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대 인구, 사상 첫 20대 추월했다
전체인구 약 5133만명 전년 比 0.22%↓
男 2557만·女2576만…40대 이하 인구↓·50대 이상 인구↑
생산가능 인구 지속↓ 초교 입학 예정 인구도 2년 연속↓
수도권·비수도권 격차 최대
지난 2020년 주민등록 인구가 감소로 전환된 후 4년 연속 감소했으며, 성별로 보면 남자 인구는 5년 연속, 여자 인구는 3년 연속 감소 추세를 보였다.
2023년 출생(등록)자 수는 23만5039명, 사망(말소)자 수는 35만3920명으로 2022년 대비 각각 1만9589명(7.69%), 1만8711명(5.02%) 줄어 자연적 요인(출생-사망)에 의한 주민등록 인구 감소는 11만8881명이었다.
2023년 남자(2556만5736명) 인구와 여자(2575만9593명) 인구 간의 격차(여자-남자)는 19만3857명으로 지난 2015년 여자 인구가 남자 인구를 추월한 이래 처음으로 19만명을 넘어섰다.
연령대별 구성 비율을 보면, 50대가 16.94%로 가장 많고, 이어 40대(15.44%), 60대(14.87%), 30대(12.81%), 70대 이상(12.31%), 20대(12.07%), 10대(9.06%), 10대 미만(6.49%) 순이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73만411명(18.96%)으로 2022년(926만7290명) 보다 46만3121명(5.00%) 증가했다. 반면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3593만1057명(70.01%)으로 2022년(3628만1154명) 보다 감소(0.96%)했다.
2024년 초등학교 입학 예정인 6세 인구(2017.1.1.~12.31. 출생)는 36만4740명으로 전년(41만3162명) 보다 4만8442명(11.72%) 감소해, 40만명 밑으로 떨어졌다.
올해 18세가 되는 인구(2006.1.1.~12.31. 출생)는 44만9025명으로 남자 23만1818명, 여자 21만7207명이다. 지난해(43만5582명)보다 1만3443명 증가했다.
또 제22대 국회의원 선거(2024.4.10.)에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는 18세 이상(2006.4.11.까지 출생자)에 해당되는 주민등록 인구는 4438만549명이다. 연령대별로 보면 50대(19.59%), 40대(17.85%), 60대(17.19%), 30대(14.82%), 20대(13.96%), 70대 이상(14.24%), 10대(2.34%) 순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세대원 수로 살펴보면, 1인 세대가 993만5600세대로 가장 큰 비중(41.55%)을 차지했으며, 이어 2인 세대(24.53%), 4인 이상 세대(17.07%), 3인 세대(16.85%) 순이다.
1인 세대는 70대 이상이 19.66%로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60대(18.44%), 30대(16.87%), 50대(16.45%), 20대(15.25%), 40대(12.93%), 10대 이하(0.41%) 순을 기록했다. 20~50대는 남자 1인 세대가 많고, 10대 이하 및 60대 이상은 여자 1인 세대가 많았다.
인천 서구(+3만5345명), 경기 화성시(+3만3528명), 전북 완주군(+5405명) 등 53개 시·군·구(21시·12군·20구)는 주민등록 인구가 증가했으며, 이 중 자연적 요인(출생-사망) 및 사회적 요인(전입-전출) 모두 증가한 곳은 인천 서구, 경기 화성시, 경기 양주시 등 19곳이다.
2023년 전국 주민등록 인구 이동률(전년 말 주민등록인구와 당해 연말 주민등록인구 산술평균의 100명당 이동자 수)은 11.95%로 3년 연속 감소 추세를 보였다.
시·도 내 이동률(7.77%)이 시·도 간 이동률(4.18%) 보다 높았다. 권역별로 이동 현황을 보면, 수도권에서 수도권(71만9973명), 비수도권에서 비수도권(64만2978명), 비수도권에서 수도권(41만5812명), 수도권에서 비수도권(36만9088명) 순으로 나타났다.
17개 시·도 중 경기도(+4만4743명), 인천시(+3만3535명), 충남도(+1만5875명), 충북도(+3904명), 세종시(+1692명) 5곳은 타 시·도로부터 인구 순유입이 이뤄졌으며, 특히 충남도는 16개 시·도 모두에서 순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기동 행안부 차관은 “인구 감소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체류형 인구 개념인 생활인구를 활용해 지역이 인구 활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다각적인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아울러 아이들을 안심하고 키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관계 기관과 협력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연호 (dew9012@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세상에 어떤 부모가"...박수홍 측, 친형 최후진술에 일침
- 안과수술 후 돌연 사망한 초등생…병원 "실수로 CCTV 녹화 안 돼"
- 최홍석 부고에 안타까워한 신영철 감독 "심성이 착한 선수였는데..."
- [영상]“차가 왜 이리로?” 현대모비스, 실증차 직접 봤더니[CES 2024]
- "이런 피고인 처음 봐"...사형 구형 부른 조선 '반성문'
- 최태원 회장 "재판부 쇼핑은 노소영 먼저…적반하장"
- “보기 드문 외모” 79년생 시장 후보에 떠들썩[중국나라]
- [영상]"CES 어때?" 문자에 '구글 AI' 이렇게 답장한다고?[CES 2024]
- '100억대 건물주' 양세형 "번아웃·공황장애 겪어"
- 안현모 "父에 실망 끼친 적 없는데 이혼 걱정…내 행복 중요하다고" 눈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