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재테크, 어떻게 해야 될까?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변에서 “지금 뭐를 어떻게 해야 하지?”라고 물어오곤 한다. 불확실성이 높은 시기라 투자에 능숙하지 않다면 안정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좋다는 대답을 한다. 고금리를 이용해 은행의 예금이나 증권사의 발행어음 등을 이용해볼 만하다. 증권사의 발행어음에 대해 낯설어하는 이들이 많은데, 증권사에 직접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것이니 은행의 예금과 유사하다. 다만 돈을 맡기고 이자를 받는 곳이 은행이 아닌 증권사여서 예금자보호법의 대상이 아니다. 하지만 초대형 투자은행으로 지정된 증권사만 자체 신용으로 정해진 한도 내에서 어음을 발행할 수 있어 해당 증권사가 망한다면 모를까 돈을 떼일 가능성이 희박하다. 1년 이내의 기간으로 약정을 하는 방식인데 중도 해지가 가능하다. 수익률은 대체로 은행의 예금보다 약간 높게 형성되나 요즘엔 은행의 예금 금리가 수시로 변동돼 같거나 좀 더 높아질 때도 있다.
만일 부채가 있다면 고금리로 인해 원리금 부담이 크기에 자산에서 차지하는 부채의 비중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앞으로 금리가 현 수준에서 더 높아질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지만 몇 년 전과 같은 저금리로 단시간 내에 되돌아가기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2024년 한 해를 가를 가장 큰 변수는 미국의 기준금리
당분간 이어질 주택시장의 키워드는 ‘양극화’와 ‘소형화’
주택시장을 움직이는 요인으로 단지 수급만 있는 것이 아니다. 개발 호재, 경기와 경제성장률, 투자 심리, 대체 투자 대상의 유무, 정책의 방향성 등 많다.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 부동산 투자 의사가 있는 가구주는 52.7%였는데 내 집 마련 35.7%, 가치 상승 19.4%, 임대 수입 17.4% 등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내 집 마련 및 투자 수요가 계속 있음을 알 수 있다. 1주택자 양산을 위한 정책 자금으로 2023년에는 40조원의 특례보금자리론 정책대출이 있었다. 2024년에는 26조 6,000억원 규모로 출시될 신생아 특례대출이 예고돼 있다. 그리고 20조~30조원 규모의 청년주택드림대출, 20조원 규모의 보금자리론·적격대출 등도 있어 정책 자금 규모가 67조~77조원으로 추산된다. 이러한 상황을 볼 때 전반적인 주택시장의 모습은 투매가 동반된 급락보다는 오르내림을 반복하는 박스권의 모습을 보일 개연성이 더 높지 않을까 생각된다. 최근 수도권의 10년 이상 된 아파트 거래 비중이 높아지는 중이다. 분양가가 높아지자 새 아파트가 아니라도 주변 인프라를 갖춰 살기 편하면 된다는 인식이 자리 잡아가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택은 실거주+투자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정책대출 상품 등을 이용해 기간 제약 없이 편안하게 거주할 수 있는 내 집 마련을 원한다면 양극화를 고려해 학군, 생활 인프라, 일자리와 직장의 접근성, 지역의 확장성을 꼼꼼하게 따져보고 판단하자. 새 아파트를 분양받고자 한다면 아직 분양가상한제가 시행되고 있는 서울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구)나 2기 신도시 등 공공택지 분양을 노려보자.
기획 : 하은정 기자 | 글 : 조혜경(경제 칼럼니스트) |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Copyright © 우먼센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