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상한’ 형제, ‘의좋은’ 형제가 될 수 있을까요?

김미영 기자 2024. 1. 10. 17: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자녀교육 유튜브 채널 '육퇴한밤'이 아이 발달·정서·교육에 대한 고민을 상담해드립니다.

김효원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가 친정엄마, 옆집 엄마, 조리원 동기도 해주지 못하는 뾰족한 답변으로 자녀 걱정을 덜어드립니다.

김효원 교수님: 사실 형제는 기질과 성향이 맞아도 사이가 좋기는 어렵습니다.

김효원 교수님: 형제를 키울 때는 부모님들이 자신의 마음을 잘 들여다보고 마음이 덜 가는 아이에게 잘해주려고 의식적으로 노력하셔야 합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육퇴한밤’ 솔루션 시즌1 당신 아이의 이야기
게티이미지뱅크
자녀교육 유튜브 채널 ‘육퇴한밤’이 아이 발달·정서·교육에 대한 고민을 상담해드립니다. 김효원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가 친정엄마, 옆집 엄마, 조리원 동기도 해주지 못하는 뾰족한 답변으로 자녀 걱정을 덜어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유튜브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사연] 연년생 자매를 둔 직장맘입니다. 온종일 휴대폰만 붙잡고 사는 중3 첫째와 달리 중2 둘째는 결과 여부와 상관없이 시간이 갈수록 열정적으로 공부하고, 휴대폰 습관도 잡혀가고 있습니다. 자격지심 있는 언니가 동생을 질투하다 보니 두 자매 사이는 점점 나빠지는 것 같아요. 형제끼리 생활 태도가 확연히 다를 경우, 두 아이는 어떻게 둥글게 지낼 수 있을까요?

육퇴한밤: 엄마 입장에서 미운 첫째와 예쁜 둘째네요. 아이들을 대하는 엄마의 태도도 은연중에 다를 것 같은데 이건 애들도 알겠죠?

김효원 교수님: 맞아요. 아이들도 부모가 자신보다 동생을 혹은 언니를 예뻐하는 것을 본능적으로 알아요. 모든 부모가 둘째를 더 예뻐하는 것은 아니고요. 부모 자신과 기질이 더 잘 맞거나 순하거나, 반응을 잘하는 아이를 예뻐하기도 하는 등 집집마다 다른데요. 어쨌든 ‘부모가 나를 더 예뻐한다, 덜 예뻐한다’ 이런 건 아이들도 압니다.

육퇴한밤: 기질과 성향이 안 맞아 생기는 문제는 부모-자식뿐 아니라 형제 사이도 해당할 텐데요. 서로 다른 성향의 두 아이가 의좋게 지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김효원 교수님: 사실 형제는 기질과 성향이 맞아도 사이가 좋기는 어렵습니다. 사람들이 농담처럼 하는 이야기 중에 ‘동생을 보는 첫째의 마음은 첩을 보는 본처의 마음과 같다’고 하잖아요. 엄마, 아빠의 유일한 아이로 사랑을 독차지하면서 살다가 동생에게 사랑을 나눠줘야 하고, 또 많은 경우에 동생을 자기보다 더 사랑하는 것 같은 그런 느낌이 드는 것을 빗대어 하는 말인데요.

형제자매들은 공부나 운동, 외모, 애교 등등 모든 점에서 경쟁하기 때문에 사이가 나쁘기가 쉽죠.

소아정신과에서 보는 질환 가운데 ‘반항성 도전장애’라는 질환이 있는데요. 반항성 도전장애는 버럭 화를 내거나, 어른에게 대들거나, 다른 사람을 고의로 괴롭히거나, 남의 탓을 많이 하거나, 쉽게 화내고 원망을 하거나 하는 행동이 6개월 이상 지속하는 경우를 말하거든요. 그러나 형제 사이에선 진단할 수 없다고 되어 있어요. 그러니까 형제들끼리 싸우는 것은 너무 당연하다는 거죠.

그래서 저는 부모님들께 꼭 형제가 사이 좋아야 한다는 생각을 버리시라고 말씀드립니다. 좋았다 싫었다 하는 게 형제니까요.

육퇴한밤: 부모님들이 형제 키울 때 알아둬야 할 포인트를 짚어주신다면요.

김효원 교수님: 형제를 키울 때는 부모님들이 자신의 마음을 잘 들여다보고 마음이 덜 가는 아이에게 잘해주려고 의식적으로 노력하셔야 합니다. 100% 공평하게 대하는 것은 당연히 불가능하겠지만 그래도 비슷하게, 아니 어쩌면 그보다 더 마음이 덜 가는 아이에게 잘해주려고 노력해야 아이가 조금이라도 덜 상처받게 할 수 있어요.

김미영 박수진 기자 instyle@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