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인권운동 이끈 탈북민 증언, 생생히 기록” [차 한잔 나누며]
80∼90%가 인권침해에 해당
25년 전부터 수집 기록만 8만건
DB 구축·인권백서도 처음 펴내
“정부 관심 표명에 기대 컸지만
특정 정파 이슈로 고착돼 고립
젊은 연구원 활동 돕는 게 임무”
“한국에 계시는 부모님이 그립다.” 당연한 마음이 죄가 됐다. 국군포로 출신 북한 주민은 이 말을 한 뒤 정치범 수용소에 갇혔다(연도 미상). “배고파서 일을 못하겠다”는 사람은 실종됐고(연도 미상) “살면서 힘들다”고 한 사람은 고문을 받고 사망했다(1988년). 그들도 사람인데 화가 안 났을까. “이놈의 세상 언제 뒤집어지나”(1982년)라고 한 이도, “김정일을 타도하라” 글을 쓴 이도 있었다(2009년). 이들은 정치범 수용소로 가거나 사형에 처해졌다.
“1980년대 대학생 때 민족문제에 관심이 많았다. 북한에 대해 공부하러 대학원에 갔고 탈북민을 만났다. 한국 정착에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남북한이 같이 살려면 어떤 준비를 해야 할지 물으려 만난 건데 그분들이 저한테 쏟아낸 증언이 있었다. 그들은 인권침해란 말도 몰랐지만 들어 보니 80∼90%가 인권침해였다. 일단 정확히 기록해야겠다는 생각이었는데, 내가 그걸 듣고 받아 적는 걸 보는 그분들 얼굴이 환해졌다. 기록으로 남기고 언젠가 가해자를 조치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이분들에게 편안함을 줄 수 있겠더라.”
그는 1994년 국내 최초로 탈북민 주제 논문을 썼다. 1999년 하나원 설립 당시 민간 전문가로 참여했다. 이때 하나원의 탈북민들과 면담을 시작했다.
“김대중정부는 인권 철학이 높았다. 남북대화를 추진하면서도 민간이 하나원에서 북한인권 침해를 조사할 수 있게 했다. 나 역시 이 일은 정부보다는 민간이 할 일로 여겼다. 노무현정부 때도 협조가 잘돼 기록을 쌓아 나갔다.”
정부가 추진 중인 가칭 ‘국립북한인권센터’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그는 “박물관은 북한 당국을 상대해야 할 정부가 하는 것보다 민간이 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것이 맞는다고 입장을 정해 정부 지원 사업으로 추진했던 것”이라며 “조직 개편 후 통일부가 조직 보호 차원에서 직접 국립박물관을 만들겠다고 나섰다”고 했다. 이어 “저 같은 사람은 북한 당국을 상대하는 역할인데 언젠가부터 우리 정부를 상대하느라 힘을 빼 힘들다”고도 했다. 그럼에도 희망을 갖는 이유로는 미래 세대를 꼽았다. “북한인권 문제가 진영화하고 있지만, 20∼30대 연구원들은 그런 차원을 뛰어넘는 인권 가치관이 있다. 이들이 상처받지 않고 활동할 수 있게 돕는 것이 제 책임이라 생각한다.”
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처럼 결혼·출산 NO”…트럼프 당선 이후 미국서 주목받는 ‘4B 운동’
- “그만하십시오, 딸과 3살 차이밖에 안납니다”…공군서 또 성폭력 의혹
- “효림아, 집 줄테니까 힘들면 이혼해”…김수미 며느리 사랑 ‘먹먹’
- “내 성별은 이제 여자” 女 탈의실도 맘대로 이용… 괜찮을까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단독] “초등생들도 이용하는 女탈의실, 성인男들 버젓이”… 난리난 용산초 수영장
- ‘女스태프 성폭행’ 강지환, 항소심 판결 뒤집혔다…“前소속사에 35억 지급하라”
- “송지은이 간병인이냐”…박위 동생 “형수가 ○○해줬다” 축사에 갑론을박
- “홍기야, 제발 가만 있어”…성매매 의혹 최민환 옹호에 팬들 ‘원성’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