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만성질환도 맞춤 관리 시대 ①
초고령사회를 목전에 둔 지금, 질병치료 중심에서 건강수명 시대로 변화하면서 점차 헬스케어의 패러다임이 ‘질병 맞춤 관리’로 변하고 있다.
만성질환은 완치가 아닌 꾸준한 관리가 중요
오랜 시간을 사는 것은 더 이상 의미가 없다. 그저 생명만 연장하기 보다는 자유롭게 이동하고, 건강하고 즐겁게 그리고 존중 받으며 사는 즉, 삶의 질이 더 중요한 시대다. 보통 70세가 되면 20대 청년기에 비해 수분, 근육량, 무기질은 감소하고 지방은 2배 이상 증가한다. 지방 분포도 바뀌어 피하지방은 줄고 복부 내장지방은 늘어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질환도 늘게 되는데, 개인의 건강 상태나 체질에 따라 빨리 오거나 늦출 수는 있지만, 피할 수는 없다.
우리나라는 2017년 고령사회로 진입하여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이 20% 이상인 초고령사회를 목전에 두고 있다. 2023년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현재 노인인구는 전체 인구의 18.4%를 차지하고 있다. 기대수명 역시 늘어나 2023년 평균 84.3세이나 2030년에는 여성 88.4세, 남성 83.0세로 평균 85.7세, 2050년에는 여성 90.9세, 남성 86.8세로 평균 88.9세를 예측하고 있다.
이처럼 생애주기가 늘면서 헬스케어의 패러다임도 변하고 있다. 질병치료 중심에서 건강수명 시대로 변화하면서, 완치가 아닌 꾸준한 관리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생겼다.
만성질환 관리, 노년기 삶의 질을 결정
노년기 건강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질환은 만성질환이다. 노화로 인해 심장이 확장되고 심벽은 두꺼워지며 심방과 심실이 조금씩 커지는 등 문제가 생기면 고혈압, 심부전, 허혈성 심질환, 부정맥 등 심혈관계 질환이 발병할 수 있다. 고혈압, 비만, 당뇨병 같은 질환을 이미 앓고 있는 경우라면 만성질환 자체가 심장에 영향을 끼쳐 만성 심부전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천식·만성폐기종·폐렴·폐암 등의 폐질환, 골다공증·관절염의 뼈관절 질환과 신장 비뇨기계의 질환 등과 같은 만성질환도 노년기 건강을 위협한다.
현대사회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만성질환으로 인한 건강문제는 점차 심화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이 전체 사망의 81%를 차지할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다. OECD와 WHO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15억 명 이상의 환자가 만성질환을 앓고 있고, 60세 이상 노년층의 질병 발생 중 50% 이상이 라이프 스타일 변화를 통해서 충분히 예방이 가능하다고 분석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생활습관 관리 등으로 예방 가능한 만성질환자는 2010년 기준 1,137만 명이다. 50~75세 연령대의 만성질환 유병률은 고혈압 50%, 당뇨병 20%, 고지혈증 20%, 암질환 7% 내외로 고령자 대부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성질환을 보유하고 있다. 결국 만성질환을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유병장수의 핵심이자, 노년기 삶의 질을 결정한다.
만성질환을 앓는다고 해서 건강하지 않거나, 반드시 사망에 이르는 것은 아니다. 만성질환을 앓고도 오랜 시간 건강하게 생존하는 경우도 많다. 조기에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을 진단해 꾸준히 관리하고 균형 잡힌 식사와 질환별 맞춤 운동을 통해 근육 감소를 늦춘다면 만성질환이 있더라도 삶의 질이 낮아지거나 조기 사망에 이르지 않고 건강하게 살 수 있다. 만성질환 조기 관리는 비단 노년층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젊은 층도 만성질환 관리 중요해
최근 젊은 층에서도 만성질환 환자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2020년 20대 중 당뇨로 치료받은 환자 수는 약 4만 2,657명, 고혈압으로 치료받은 환자 수가 4만 2,798명으로 같은 해 전체 20대 인구 수 대비 1.3%가 당뇨나 고혈압으로 치료 받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대비 당뇨 환자 증가율을 살펴보면 80세 미만 연령대 중 20대가 47.7%로 가장 많이 증가했으면 60대가 31.1%, 10대가 26.6% 순서로 많이 증가했다. 30대의 경우도 19% 증가했으며 0~9세의 경우도 18.1% 증가하는 등 젊은 층에서의 당뇨 환자 증가 추세가 뚜렷하게 확인된다.
이처럼 젊은 층에서 만성질환자가 증가하는 이유로는 미디어, SNS를 통한 먹방, 달고 짜는 것을 번갈아 먹는 ‘단짠’의 유행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노인층의 질환으로만 여겨졌던 만성질환이 젊은 층에서도 급속도로 환자가 늘고 있는 만큼 지속적인 건강 관리 체계 구축이 더욱 절실하다.
서애리 하이닥 건강의학기자 hidoceditor@mcircle.biz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 ⓒ ㈜엠서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하이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간 망치는 음주습관? 자주 조금씩 vs 한 번에 많이
- 혈당·콜레스테롤 고민, '이것' 꾸준히 먹으면 도움돼 [황수경의 건강칼럼]
- 건조한 겨울철, 코 건강 위협하는 '축농증' 발병 원인 밝혀져
- 아무리 다이어트해도 살이 안 빠진다면?…비만 아닌 ‘이 병’ 의심
- 혈관 확장술 후 남은 발의 괴사…최대한 살리려면 중요한 ‘이것’
- 결혼 전 '예신' 다이어트, 목표 체중까지 감량하는 방법
- ‘A부터 K까지’ 비타민 종류별 효능과 복용법 총정리 ②수용성 비타민
- 질염과 가려움을 유발하는 소음순 비대증, 소음순 성형으로 개선 가능
- 황반변성에 좋은 운동습관 7
- 겨울철 심해지는 열감 동반 ‘안면홍조’ 적절한 피부과 맞춤 레이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