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로리 ‘0’의 유혹…제로 탄산음료, 인공감미료 진짜 괜찮을까 [식탐]

2024. 1. 6. 08: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해 인공감미료 아스파탐을 '발암가능물질 분류군(2B)'에 포함시켰다.

조담 수에즈 미국 존스홉킨스 블룸버그 공중보건대학 부교수는 지난해 현지 일간지 워싱턴포스트를 통해 자신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인공 감미료의 무분별한 섭취를 경고했다.

WHO 역시 "인공 감미료는 장기 섭취 시 신진대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권장사항을 지난해 발표하면서 섭취량 조절을 권고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제로 탄산음료 시장 성장세
“신진대사 방해…중독증상 우려”
식품 업체들의 인공 감미료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123RF]

[헤럴드경제=육성연 기자]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해 인공감미료 아스파탐을 ‘발암가능물질 분류군(2B)’에 포함시켰다. 인공 감미료의 다량 섭취가 신진대사 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여러 기관의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스파탐을 사용하는 제로 탄산음료 시장은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다.

WHO의 발표 후 예상과 달리 제로 탄산음료 시장의 ‘김’은 빠지지 않았다. 발표 내용을 반박하는 논란이 일면서 인공 감미료를 우려하는 분위기가 크게 줄었다. 소비자는 여전히 제로 탄산음료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국내 시장은 아시아 지역 중에서도 제로 탄산음료의 수요가 높은 편이다.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국내 탄산음료 시장 내 제로 탄산의 비중은 2023년 예상 판매량 기준 29%다. 이는 아시아 평균(10.6%)보다 월등히 높은 수치다. 중국은 17%, 일본은 18%다.

지난해 국내 제로 탄산음료 판매액은 전년 대비 45%(예상) 성장했다. 지난 2021년부터 급성장하면서 이후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유로모니터 관계자는 “최근 국내에서 제로 탄산음료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은 국내 음료 시장의 두드러진 특징”이라고 말했다. 이어 “제로 탄산음료의 시장 진입은 일반·가향 탄산수의 경쟁 구도로 시작됐지만, 현재는 주류 브랜드의 노슈거·논알콜 음료로 경쟁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인공감미료를 장기적으로 다량 섭취하면 장내 미생물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123RF]

인공 감미료를 넣은 다양한 음료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조담 수에즈 미국 존스홉킨스 블룸버그 공중보건대학 부교수는 지난해 현지 일간지 워싱턴포스트를 통해 자신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인공 감미료의 무분별한 섭취를 경고했다. 그는 “대체 감미료의 다량 섭취는 우리 몸의 마이크로바이옴(미생물 생태계)을 신진대사에 해로운 방향으로 변형시킨다”고 전했다.

WHO 역시 “인공 감미료는 장기 섭취 시 신진대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권장사항을 지난해 발표하면서 섭취량 조절을 권고했다.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지난해 국제학술지 ‘영양 리뷰’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아스파탐의 과도한 섭취가 체내 인슐린과 GLP-1 호르몬 등의 분비에 영향을 미쳤다. 인공 감미료를 먹으면 단것을 더 먹고 싶어지며, 인슐린 조절을 방해한다는 분석이다. 연구진은 “설탕처럼 인공감미료도 당뇨를 유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호주 연구진은 인공 감미료도 니코틴·알코올·마약의 ‘중독’ 증상처럼 뇌신경 구조를 변형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 2016년 뇌과학저널 ‘프론티어즈’에 실린 호주 퀸즐랜드 공과대학교 연구진 논문에 따르면 쥐에게 인공 감미료를 장기간 과도하게 투여하자, 뇌 신경망의 형태가 변형됐다. 이 쥐들은 식이 장애와 함께 중독 증상과 같은 행동을 보였다. 연구진은 “설탕의 과도한 섭취가 뇌신경과 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단맛을 내는 인공 감미료도 마찬가지”라고 밝혔다.

gorgeous@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