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데스크] 영세中企에 중대법 강행만이 능사인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충북 제천에서 목재·석재 가공업을 하는 A사는 직원 22명 중 사장, 인사 담당자, 경리 담당자, 경비원 등 6명을 제외한 16명이 동남아시아에서 온 외국인 근로자다.
A사 사장은 정부가 지원하는 중대재해처벌법 무료 컨설팅을 두 차례 받았지만 별 도움은 되지 않았다.
50인 미만 사업장에 대한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이 채 20일도 남지 않았다.
2021년 중대재해처벌법을 제정할 때 50인 미만 사업장에 대해서는 3년 유예기간을 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세기업 84% "준비 안 됐다"
전문인력·조직 갖출 여건 안돼
강력한 법 시행 불구 재해 여전
현장과 따로 노는 법안이 문제
2년 유예하고 원론부터 고민을
충북 제천에서 목재·석재 가공업을 하는 A사는 직원 22명 중 사장, 인사 담당자, 경리 담당자, 경비원 등 6명을 제외한 16명이 동남아시아에서 온 외국인 근로자다. A사 사장은 정부가 지원하는 중대재해처벌법 무료 컨설팅을 두 차례 받았지만 별 도움은 되지 않았다. 무료 컨설팅 내용이 사전 예방책을 알려주는 게 아니라 처벌을 피하기 위한 서류 작업 중심으로 이뤄졌기 때문이다. 컨설턴트가 알려준 '산업안전 임직원 선언문'을 만들어 직원 서명을 받으려 했지만, 외국인 근로자들이 '서명하기 귀찮다' '이런 서류에 서명하라고 하면 회사 관두겠다' 등 핑계를 대며 거부하는 일도 있었다.
안전관리 담당자를 채용하면 되지 않느냐는 지적에 A사 사장은 한숨부터 내쉬었다. 그는 "현장일을 할 사람도 못 구해 난리인데 요즘 몸값 상한가를 달리고 있는 안전관리 전문가가 지방 영세기업에 오겠느냐"며 "일단 한국말 하는 직원이 몇 명 없고, 한국인 중에서도 복잡한 법 내용을 이해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고 보면 된다"고 털어놨다.
50인 미만 사업장에 대한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이 채 20일도 남지 않았다. 2021년 중대재해처벌법을 제정할 때 50인 미만 사업장에 대해서는 3년 유예기간을 뒀다. 현재 국회에는 적용을 2년 더 유예하자는 법안이 계류 중이다. 총선을 앞둔 여야는 어느 쪽이 표에 유리할지 머리만 굴리고 있을 뿐 실질적인 논의는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태다.
유예기간 추가 연장을 놓고 찬반이 거세다. 노동계를 비롯한 반대쪽은 '법을 지킬 의지가 있는 기업은 이미 준비할 수 있었다'는 명분을 내세운다. 정부가 안전보건 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무료 컨설팅과 교육, 가이드북 배포 등 지원을 했는데, 또 유예하자는 것은 애초에 법을 지킬 뜻이 없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중소기업 유관단체 등 연장을 주장하는 쪽은 현실을 얘기한다. 중소기업중앙회와 매일경제가 지난해 10월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50인 미만 사업장의 84%가 '아직 법 시행에 준비하지 못했다'고 응답했다. '모든 준비를 마쳤다'는 기업은 1.2%에 불과했다. 영세사업장에서는 사장이 구속되거나 실형을 받을 경우 폐업에 내몰리고, 임직원은 일자리를 잃을 수도 있다는 점을 가장 우려한다.
재해 발생률을 낮추고, 안전한 일터를 만들자는 데 공감하지 않을 사람이 누가 있을까. 근로자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자는 법인데, 이를 또 유예해달라고 하는 것부터가 불리한 게임을 시작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정 당시부터 문제가 제기됐던 중대재해처벌법이 구조적으로 문제가 있는 건 아닌지 검토해봐야 한다. 형사법과 산업안전보건법으로도 처벌할 수 있는데 '사업주 형사처벌'에만 초점을 맞춘 '옥상옥'의 법을 만들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인력과 예산이 충분한 대기업은 문제가 없겠지만, 과연 이 법이 영세기업 사업주가 의지만 갖는다고 지킬 수 있는 수준인지 한번 되짚어봐야 할 필요가 있다. 대다수 영세기업이 법을 지킬 능력이 안되는데 무조건 강행을 외치는 건 중대재해 예방이라는 법 취지에 맞지 않고, 무분별하게 사업주를 범죄자로 양산할 우려가 있다.
전문가들은 대기업, 중소기업, 영세기업에 각각 다른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낸다. 또 기업 규모별, 산업별, 업종별로 명확한 안전의무 이행 기준을 주고, 미충족 시에만 처벌하는 등 법을 현실에 맞게 손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유예기간을 2년 연장해 중소기업에 준비할 시간을 더 주고 정부가 지원을 확대하는 것은 물론, 국회·노동계·경영계는 강력한 법 시행에도 불구하고 왜 중대재해가 줄어들지 않는지에 대한 원론적인 고민부터 머리를 맞대야 한다.
[고재만 벤처중소기업부장]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가를 지배한 ‘이 대학’ 도련님들…나라 망쳐놓고도 당당했다 [Books] - 매일경제
- 정류장에 버스가 500대, 퇴근길 ‘생지옥’…당황한 오세훈 “대책 마련” - 매일경제
- ‘성착취 억만장자’ 엡스타인 섬 18세때 방문한 톱 모델…2년 뒤 결국 - 매일경제
- 로켓에 연료 대신 물 넣었다고?...중국이 중국했네 - 매일경제
- “재건축 할까 말까 골머리”…잠실진주·대조1구역 분담금에 ‘멘붕’ - 매일경제
- 한국 여성 평균수명 사상 처음 90세 넘었다…남성은 몇세? - 매일경제
- “정말 다르긴 다르네”…첫날 10만1000여명 모인 ‘이 축제’ 오늘 개막 - 매일경제
- ‘손흥민 아버지’ 손웅정 “TV·핸드폰 치우는게 가정교육 첫걸음…난 흥민이도 체벌” - 매일
- 한동훈 인재영입 1호는 이 사람…‘학폭 대응’ 전문가도 영입한다 - 매일경제
- ‘이재성 골·이강인 억울한 퇴장’ 클린스만호, 이라크에 1-0 승리…6G 연속 클린시트 승리 [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