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광장] ‘K-Smart City’ 다시 세계로

2024. 1. 10. 11:1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으로 시작된 정보통신기술(ICT), 사물인터넷(IoT)의 도시계획적 접목과 활용은 스마트시티라는 새로운 도시건설과 관리 방식으로 확산되고 있다.

정보통신 강국으로 우리나라는 2000년대 초반부터 국가연구개발을 통해 제도적, 기술적 기반을 마련하고, 한국형 브랜드 ‘유시티(Ubiquitous City)’를 시작으로 2017년 관련 법제도를 정비해 스마트시티 정책으로 고도화했다. 이후 2019년에는 스마트시티를 국가 8대 핵심선도사업으로 선정하고, 국가시범도시, 챌린지사업, 스마트시티형 도시재생사업과 규제 샌드박스 등 다양한 사업과 정책을 추진하면서 명실상부한 스마트시티 선도국으로 전 세계적인 관심과 주목을 받아왔다.

스마트시티의 해외 교류와 진출은 사업계획의 수립, 다양한 서비스의 구축과 함께 도시건설을 패키지화해 접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도시 규모의 스마트시티 건설은 막대한 자금과 전문인력이 필요한 한계가 있으며 특히, 글로벌 네트워크의 부족으로 지속적인 사업발굴이 어렵고, 국가별로 사업방식이 다양해 이에 대한 이해와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 가운데 해외 네트워크의 구축이 매우 중요한 진출전략으로 한국 스마트시티의 해외진출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에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국제적인 행사인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WSCE, World Smart City Expo)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전 세계 스마트시티 네트워크의 장은 엑스포를 통해서 이뤄지고 있다. 가장 활성화된 행사인 ‘스마트시티 엑스포 월드 콩그레스(SCEWC, Smart City Expo World Congress)’는 매년 11월 두 번째 주 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다.

지난해 개최된 제12회는 새로운 도시 시대의 개막을 의미하는 ‘Welcome to the New Uaban Era’를 슬로건으로 800개 이상의 도시, 약 2만5000명 이상의 관람객과 600명 이상의 연사가 지난 1년간 전 세계에서 진행된 스마트시티 사례를 소개하고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행사는 ‘피라 데 바르셀로나(Fira de Barcelona)’가 주관한다.

우리나라도 스마트시티 정책과 성과를 홍보하고, 수출과 관련 산업 진흥, 해외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WSCE를 2017년부터 개최하고 있는데, 제7회를 맞은 지난해 행사는 역대 최대 참관객, 기업 전시, 국내 기업 투자·수출 유치 기록을 갱신했으며 유명 연사가 참석한 컨퍼런스 34건과 국가 간 협력을 강화할 G2G, C2C 행사 18건 등, 국내·외 정부, 도시, 기업, 학계 전문가의 국제 교류 및 협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마련됐다.

코로나 이전의 행사는 주로 스마트도시서비스에 대한 전시형태로 진행됐으나, 2022년 SCEWC에서는 비즈니스 미팅, 테크니컬 투어 등 교류행사 위주로 전환되어 활기 넘치는 모습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확연하게 느낄 수 있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 스마트시티 관련 행사와 글로벌 네트워크의 한계를 생각해 본다면 첫 번째는 네크워크할 수 없는 전시 위주의 행사 진행이다. 2022년 SCEWC에 참여한 한국 방문단은 국토교통부를 중심으로 LH, K-Water, KINTEX, 부산광역시, 대전광역시 등 지방자치단체가 중심이 돼 통합 한국관을 조성했는데, 홍보판넬 전시와 주제발표 방식의 일방통행식 행사가 주로 진행됐다. WSCE 역시 크게 다를 바가 없다.

두 번째는 종합 관리 기관의 부재다. SCEWC의 경우, ‘피라 데 바르셀로나’라는 공공주도의 민간 협동 주체가 100여 명이 넘는 관리자를 행사 전담인력으로 활용하고 있다. 행사준비, 운영뿐만 아니라, 관련 동향 분석, 사후관리까지 일 년 내내 행사의 준비와 관리에 전념한다. 특히 인상적인 부분은 행사가 끝나면 즉시 내년 행사를 준비하면서, 방문객에 대한 사후 모니터링과 관리까지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세 번째는 행사와 교류 방식의 다변화 추진이 미흡하다. 전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스마트시티 정책과 기술 트렌드의 모니터링과 네트워크 관점에서 행사를 기획하여 K-Smart City의 주요 내용을 트렌드에 맞게 각색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효과적인 K-Smart City의 해외진출을 위해서는, 행사기획과 네크워크 운영관리를 전담하는 스마트시티 네트워크 전담기구로 공공기관이 주도하고 민간이 협력하는 구조의 주체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시티 정책과 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공공기관 LH에서 전체적인 행사를 관리하고 네크워크 관리를 위한 주체를 스마트도시협회 등 공인된 민간기관에서 맡아 운영하는 것이다.

전담조직은 글로벌 시장의 흐름을 읽을 수 있도록 다양한 해외 현황을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집단으로 스마트시티 선도국의 허상을 변모시켜 실질적인 스마트시티 주도국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매년 가을이면 1년 간의 성과에 대한 홍보와 국제 교류를 위한 스마트시티 축제의 장으로 K-Smart City의 위상에 걸 맞는 세계적인 교류의 대명사로 WSCE가 명성을 갖고, 전 세계 스마트시티 관계자는 누구나 찾고 싶어하는 교류의 장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한다.

박신원 LH토지주택연구원 국토도시연구실 수석연구원

hwshi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