널뛰는 유가에 실적 들쑥날쑥… 정유업계, '사업 다각화' 효과는 언제

김동욱 기자 2024. 1. 7. 08: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정유사들의 실적과 직결되는 국제유가는 올해 상반기 내리고 하반기 오르는 '상저하고'일 것으로 관측된다.

정유사들은 국제 유가 변화에 따른 실적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사업 다각화에 힘쓰고 있으나 아직 효과가 미미하다.

올해는 국제유가 변동성이 클 것이란 게 중론이다.

지난해 말부터 이어진 수요둔화 우려가 올해 상반기에도 지속되며 국제유가가 하락할 것이란 시각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항공유, 2026년 국내 도입 예상
수소 사업, 2030년 이후 탄력
정유업계의 신사업이 아직은 성과를 내고 있지 않다. 사진은 SK이노베이션 울산 콤플렉스(CLX). /사진=김동욱 기자
국내 정유사들의 실적과 직결되는 국제유가는 올해 상반기 내리고 하반기 오르는 '상저하고'일 것으로 관측된다. 정유사들은 국제 유가 변화에 따른 실적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사업 다각화에 힘쓰고 있으나 아직 효과가 미미하다. 본격적인 성과 창출은 수년 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유가, 올해 상저하고 전망… 많이 내리고 크게 오른다


7일 에너지경제연구원 등에 따르면 수입 원유의 기준이 되는 두바이유는 올해 배럴당 평균 83달러를 기록할 전망이다. 지난해(배럴당 82달러) 대비 소폭 상승이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 등은 생산과 수요가 모두 증가하는 가운데 수급이 3년 만에 공급 부족으로 전환되며 유가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는 국제유가 변동성이 클 것이란 게 중론이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OPEC 산유국으로 이뤄진 OPEC+의 유가 부양 의지와 주요국 경기둔화에 따른 석유 수요 감소 우려 등 유가 상·하방 요인이 혼재하기 때문이다.

반기별 전망을 살펴보면 상반기에는 저유가 현상이, 하반기에는 고유가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말부터 이어진 수요둔화 우려가 올해 상반기에도 지속되며 국제유가가 하락할 것이란 시각이다. 하반기에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본격화로 투자심리가 개선되며 국제유가가 뛸 가능성이 크다.

국제금융센터(KCIF)는 '2024년 국제원유시장 전망'을 통해 "세계 성장세 둔화 가속화 등 약세 요인이 시장을 주도하면 상황에 따라 국제유가가 지난해 저점(배럴당 66달러)을 밑돌 가능성이 있다"며 "금융 여건 개선으로 투기자금이 유입이 본격화되는 상황에서 중동 확전 위험이 커질 때는 국제유가가 일시 급등해 지난해 고점(배럴당 94달러)을 돌파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정유사, SAF·수소 사업 확대… 성과는 '수년 후'


'내트럭인천 수소충전소'에서 수소화물차와 수소버스가 충전을 하고 있다. /사진=SK에너지 제공
국제유가 변동은 정유사들의 실적에 영향을 준다. 원유를 싼값에 구매한 뒤 국제유가가 오르면 재고평가이익이 발생하고 반대 경우에는 영업이익이 줄거나 영업손실이 불가피한 구조다. 정유사들은 안정적인 수익 창출을 위해 친환경 등 비정유 사업을 확대하고 있으나 성과는 여의찮다. 신사업 규모가 작아 실적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다.

지속가능항공유(SAF)가 대표 사례다. 국내 정유사들은 유럽연합(EU)의 SAF 의무화 정책 등에 발맞춰 관련 사업을 확대하고자 하지만 아직 본격적인 시장 진출에도 성공하지 못했다. 석유정제업의 범위를 '친환경 정제원료로 혼합한 것'으로 확장한다는 내용의 석유사업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지 못해서다. 탄소중립 기조 확대로 추후 본회의 통과 가능성이 크지만 실증 사업 기간 등을 고려하면 SAF 국내 도입은 오는 2026년쯤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소 사업도 미진하다. 수소차 보급이 예상보다 더딘 탓이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해 1~10월 국내에 판매된 수소차는 4227대다. 전년 동기(8547대)보다 절반 이상 줄었다. 정부의 수소차 보급 계획 등을 고려하면 오는 2030년은 넘어야 정유사들의 수소 관련 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는 2030년까지 수소차를 30만대 보급하고 수소충전소를 660기 구축한다는 목표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국내 정유사들이 확대하고 있는 SAF 및 수소 사업은 미래를 위한 준비 차원이지 현재 구체적인 성과를 내고 있지는 않다"며 "사업 인프라 등을 고려하면 SAF 사업이 단기적인, 수소 사업이 장기적인 미래 먹거리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SAF와 수소 사업이 실적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기를 가늠하기 힘들다"면서도 "사업 안정화를 이루는 데 시간이 다소 걸리지 않을까 싶다"고 부연했다.

김동욱 기자 ase846@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