read the line, “You can cry as much as you want.”
From death to unilateral separation, loss with many faces is part of our life. In the newly released Netflix movie “Good Grief,” there is a line that says, “To avoid sadness is to avoid love.” Struggling to forget the sadness caused by loss could mean closing your eyes to love. Philosophers of all times and ages have agreed that one should fully feel loss and sadness in order to move on to the next chapter of life. The 13th century Persian poet Rumi wrote, “Your grief for what you’ve lost lifts a mirror up to where you are bravely working.” Russian writer Leo Tolstoy (1828-1910) said that only those who can love can feel sadness and heal.
Arthur Schopenhauer (1788-1860), a cynical philosopher who is gaining popularity in Korea, is also worth referring to. The philosopher, who once argued that happiness was an illusion, said that one has to live long to see how short life is. Trying to find meanings from a seemingly meaningless life, even while mourning another’s death, may be the stone that Sisyphus must roll. I pray for the late actor Lee Sun-kyun.
상실의 시대를 건너는 법전수진 투데이/피플팀장
잃음과 잊음의 무의미한 반복. 삶은 결국 그것뿐일까. 살아간다는 것은 결국 무언가를 계속 잃어가는 것이라고 '죽음학(thanatology)' 전문가인 임병식 교수는 말했다. 잃는다는 건 고통을 수반한다. 지난해 세밑, 세상을 잃겠다는 선택을 한 고(故) 이선균 씨 소식은 고통스러웠다. 마녀사냥으로 얼룩졌던 댓글 창이 경찰과 언론에 대한 비난으로 표변하는 걸 목도하는 과정은 씁쓸했다.
"이것밖에 방법이 없다"는 유서를 남긴 그의 죽음이 불온한 방식으로 소비되고 있는 건 아닌지. 온당한 애도가 아닌, 산 자들의 눈 가리고 아웅 하는 식 감정표출과 '정의의 사도'를 표방하는 새된 목소리들이 넘친다. 임 교수에게 묻자 돌아온 말. "우리는 타자의 죽음을 쉽게 정죄하면서 오인한다. 남을 나라는 자기중심적 사고로 판단한다."
남겨진 그의 가족들은 얼마나 허망할 것인가. 아버지의 극단적 선택을 겪었던 『나는 자살생존자입니다』(문학동네)의 황웃는돌 작가의 말을 감히 위로와 함께 전한다. "삶은 결국 강물이다, 흘러야 하고, 흘러간다." 슬픔은 분노와 망각이 아닌 슬픔과 애도로 맞아야 한다. 눈물이 날 땐 눈물을 참는 게 아니라 더이상 눈물이 나오지 않을 때까지 우는 게 맞다고 황 작가는 전한다. "울고 싶은만큼 울어도 돼"라는 말에 눈물이 핑 돌았을 독자들이 여럿일 것 같다.
죽음부터 일방적 이별까지, 여러 얼굴을 한 상실은 삶의 일부다. 갓 공개된 넷플릭스 영화 '괜찮은 슬픔(Good Grief)'엔 "슬픔을 회피하는 건 곧 사랑을 회피하는 것"이란 말이 나온다. 상실로 인한 슬픔을 잊으려 발버둥 치는 건 곧 삶에 대한 사랑에 눈을 감는 것이 된다는 의미 아닐까. 상실과 슬픔을 온전히 느낀 뒤 삶의 다음 장(章)으로 넘어가는 게 순리라고 동서고금 철학자들은 입을 모은다. 13세기 페르시아 시인 루미는 "상실의 슬픔은 용기 있게 살아가는 현실에 대한 거울을 건네준다"고 했고, 러시아 작가 레프 톨스토이(1828~1910)는 "사랑을 할 수 있는 자만이 슬픔을 느낄 수 있고, 치유할 수 있다"는 요지의 말을 남겼다.
지금 대한민국에서 인기몰이 중인 '매운맛' 철학자 아르투어 쇼펜하우어(1788~1860)의 말도 참고할 만하다. "행복은 환상"이라 설파했던 그는 "인생이 얼마나 짧은지 알려면 오래 살아봐야 한다"고 했다. 죽음은 그 자체로 애도하면서도, 무의미해 보이는 삶 속에서 의미를 찾으려 노력하는 게 우리 시시포스들이 굴려야 하는 돌덩이가 아닐까. 고 이선균 배우의 명복을 빈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amsung forecasts 85% drop in profit as chip sales falter
- Entertainment industry tycoons call for answers regarding death of Lee Sun-kyun
- [CES 2024] G-Dragon pops up at CES 2024 to 'learn AI,' visits Samsung, SK booths
- Fifty Fifty recruiting new members to join Keena
- Son Ye-jin and Hyun Bin donate 150 million won to children in need
- Steven Yeun takes Golden Globes' Best Actor, a first for an actor of Korean descent
- Golfer suspended for playing wrong ball to rejoin KLPGA this year
- Gas explosion in Pyeongchang
- Accidents, injuries follow heavy snow in greater Seoul
- Yoon calls for abolishing punitive tax on multiple-property ow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