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A콜렉션] 김용익 'Two-piece'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용익은 고정된 형태와 해석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작업을 한다.
김용익(1947-)은 서울 출생으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과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1975년 상파울루 비엔날레, 1977년 일본 도쿄의 센트랄 미술관에서 개최된 한국현대미술의 단면전, 에꼴 드 서울, ST, 1983년 일본에서 열린 한국현대미술전-70년대 후반 하나의 양상전, 1988년 한국현대회화 70년대 흐름전 등과 같은 주요전시회에 출품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용익은 고정된 형태와 해석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작업을 한다. 김용익(1947-)은 서울 출생으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과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1975년 상파울루 비엔날레, 1977년 일본 도쿄의 센트랄 미술관에서 개최된 한국현대미술의 단면전, 에꼴 드 서울, ST, 1983년 일본에서 열린 한국현대미술전-70년대 후반 하나의 양상전, 1988년 한국현대회화 70년대 흐름전 등과 같은 주요전시회에 출품했다. 1970년대 이후 회화의 평면성에 대한 고민으로 캔버스라는 지지체를 해체하고자 했던 일련의 천 작업과 모더니즘의 권력에 흠집을 내고자 시도한 <가까이…더 가까이…>(1995~2005)라는 제목의 캔버스 시리즈 작업, 이전의 캔버스 작업 위에 물감을 덧칠함으로써 지워버리는<절망의 완수>(1990~2005) 시리즈 등을 선보였다.
대전시립미술관 소장품인 (1989)는 평면과 입체를 구분하지 않고 공간을 다루면서 회화의 평면성에 대해 의구심을 불러일으킨다. 양면을 각각 빨간색과 노란색으로 칠한 두 개의 패널은 빨간 면이 바깥쪽으로 오도록 연결돼있다. 패널 측면을 잘라 만든 날개는 경첩이 달려 있어 문처럼 열리고 작품이 서 있을 수 있도록 지지한다. 불규칙하게 뚫린 구멍과 펼쳐진 날개를 통해 보이는 안쪽은 한지 조각과 함께 흩뿌리듯 칠해진 먹물이 전통과 현대의 강렬한 대비를 보여준다. 이렇게 안과 밖으로 완벽하게 다 가려지지 않는 구조 속에서 실재하는 도형과 비워진 도형이 서로 의존한다. 전형에서 탈피한 조형은 정제된 미학을 추구하는 모더니즘의 논리를 뒤집고 평면 자체에 개념적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김민경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기차 화재 또"… 아산 모종동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화재 - 대전일보
- 세종 싱싱장터 '4호 소담점' 내년 초 개장…집현동에 '수산물유통센터' 건립 검토 - 대전일보
- 대전 아파트 공사장 근로자 1명 토사 매몰…사망한 채 발견 - 대전일보
- [영상] "무인카페서 534만 원 어치 공짜로"… 간큰 대전 고등학생들 - 대전일보
- 오늘 '금융시장·은행' 1시간 늦게 개장…지연 이유는 - 대전일보
- 이재명 "법정 향하는 아내, 죽을만큼 미안… 희생제물 됐다" - 대전일보
- 이준석 "출연료 3000만 원? 대표가 당협행사에 돈을 왜 받나" - 대전일보
- 與, '김여사 특검법' 본회의 표결 불참 결정 - 대전일보
- 아산 음식점 화재 벌써 지난해 2배…"대형화재 우려 후드·덕트 각별 주의" - 대전일보
- KT충남충북광역본부, 청남대에 AI 로봇 도입 확대 - 대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