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학력 남성은 결혼 힘들대”…독신남 늘면 노동시장 충격 ‘어마어마’
노동공급 감소 요인으로 작용
“미혼인구 특성 맞게 근로환경 개선을”
특히, 미혼인구 증가는 여성의 경우 노동시장 참여를 확대하는 긍정적 부분이 있지만, 남성은 노동공급을 줄이고 출산율을 낮춰 미래의 노동공급 여력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이런 내용은 담은 ‘미혼인구 증가와 노동공급 장기추세’를 주제로 한 BOK 이슈노트를 8일 발간했다.
2013~2023년 관련 통계를 바탕으로 보고서를 작성한 정선영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과장은 “미혼인구 증가는 인구고령화만큼이나 노동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다”며 “노동시장의 핵심연령층인 30~54세 대상으로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 미혼이 기혼에 비해 노동공급 성향이 낮고 여성의 경우 그 반대로 나타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미혼인구 비중이 증가할수록 남성의 노동공급 총량은 감소하는 반면, 여성의 노동공급 총량은 증가한다는 설명이다.
분석을 보면, 남성의 경우 미혼인구 비중 증가는 노동공급 총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기혼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2013~23년 평균)은 미혼 대비 각각 13%포인트, 16%포인트 각각 높고 실업률은 약 4%포인트 낮았다. 또한, 기혼 남성은 미혼에 비해 시간제 근로 비중이 낮아 1인당 근로시간이 더 길었다.
여성의 경우 남성과 상반된 결과로,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2013~23년 평균)은 미혼 대비 각각 19%포인트, 16%포인트 낮았다. 기혼 여성은 미혼에 비해 시간제 근로 비중이 높아 1인당 근로시간도 더 짧았다.
이에 따라 미혼인구 비중의 증가는 남성과 달리 여성은 경제활동참가율과 평균 근로시간을 높여 경제 전체의 노동공급 총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남성과 여성 전체로는 지난 20여년 동안 미혼인구 비중이 3.2%포인트 상승했는데, 핵심연령층(30~54세) 내 미혼인구 비중이 2000년 7.4%에서 2020년 24.6%로 17.2%포인트 증가하면서 총인구의 미혼율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는 모습이다.
학력수준별로 보면 저학력 남성의 미혼율(30.9%)이 고학력 남성(27.4%)에 비해 높은 반면, 저학력 여성의 미혼율(15.9%)은 고학력 여성(28.1%)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 과장은 “저학력 남성의 미혼율이 고학력 남성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것은 비자발적 요인으로 볼 수 있다”며 “저학력 여성의 미혼율은 낮고 고학력 여성은 높게 나타나는 점은 자기선택적 요인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정 과장은 “미혼인구 비중 증가는 여성의 노동공급을 늘리고 남성의 노동공급은 줄이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총효과의 방향은 두 효과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며 “지난 10년간 변화를 보면 우리나라는 핵심연령층에서 미혼인구 비중 증가로 인한 여성의 노동공급 증가보다 남성의 노동공급 감소가 커 고용과 근로시간 측면 모두에서 총노동공급을 줄이는 방향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이에 정 과장은 “혼인율을 높이는 것은 미래의 노동공급 뿐만 아니라 현재 시점의 안정적인 노동공급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다만, 정 과장은 “미혼인구 증가세는 역행하기 어려운 구조적 흐름”이라며 “인구 미혼화 대응 정책은 혼인율을 높여 노동공급 감소를 줄이는 완화정책과 함께 미혼인구의 특성에 맞게 근로환경을 개선해 미혼의 노동시장 참여를 높이는 적응정책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전기차 산 내가 바보였네”…충전요금 인상카드 만지작 거리는 한전 - 매일경제
- [단독] 태영, 당국·채권자 요구안 수용…워크아웃 개시될듯 - 매일경제
- “부자 동네는 이렇구나”…의사 2배 많고 특목고 진학 3배 높아 - 매일경제
- 잘나가는 스타트업, 알고보니 고딩사장…미국 IT성지에서도 주목 - 매일경제
- “버리면 쓰레기인데, 돈 벌고 기부도”…주민 1만명 넘게 나선 ‘쓰테크’ - 매일경제
- 전세계에서 ‘단 1명뿐’인 혈액형이 있다고?…수혈은 하늘에 별따기 - 매일경제
- 직장인 추가 건보료 왜?… ‘부수입’ 연 2천만원 넘는 직장인 60만명 - 매일경제
- 225만원 개집·34만원 개밥그릇 ‘펫셔리’…댕댕아, 네가 나보다 잘산다 - 매일경제
- 바이오주 다시 불붙나…합병신주 상장 앞둔 이종목에 관심[주식 초고수는 지금] - 매일경제
- 미국농구 유명 전문가 “여준석 계속 발전할 재능”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