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인재 육성' 협약형 특성화고 5월 10곳 선발… 학교당 최대 45억 지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방자치단체, 지역기업, 교육청이 협약을 맺고 지원하는 특성화고등학교 10곳이 상반기에 선정돼 내년부터 운영된다.
협약형 특성화고는 교육발전특구와 연계되는 모델로 지자체, 지역기업, 교육청, 특성화고가 협약을 맺고 연합체를 구성해 지역 발전 전략과 맞물린 맞춤형 교육으로 인재를 길러내는 학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 지역기업, 교육청이 협약을 맺고 지원하는 특성화고등학교 10곳이 상반기에 선정돼 내년부터 운영된다. 지역 산업에 특화된 인재를 육성하고 이들의 정주를 유도해 인구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국책사업으로, 2027년까지 총 35개교를 선정해 학교당 최대 45억 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교육부는 8일 이런 내용이 담긴 협약형 특성화고 육성 계획을 발표했다. 협약형 특성화고는 교육발전특구와 연계되는 모델로 지자체, 지역기업, 교육청, 특성화고가 협약을 맺고 연합체를 구성해 지역 발전 전략과 맞물린 맞춤형 교육으로 인재를 길러내는 학교다.
내년 3월 개교 예정인 1기 협약형 특성화고는 올해 3월 공모를 받아 5월 10곳 이내로 선정한다. 지자체와 시도교육청이 적합한 관내 학교와 산업체를 발굴해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육성 계획을 수립하면 교육부가 평가해 선발하는 방식이다. 각 학교는 선정된 해에 20억 원, 이후 3~5년간 연 5억 원씩, 총 35억~45억 원을 지원받는다. 특성화고 연합체는 매년 운영 성과를 공개하고, 교육부는 중간·최종 성과 평가를 통해 지원액을 삭감하거나 지원을 갱신 또는 종결할 방침이다.
이진우 교육부 중등직업교육정책과장은 "협약형 특성화고는 과감한 재정 지원, 유연한 교육과정, 세밀한 고교 이후 진로 설계 등으로 학생들에게 매력적인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책 성패의 관건은 지역 학생이 관내 기업에 취직해 정주하는 선순환 체계가 갖춰지느냐다. 특성화고 학생의 지역 정착률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은 우호적 여건이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지난해 1월 공개한 '직업계고 졸업생의 지역 정착' 자료를 보면, 특성화고 졸업생의 동일 지역 정착률은 평균 69%로 다른 직업계고인 마이스터고(41%)를 크게 웃돈다. 다만 인구 감소 지역에서 특성화고 학생이 급감하고 있는 점은 극복해야 할 과제다. 해당 지역의 2022년 특성화고 입학생 수는 10년 전인 2012년보다 47%가 줄었다. 같은 기간 지역 일반고 입학생 감소율은 29%였다.
손현성 기자 hshs@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장남은 왜 셋째 동생을 죽였나…패륜, 유산 앞 악마로 변한 형제들
- "아내가 외도를... 증거 수집을 위해 휴대폰을 훔쳐볼까요?"
- 2년 전 단종된 '딸기 고래밥' 환아에게 선물한 간호사
- 서정희, 6세 연하 연인 공개 "유방암 투병 중 큰 힘... 존경"
- 또 '인분' 아파트?... '분양가 4억 원' 세종 신축 아파트 날림 공사 논란
- UN 출신 김정훈, 음주측정 거부로 경찰 입건
- "왜 집 안주냐" 아들은 망치를 들었다
- 이용식, 이수민 상견례에 체념?..."차라리 빨리 가" ('조선의 사랑꾼')
- 강경준, 소속사와 전속계약 만료 "사생활 답변 어려워"
- 월급 빼고 한 달에 5600만원 이상 버는 직장인 4000여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