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건설 워크아웃 무산 가능성… 정부, `플랜 B` 만지작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태영건설에 대해 '워크아웃 무산'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고려하고 있다.
오는 11일 채권단들이 워크아웃에 찬성하지 않을 시 태영건설은 법정관리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높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7일 태영건설이 내놓은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 자구계획에 대해 "경영자가 자기의 뼈를 깎는 고통스러운 일을 해야 한다"며 "돈을 빌려준 금융기관 입장에서도 '그 정도 노력을 했으면 불가피하다'는 국민적 합의가 이뤄질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주주 일가 출연사재 68억 불과
정부가 태영건설에 대해 '워크아웃 무산'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고려하고 있다. 예고된 위험을 간과하다가 낭패를 당하는 '회색 코뿔소'만은 피하자는 것이다. 태영건설이 추가 자구안을 내놓더라도 채권단 간의 이해관계가 복잡해 '75% 동의' 요건을 낙관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오는 11일 채권단들이 워크아웃에 찬성하지 않을 시 태영건설은 법정관리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높다. 법정관리 시에는 워크아웃과 달리 대부분 대출이 손실로 분류되고, 경영권이 박탈된다는 게 핵심이다. 부채 상환을 위해선 채권단인 금융사보다 산업은행 등 정부 자금이 투입된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7일 태영건설이 내놓은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 자구계획에 대해 "경영자가 자기의 뼈를 깎는 고통스러운 일을 해야 한다"며 "돈을 빌려준 금융기관 입장에서도 '그 정도 노력을 했으면 불가피하다'는 국민적 합의가 이뤄질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당국과 채권단은 태영 측에 채권단 협의에 앞서 추가 자구안 제시를 요청했다. 앞서 제시한 자구안에 대해선 충분치 않다는 입장이다. 채권단은 태영그룹이 태영인더스트리 매각대금 1549억원 중 890억원을 티와이홀딩스 연대보증 채무 상환에 사용해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며 강하게 압박하고 있다. 경영권 유지를 목적으로 연대보증 채무를 갚아놓고 태영건설을 지원한 것처럼 왜곡했다는 것이다.
현재까지 윤세영 창업 회장, 윤석민 회장 등 대주주 일가가 출연한 사재는 총 484억원. 그러나 업계에서는 태영 측이 채권단에 밝힌 자구안과 중복 금액을 제외하면 실제 68억원 정도로 추산하고 있다.
태영그룹의 지배구조상 추가 자금 조달이 가능한 곳은 티와이홀딩스와 SBS 등이다. 이중 SBS는 방송법상 대기업 지분 제한과 방송통신위원회의 최대주주 변경 승인 등으로 제약이 있다. 당장 티와이홀딩스 지분을 활용한 유동성 확보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결론에 이른다. 다만 티와이홀딩스 지분을 매각한다면 태영그룹의 경영권이 흔들리게 된다.
태영건설과 채권단 간 파열음이 고조되면서 금융당국과 산업은행 움직임도 긴박해지고 있다.
금융당국은 8일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에서 금융지주 PF 담당 임원들과 은행연합회 관계자들을 소집해 부동산 PF 현황 및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에 따라 산업 구조조정 우려가 현실화 되고 있는 만큼 '제2의 태영건설'을 막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모든 경우의 수를 다 놓고 준비하고 있다"며 "(법정관리 시에도) 시장에 혼란이나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실무적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법정관리행이 확정될 경우 협력업체 공사대금 등 상거래채권까지 모든 채권이 동결되고 추가 자금 지원이 이뤄지지 않는다. 이 경우 분양계약자와 500여개 협력업체의 피해로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태영건설이 쓰러질 경우 시장이 신뢰를 잃어 줄도산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발채무가 당장 재무 지표를 압박할 수 있다. 한국신용평가는 작년 9월 말 기준 주요 건설사들이 자기자본 대비 PF 보증 규모가 50%를 넘었다고 집계했다. 롯데건설(212.7%), 현대건설(121.9%), HDC현대산업개발(77.9%), GS건설(60.7%), KCC건설(56.4%), 신세계건설(50.0%) 등이다. 올해 상반기 중 만기가 도래하는 주요 건설사들의 회사채 규모는 2조3700억원 가량으로 추산했다.
김경렬기자 iam10@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건희 특검 거부한 尹, 제2부속실 카드로 민심 달랜다
- 정서·생활태도에도 도움?...한국어 `열공`하는 英10대들
- 올림픽대교 인근 한강서 훼손된 30대 여성 시신 발견…경찰 수사
- "김건희를 특검하라"...친북성향 대학생단체 대통령실 진입하려다 `체포`
- 호텔이야 폐가야?...제주도 호텔의 `악몽`
- [트럼프 2기 시동] `행정부 충성파로 신속 구성한다"
- 온누리상품권 부정유통 13곳 적발… 중기부 "매월 현장조사"
- 공수 뒤바뀐 여야… 국힘, 1심 선고 앞두고 `이재명 때리기` 집중
- `이사회 2.0` 도입 제시… 최태원 "사후성·평가로 역할 확대"
- 몬스테라 분갈이 네이버에 검색하니 요약에 출처까지… "`AI 브리핑` 검색 길잡이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