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 살인인플레’ 덮친 이 나라…전기톱으로 포퓰리즘 도려낼까
밀레이, 집권 한달새
페소화 50% 평가절하
정부부처 절반 폐지 등
고강도 개혁안 추진
한국, 달빛철도·기초연금 인상 등
총선 앞두고 퍼주기 정책 쏟아져
포퓰리즘, 현상유지만 해도
부채비율 2030년께 아르헨 넘어
집권 한 달을 맞은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의 기세가 무섭다. 경제학자 출신의 괴짜 정치신인은 대선 유세 기간 ‘전기톱’까지 들고 나와 방만하게 운영되던 정부 지출을 삭감하겠다고 약속하며 당선됐다. 강도 높은 밀레이표 개혁 드라이브로 아르헨티나의 고질병인 포퓰리즘(페론주의) 경제의 탈출구를 찾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특단의 조치들이 즉각 시행됐다. 만성적 무역적자를 해소한다며 페소화를 50% 평가절하했고, 이전 정부가 민심을 달래기 위해 억지로 생필품 가격을 눌러놓았던 ‘공정가격’ 제도도 폐지했다. 이어 대중교통·공공요금 보조금 축소, 공기업 민영화, 정부 부처 절반 축소 및 공무원 해고 등 다방면에 걸쳐 파격적인 개혁이 빠르게 진행중이다.
남미식 포퓰리즘에 중독돼 있던 아르헨티나 국민들은 경제학자 출신 대통령이 처방한 ‘입에 쓴 약’에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하루 아침에 일자리를 잃은 공무원들과 급등한 생필품 가격에 분노한 서민들이 거리로 나와 연일 시위를 벌이고 있다.
그러나 밀레이 행정부는 물러설 기색이 없다. 현재 아르헨티나는 연간 140%에 달하는 초인플레이션에 신음하고 있다. 국민 10명중 4명은 빈곤층으로 전락했다. 연간 재정적자는 GDP의 4%를 초과하고,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은 84.7%에 달한다. 밀레이 행정부는 올해 연말까지 GDP의 5%에 상당하는 규모의 정부지출을 삭감해 연간 재정적자를 ‘0’으로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이 같은 밀레이의 경제 개혁을 감안해 오는 2024년 말 아르헨티나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이 79.9%로 2017년 이후 6년 만에 80%선 아래로 내려갈 것이라고 추산하고 있다.
문제는 파격적 개혁 과정에서 ‘하이퍼인플레의 함정’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밀레이 대통령은 페소화 평가절하로 경상수지 흑자 전환을 노리고 있지만, 그 과정에서 원래 목표인 수출 증가보다 수입 물가 폭등으로 인한 초인플레이션을 다시 부추길 가능성이 높다.
지난 12월 11일 발표된 아르헨티나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월대비 12.8%, 전년 대비 160.9% 상승했다. 전달에 이어 지난 32년래 최고치를 연달아 경신한 것이다. 오는 12일 발표될 12월 CPI는 더 인플레가 심화돼 전월대비 26.1%, 전년 대비 213%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홍성우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남미 팀장은 “농축산물과 원자재 같은 저부가가치 1차 산업 중심의 아르헨티나 경제 체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과 같은 구조 개혁이 필수인데, 역대 정권들은 근시안적인 포퓰리즘 정책만 남발해 왔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 “국민들은 당분간 경제적 고통을 견뎌야겠지만 높은 빈곤율 해소에 앞서 밀레이가 추진 중인 긴축 정책을 통한 만성적 재정·무역 쌍둥이 적자 해결이 더 급선무”라고 평가했다.
아르헨티나의 포퓰리즘 중독과 고통스런 극복 과정은 4월 총선을 앞두고 각종 선심성 퍼주기 정책이 쏟아지고 있는 한국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두 나라는 국제통화기금(IMF) 사태 이후 극과 극의 운명으로 비교되곤 했다. 아르헨티나는 실패사례이고 한국은 성공사례로 꼽혔지만, 한국이 지금처럼 재정 건전화를 소홀히 하다가는 2030년께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부채 비중이 아르헨티나를 넘어설 것이란 경고가 나온다.
우리 정부는 지난 2020년 예산안이나 추경 편성 시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 60% 이내, 통합재정수지는 -3% 이내로 관리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 재정준칙을 발표했지만 국회에서 논의되지도 못한 채 계류돼 있다.
국회예산정책처가 지난 2021년 발표한 중기재정전망에 따르면 오는 2030년까지 적절한 지출통제와 세입확충이 이뤄졌을 경우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최소 60.6%, 별다른 재정건전화 조치 없이 현상유지될 경우 최대 78.9%에 달할 전망이다.
앞서 아르헨티나는 직전 정부인 페론주의 성향의 알베르토 페르난데스 전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실업급여 2배 인상 등 복지 확대 정책과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100억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 전국적 봉쇄·격리 조치로 인한 실물경기 충격으로 공공부문 부채 규모가 2019년 12월 3230억달러에서 작년 6월 말 4038억달러로 25%나 늘었다.
재정적자로 정부재정이 부족한 상황에서 페르난데스 대통령은 중앙은행에서 화폐를 찍어내 지출했고, 그 결과 지난해 상반기 기준 아르헨티나 광의통화(M2) 공급량은 16조7000억페소로 집권 이전보다 6배 이상 늘었다.
페르난데스 전 대통령 집권기간 동안 공식 환율도 2019년 12월 달러당 59.87페소에서 임기 마지막달인 지난해 11월 달러당 360.48페소로 급등하며 페소값은 6분의 1토막이 났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미치도록 사랑해서 결혼했는데…“아내가 이럴 줄 몰랐다” - 매일경제
- “한국 피해 일본보다 훨씬 클 것”…중국 대만침공 ‘충격분석’, 왜? - 매일경제
- “최태원, 현금 2조 내놔라”…노소영, 재산분할 요구액 2배 올렸다 - 매일경제
- “설마 이 회사 때문에?”…삼성전자·애플 바싹 긴장한 까닭 - 매일경제
- 늙으면 누가 나한테 돈 빌려주겠소…50대 이상 절반 “의지할 곳 없다” - 매일경제
- ‘尹 1호 킬러규제’ 전봇대 뽑았다…기업들 원수였다는 ‘이 법’ 뭐길래 - 매일경제
- “아니, 장모님까지 가짜였어요?”…결혼식 하객도 모두 알바생, 5억 사기女의 최후 - 매일경제
- 편의점 다시 ‘맥주 4캔 1만원’ 무슨 일…“대한민국~응원합니다” - 매일경제
- “한국 잘나가는데 이러다 우리 망한다”…일본 장관이 내린 ‘중대결단’ - 매일경제
- 황의조, 노리치 임대 조기 종료 노팅엄 복귀...불법촬영 혐의+부상까지 말썽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