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rning from Lincoln to restore politics (KOR)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연말 미국 워싱턴 DC의 한 공연장을 찾았다.
포드 극장은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이 암살을 당한 역사적 현장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극장은 1865년 4월 14일 오후 10시 15분 2층 발코니에서 연극을 보던 링컨이 노예해방에 반대하는 암살자에 피격당한 당시 상황을 빠짐없이 기록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IM HYOUNG-GUThe author is the Washington bureau chief of the JoongAng Ilbo. At the end of last year, I visited a historic theater in Washington. Ford’s Theatre stands among modern structures, just as it has since the 1800s. What impressed me more than the performance of “A Christmas Carol” was the Lincoln Museum in the basement.
Ford’s Theatre is known as the historical site where U.S. President Abraham Lincoln was assassinated. The museum has a detailed account of the moment — specifically at 10:15 p.m. on April 14, 1865 — when Lincoln was shot by an assassin who opposed the emancipation of slaves while the president was watching a play on the second-floor balcon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rridor to the theater, actions of Lincoln and the assassin are chronicled in detail. The two timelines meet right at the entrance of the theater. The revolver pistol used in the assassination and the knife used in the emergency surgery catch the eyes of the visitors.
At one corner of the museum, a quote from Lincoln’s letter to the Congress shortly before signing the Emancipation Proclamation is inscribed. “We cannot escape history,” the line says. The proclamation contains Lincoln’s hope to end the hatred and division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over slavery and to move forward to the future.
Despite Lincoln’s wish for a politics of unity, the United States has since faced many crises threatening democracy, including the 1963 assassination of President John F. Kennedy and the January 6 U.S. Capitol attack that shocked the world around this time three years ago.
The attack on Democratic Party leader Lee Jae-myung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even seemed to be shocking in the U.S. Major American media outlets reported the incident, focusing on the political polarization and politics of hatred in Korea.
The American political scholars that the JoongAng Ilbo contacted presented a single prescription — “restoration of politics.” As the vices of factional politics aimed at looking at the other party only as a target to break may grow ahead of the April 10 parliamentary elections, Politics must be restored to its original function of resolving conflicts through dialogue and compromise, the scholars advised.
President Lincoln appointed Edwin Stanton, his nemesis who was openly hostile toward him, as the Secretary of War despite oppositions from his aides during the Civil War. Stanton was loyal to the Lincoln administration and turned into a strong supporter of Lincoln.
When Lincoln was shot, Stanton immediately came to the spot and delivered a famous farewell speech in which he said Lincoln would remain in history. Lincoln’s politics of tolerance and inclusion, embracing even his political opponents, remains as homework for politicians even today.
정적도 껴안았던 링컨…정치의 복원, ‘포용’부터김형구 워싱턴 총국장
지난 연말 미국 워싱턴 DC의 한 공연장을 찾았다. 현대식 빌딩 사이에서 1800년대 모습 그대로 자리를 지키고 있는 포드 극장이다. 가족과 함께 본 공연 ‘크리스마스 캐럴’보다 정작 눈길을 사로잡은 건 지하 홀의 링컨 박물관이었다.
포드 극장은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이 암살을 당한 역사적 현장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극장은 1865년 4월 14일 오후 10시 15분 2층 발코니에서 연극을 보던 링컨이 노예해방에 반대하는 암살자에 피격당한 당시 상황을 빠짐없이 기록하고 있다.
공연장으로 연결되는 복도 왼쪽과 오른쪽에는 사건 당일 희생자(링컨)와 암살자의 행적이 시간대별로 세세하게 적혀 있다. 둘의 타임라인 맨 끝은 공연장 입구 바로 앞에서 서로 만난다. 암살에 쓰인 리볼버 권총, 링컨 응급수술에 사용된 칼 하나하나까지 관람객의 눈길을 끈다.
박물관 한쪽엔 링컨이 노예해방선언문 서명 전 의회에 보낸 서한 가운데 등장하는 명문(名文) ‘우리는 역사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We cannot escape history)’가 새겨져 있다. 노예 해방을 놓고 남북으로 갈렸지만, 증오와 분열을 끝내고 미래로 나아가자는 그의 염원이 담겼다.
역사에 부끄럽지 않은 통합의 정치를 원했던 링컨의 바람에도 미국은 이후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몇 차례의 중대 고비를 맞았다. 1963년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그리고 3년 전 이맘때 세계를 경악시킨 1ㆍ6 의사당 난입 사건 등.
그런 미국도 새해 벽두에 터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피습 소식은 꽤 큰 충격을 준 듯하다. 미 유수의 언론은 사건 원인으로 지목된 한국의 정치양극화, 증오의 정치를 집중조명하며 비중있게 보도했다.
중앙일보가 접촉한 미 정치석학들이 내놓은 처방책은 하나로 모인다. ‘정치의 복원’이다. 상대를 오직 타파대상으로 보는 진영정치의 폐해가 선거를 앞두고 더욱 커질 수 있는 만큼 대화와 타협으로 갈등을 풀어나가는 정치 본연의 기능을 되찾아야 한다는 얘기다.
링컨은 자신에게 대놓고 적대감을 표했던 숙적 에드윈 스탠턴을 남북전쟁 때 주위 참모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전쟁부 장관에 임명했다. 스탠턴은 링컨 정부에 충성을 다했고 링컨의 강력한 지지자로 변모했다. 링컨이 피격당하자 한달음에 달려가 통곡하며 “그는 이제 역사로 남으려 한다”는 유명한 고별사를 남긴 이도 스탠턴이다. 정적도 껴안은 링컨의 관용과 포용의 정치, 159년이 지난 지금도 숙제로 남았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outh Korea calls Russia 'self-contradictory' for using North Korean missiles in Ukraine
- Webtoon sequel to 'Gyeongseong Creature' to be released on Jan. 20
- Gas explosion in Pyeongchang
- Seoul Mayor Oh says sorry after intercity bus signs cause traffic chaos
- North Korea fires 90 shells toward South for third straight day
- Actor Yoo Ah-in appears before court for first hearing over drug use case
- Koreans are embracing barefoot walking. Doctors aren't so sure.
- Stray Kids' Felix donates 100 million won to Laotian children
- Stray Kids to drop two albums, hold third world tour in 2024
- Nude model Ha Young-eun bares all with her first 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