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부의 딸’은 어떻게 독재자가 되었나…논란의 방글라데시 총선, 하시나 총리 4연임

손우성 기자 2024. 1. 8. 14:5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당 AL, 299석 가운데 223석 확보
제1야당 보이콧 속 각종 부정 의혹
‘국부’ 라만 전 대통령 장녀 하시나
“민주주의 계속 유지되도록 최선”
전문가 “방글라데시, 일당제 국가”
셰이크 하시나 방글라데시 총리가 7일(현지시간) 수도 다카에서 총선 투표를 마친 뒤 발언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방글라데시 총선 결과 집권 여당 아와미연맹(AL)이 압승을 거두며 셰이크 하시나 총리의 4연임이 확정됐다. 하지만 선거 전부터 방글라데시 당국의 극심한 야권 탄압과 언론 장악이 횡행했고, 제1야당이 보이콧을 선언한 가운데 얻은 결과라는 점에서 상처뿐인 승리라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방글라데시 국부의 딸로 존경을 받아온 하시나 총리의 ‘독재 본색’에 안타까움을 표하는 목소리가 쏟아지고 있다.

방글라데시 현지 매체 다카 트리뷴 등은 8일(현지시간) 방글라데시 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를 인용해 전날 열린 국회의원 선거에서 AL이 지역구 299석 중 223석을 확보했다고 보도했다. 여기에 친정부 성향 무소속 후보가 61명 당선됐고, AL과 협력 관계인 자티야당도 11석을 차지했다.

이번 선거는 시작 전부터 부정 의혹으로 얼룩졌다. 우선 방글라데시 당국은 지난해 10월 노동자들의 최저임금 인상 요구 시위를 강제 진압하는 과정에서 제1야당인 방글라데시민족주의당(BNP) 고위 인사와 총선 출마 예정자, 일반 당원 등 2만명을 체포했다.

BNP는 공정한 선거 관리를 위해 하시나 총리 사퇴와 중립 정부 구성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자, 결국 총선 보이콧을 선언한 후 대규모 투표 거부 운동을 전개했다. 저조한 투표율로 AL 승리와 하시나 총리 4연임의 정당성을 떨어뜨리기 위한 전략이었다.

뉴욕타임스(NYT)는 “하시나 총리와 AL은 BNP 보이콧을 폄훼하면서 여전히 많은 소규모 정당들이 도전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며 “그러나 총선이 다가올수록 걱정이 커졌고, 하시나 총리는 대책을 마련하라고 당 지도부에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그렇게 나온 대책이 AL의 공천을 받지 못한 자당 소속 인사들을 무소속으로 등판시켜 AL 후보와 경쟁하게 만드는 꼼수였다.

투표 이후에도 논란은 계속됐다. 선관위는 최종 투표율이 약 40%라고 발표했는데, 이는 2018년 총선 투표율(80%)의 절반 수준이었다. 일각에선 이마저도 부풀려졌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NYT에 따르면 선관위는 투표 종료 직후 “전국 평균 약 28%의 투표율을 기록했다”고 밝혔지만 곧바로 40%로 정정했다. BBC는 “투표율에 대한 유권자 불신이 팽배하다”고 지적했다.

방글라데시 야권 지지자들이 7일(현지시간) 수도 다카에서 경찰에게 돌을 던지고 있다. AFP연합뉴스

예견된 압승으로 하시나 총리는 2009년부터 네 번 연속 총리직 사수에 성공했다. 1996~2001년 집권까지 더하면 다섯 번째 총리직을 수행하게 됐다. 하지만 하시나 총리의 권위주의 행태가 방글라데시 민주주의를 퇴보시켰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무엇보다 그가 방글라데시 ‘건국 아버지’로 불리는 셰이크 마지부르 라만 초대 대통령의 장녀라는 점에서 실망감을 더하고 있다.

라만 전 대통령은 1971년 방글라데시가 파키스탄으로부터 독립하는 데 가장 큰 공을 세웠지만, 1975년 군부 쿠데타로 암살된 비운의 인물이다. 당시 라만 전 대통령 일가가 군부에 몰살당한 가운데 유럽에 머물던 하시나 총리만이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

하시나 총리는 유세 기간 라만 전 대통령에 대한 향수를 일으키는 메시지를 여러 차례 발신했다. NYT에 따르면 그는 “쿠데타를 거듭하며 혼란을 겪었던 방글라데시엔 이제 안정감이 필요하다”며 장기 집권을 정당화했다. 여기에 라만 전 대통령을 암살한 군부의 뒤를 봐준 세력이 지금의 BNP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전날 투표를 마친 뒤 “BNP는 테러조직”이라며 “민주주의가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방글라데시 유권자와 전문가들의 반응은 싸늘했다. 수도 다카에서 인력거를 모는 무함마드 사이두르는 가디언에 “내가 왜 뻔한 투표를 하러 가야 하는가”라고 반문했다. 알리 리아즈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정치학과 교수는 NYT에 “방글라데시는 서류 상엔 민주주의 국가로 기록돼 있지만 이젠 일당제 국가가 됐다”고 꼬집었고, 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도 “AL이 감옥을 정적들로 가득 채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부정선거 논란에 방글라데시는 당분간 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선거 당일에도 여야 지지자 사이의 충돌이 이어져 다카 인근 먼시간즈 지역에선 여당 지지자 한 명이 흉기에 찔려 사망했다. AL은 당선자들에게 “과한 축하 행사는 자제하라”며 민심 다독이기에 나섰다. BBC는 “선거 결과는 뻔했지만, 미래는 불확실해 보인다”라고 평가했다.

손우성 기자 applepi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