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긴축 후 美경제 과제는 ‘성장’···석학들 “AI發 생산성 혁신하라”[뒷북글로벌]

샌안토니오=김흥록 특파원 2024. 1. 8. 06: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4 전미경제학회
글렌 허바드 前 백악관 경제자문
“AI 적극적 국가가 유리한 위치”
석학들, 美경제 지속가능 방안 고민
하인스 교수 “부채로 美경쟁력 약화”
에벌리 교수 “베이비붐세대 급속 이탈”
AI·바이오·디지털 등 기술혁신 지원 제안
5일(현지시간) 부터 미국 텍사스 샌안토니오에서 열리고 있는 2024 전미경제학회(AEA) 연례 총회에서 청중들이 제임스 하인즈 미시간대 교수와 재니스 에벌리 노스웨스턴대 교수 등의 발표를 듣고 있다. 사진=김흥록특파원
[서울경제]

“AI 수용에 적극적인 정책을 펼치는 국가가 앞으로 경제에서 유리한 위치에 오를 것이다.” (글렌 허버드 컬럼비아대 교수)

“팬데믹 이후 공급망 회복은 정상으로 가는 과정일 뿐 성장을 이끌 수 없다.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재니스 에벌리 노스웨스턴대 교수)

미국의 경제 석학들이 코로나19 팬데믹과 긴축 이후 각국의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은 생산성 확보에 달렸다고 강조했다. 지정학적 긴장과 재정적자 문제로 다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리스크를 피할 수 있는 열쇠가 생산성이라는 지적이다. 석학들은 이를 위해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혁신, 지적재산 등 무형자산에 대한 투자를 제안했다.

미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을 지낸 글렌 허버드 컬럼비아대 교수는 6일(현지 시간) 미국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에서 열린 2024 전미경제학회(AEA) 연례 총회에서 “1970년 대 이후 미국의 생산성은 계속 해서 하락하는 추세에 있다"며 "이런 와중에 생성형AI는 가장 최신의 생산성 혁신”이라고 AI를 성장을 위한 기회로 제안했다. 다만 그는 AI 도입 과정에서 19세기 초반 러다이트(Luddite·기계 파괴 운동)와 같은 사회적 반대에 부딪힐수 있다고 우려했다. 허바드 교수는 “혁신의 도래 과정에선 제도와 조직 적응도 중요하다”며 “AI 혁신에 대한 우려는 경제나 과학이 아니라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부의장 후보로 거론됐던 재니스 에벌리 노스웨스턴대 교수는 “고령 근로자의 퇴직이 늘고 두 개의 전쟁이 벌어지는 심각한 위험이 펼쳐지고 있다”며 “지적재산권·AI 등 무형자산에 대한 투자로 생산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밝혔다.

미국의 경제 석학들이 생산성에 주목하는 이유는 정부부채가 급등하고 고령화가 시작돼 노동력이 부족해 지는 등 미국이 처한 구조적 환경이 성장 동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이같은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개혁을 진행하는 동시에 성장을 이어가기 위해 생산성 향상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美 연방 적자 눈덩이 효과 “이대로는 재정 위기”
크리스토퍼 심스 프린스턴대 교수

석학들은 금융위기, 팬데믹을 겪으며 급증한 정부 부채(고부채)와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고령화) 등을 미국 경제의 주요 구조적 과제로 지목했다. 특히 미국 정부 부채가 지속 불가능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데 학계의 의견이 모였다. 2011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크리스토퍼 심스 프린스턴대 교수는 “미국 정부가 재정적자로 인해 이자비용이 급격하고 늘고 있는데도 재정 감축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면 인플레이션이 재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 재무부에 따르면 현재 미국 정부 부채는 34조 62억 달러(약 4경 4744조 원). 2008년 초 10조 달러 수준이었던 정부 부채는 금융위기와 팬데믹을 거치며 15년 만에 3배로 급증했다. 모건스탠리의 수석 미국 이코노미스트인 엘런 젠트너는 “금리가 금융위기 이전 평균 수준인 3.2%를 유지한다면 미국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 비율은 지난해 122.1% 수준에서 2040년 145.6%까지 올라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부채는 국채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데이나 피터슨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늘어나는 국채 발행을 과연 시장에서 소화할 수 있을 것인지 유념해야 한다”며 “중국·일본은 이미 미국 국채 외에도 투자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고 있다. 부채가 늘수록 신용등급은 떨어져 조달 비용이 더 늘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고통스럽지만 헬스케어 개편과 세제 개혁, 초당적 부채위원회 설립, 은퇴 연령 상향 등 가능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노동인구 감소도 미국 경제의 당면 과제다. 피터슨 수석이코노미스트는 “65세 이상 인구 대비 25~64세 인구 비율은 1980년 4.2명에서 2020년 3.0을 넘었으며 2040년 2.2명, 2060년에는 2명 이하로 떨어진다”며 “노동인구 감소로 세입은 줄고 복지 지출은 늘어나게 된다”고 말했다. 고령화 문제가 재정 적자와도 얽혀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이민을 늘려야 한다는 조언도 잇따랐다. 젠트너 이코노미스트는 “Z세대는 처음으로 비백인이 다수인 세대가 됐고 이들의 경제적 영향은 더 커질 것”이라며 “이민은 지속 가능성에 크게 기여한다”고 주장했다. 하인스 교수는 “이민을 제한하면 부족한 숙련공을 자본으로 대체해야 해 비용이 늘어난다”며 “이는 인플레이션의 또 다른 요인”이라고 말했다.

AI·자율주행차·바이오 등 美 혁신 진행 중···親 디지털 정책으로 생산성 높여야

석학들이 생산성 향상을 조언한 것도 이 때문이다. 노동인구가 줄어들고 투자 위축 등이 발생하는 데 대응해 생산성을 더욱 높여야 성장할 수 있다는 논리다. 제임스 하인스 교수는 “1990년대 미국 정부가 흑자를 기록할 수 있었던 것은 당시 생산성이 폭발하면서 세금이 늘고 세금법을 개정했기 때문”이라며 “지금 가능한 일이 무엇인지를 보면 미국 경제에서 계속되는 혁신을 이용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자율주행 자동차, 비만 치료제 ‘오젬픽’과 같은 제약 분야에서 혁신이 일어날 잠재력이 있다”고 덧붙였다.

인공지능(AI)에 주목하는 목소리도 어느 때보다 컸다. 타냐 바비냐 컬럼비아대 교수는 모건스탠리나 스타벅스가 AI를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나 공급망 관리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하며 “AI를 통해 생산성을 높인 증거는 계속 나오고 있다”며 “미국 상장 기업의 50% 이상이 어떤 형태로든 AI에 투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2024 AEA에서는 글로벌 경제성장을 견인해온 무역의 힘이 약해질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됐다. 도미닉 살바토레 포덤대 교수는 “무역이 성장을 견인하지 못하는 시대를 보게 될 것”이라며 “미국이 이를 바로잡지 못한다면 중장기적으로 달러의 위상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샌안토니오=김흥록 특파원 rok@sedaily.com워싱턴=윤홍우 특파원 seoulbird@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