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훈풍 부는 삼성전자…올해 AI 올라타 실적 개선 노린다

김응열 2024. 1. 9. 15:4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회복 늦어지는 비메모리·가전…예상치 밑돈 4Q 영업익
메모리는 회복 가속화…낸드 적자 줄고 D램 흑자전환
반도체 활황 앞당길 AI 후광효과…"메모리 수요 뛸 것"

[이데일리 김응열 기자] 삼성전자(005930)의 메모리반도체 감산 효과가 점점 커지고 있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실적이 분기마다 상승 곡선을 탔고 지난해 4분기에는 D램 사업이 흑자로 전환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낸드플래시 업황이 여전히 어렵고 비메모리와 가전 등이 부진한 상황이지만 올해 인공지능(AI) 반도체를 앞세워 실적 개선에 속도를 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서울시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뉴스1)
삼성전자가 9일 공시한 지난해 4분기 연결기준 잠정 매출액은 67조원, 잠정 영업이익은 2조8000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각각 전년 동기 대비 4.91%, 35.03% 하락했다. 지난해 4분기 성적표는 시장 전망치를 밑돌았다. 증권가 추정치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70조3601억원, 3조7441억원이었다.

지난해 연간 매출액은 258조16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년 대비 14.58% 하락했다.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84.9% 감소한 6조5400억원을 기록했다.

비메모리·가전 나빠도…D램 훈풍

이날 삼성전자는 사업 부문별로 구체적인 실적은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지난해 4분기에는 전방 수요 둔화로 인해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가동률 개선이 늦어지는 등 비메모리 부진 여파가 컸던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매출액은 36억9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직전 2분기 대비 개선됐지만 전년 동기 55억8400만달러에 비하면 여전히 낮다.

가전사업 상황 역시 좋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경기 회복에 속도가 붙지 않으며 소비심리 둔화가 이어지는 데다 지난해 연말 재고 처리를 위해 마케팅 비용을 늘리며 수익성이 빠졌다는 분석이다.

이민희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메모리와 달리 비메모리는 고객사들이 재고 비축을 하지 않기 때문에 수요 회복이 더디고 가전에서는 비용이 늘었다”며 “메모리 외에는 좋은 게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나마 D램은 흑자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0월부터 매달 메모리 고정거래가격이 상승하면서 추가 인상 전 고객사들이 재고를 모아두고 있다. 이에 더해 DDR5 등 수익성이 높은 선단 제품 수요에 대응해 이익을 올렸다는 해석이다. 낸드플래시는 적자가 이어지고 있지만 그 규모는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하나증권은 삼성전자 낸드플래시의 적자가 지난해 3분기 2조7000억원에서 같은 해 4분기 1조4000억원으로 줄어든 것으로 봤다. 한국투자증권은 같은 기간 2조6300억원에서 2조1130억원으로 축소된 것으로 예상했다.

“AI가 삼성전자 메모리 살릴 것”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공장. (사진=삼성전자)
올해도 경영 상황이 그리 밝지는 않지만 반도체 중심의 회복은 더 탄력이 붙을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1분기에는 갤럭시S24 신제품 출시에 힘입어 메모리 반등이 이어질 전망이다. 모바일은 D램과 낸드플래시의 주요 응용처다. 게다가 메모리 가격이 상승세를 타는 점도 호재다. 트렌드포스는 올해 1분기 D램 평균판매가격(ASP)이 지난해 4분기 대비 최대 18% 뛸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모바일 D램 가격은 18~23% 오를 전망이다.

온디바이스 AI 기반의 스마트폰이 잇따라 나오는 점 역시 메모리 수요를 대폭 끌어올릴 수 있다. 스마트폰 자체적으로 AI 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빠른 D램과 고용량 낸드플래시가 필요해지고 스마트폰 신제품으로 갈아타려는 수요도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범진욱 서강대 전자공학과 교수는 “삼성전자를 비롯한 많은 업체들이 ‘AI폰’을 꾸준히 출시할 것”이라며 “기존 스마트폰과의 차별화로 소비자들의 모바일 수요가 늘고 낸드도 좋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경기 회복의 속도가 빠르지는 않아 전방 수요 개선과 전반적인 반도체 업황 반등에는 시간이 다소 필요하다는 우려도 있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메모리는 감산 효과로 재고가 조정되면서 수익성이 나아지고 있지만 비메모리 개선이 늦어진다는 건 전체 반도체 수요를 결정할 전방 산업은 여전히 둔화한 상황이라는 뜻”이라며 “하반기로 갈수록 전자제품 교체 수요 등으로 반도체 수요는 늘어나겠지만 기준금리 인하 등 경기 회복을 앞당길 요인이 없으면 단기적 변화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응열 (keynews@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