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담] 티빙의 '배수진'은 쿠팡플레이 때문…'무료중계' 카드 꺼낼까

김완진 기자 2024. 1. 6. 08:00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img.biz.sbs.co.kr/upload/2023/09/18/Cg81695012134608-850.jpg 이미지

최근 뉴미디어 업계와 스포츠 업계에서 동시에 뜨거운 관심을 받는 이슈가 있습니다. 프로야구 중계권입니다.

프로야구 경기와 하이라이트, 행사 등을 뉴미디어에서 제공할 수 있는 사업자 선정 입찰이 지난 3일 진행됐습니다. 티빙 모회사인 CJ ENM, 네이버·SKT·LGU+·아프리카TV 컨소시엄, 스포티비 채널들을 운영하는 에이클라까지 3곳이 참여했습니다.

CJ ENM은 연간 계약금액으로 400억 원 이상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기존 계약금액의 2배 가량이고, 다른 경쟁자들보다 100억 원 많은 규모입니다.

티빙의 '베팅'은 쿠팡플레이 의식?
티빙이 배수진을 친 배경의 중심에는 쿠팡플레이가 있습니다. 최근 CJ ENM은 아시안컵과 AFC 챔피언스리그 등 아시아축구연맹 주관 경기 통합 중계권인 'AFC 패키지'와 독일 분데스리가 중계권 모두 쿠팡플레이에 넘겨줬습니다.

티빙이 이번 프로야구 뉴미디어 중계권마저 따내지 못하면, 대중 스포츠 중계 분야에서 CJ ENM의 존재감은 미미해질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이번 프로야구 중계권 입찰에서도 결과적으로 압도적인 연간 400억 원을 계약금으로 베팅한 것도, 쿠팡플레이가 자금력을 앞세워 뛰어들 것이라는 계산에서 더 세게 이른바 '지른' 것으로 풀이됩니다.

티빙이 1000억 원대 적자 늪에 빠지고 모회사 CJ ENM도 2022년 엔데버콘텐트(현 피프스시즌) 인수 과정에서 8천억 원을 차입하며 재무재표가 악화됐음에도 승부수를 띄운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입찰에 쿠팡플레이가 빠진 상황에서 네이버·SKT·LGU+·아프리카TV 컨소시엄과도 100억 원 넘게 차이가 나지만 변수가 있습니다. 유료화 이슈입니다.

티빙은 OTT 채널이고 콘텐츠를 이용하려면 월 정액 비용을 내고 가입해야 합니다. 기존에 네이버에서만 하루 300만 명이 무료로 보던 프로야구가, 갑자기 돈을 내야 볼 수 있는 스포츠가 됐을 때의 여론 반발은 섣불리 예상하기 힘듭니다.

총선이 코앞으로 다가오는 가운데, 한국야구위원회(KBO)가 정치권 눈치를 보면서 정무적 판단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이유입니다.

낙관 못 하는 티빙…'무료중계' 카드 꺼낼까
다만 티빙이 절박한 이유는 쿠팡플레이에 밀린 것 말고도 더 있습니다. 웨이브와의 합병을 앞두고 향후 주도권을 좌우할 합병 비율을 유리하게 끌고 가려면 가입자 수 늘리는 것이 지상 과제인데, 이를 위해서는 1위 대중 스포츠인 프로야구 중계권 확보가 절실합니다.

오는 8일로 예상되는 최종 사업자 결정 발표에서 티빙이 고배를 마실 경우, 합병 합의는 더 난항에 빠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티빙이 프로야구 중계권을 따내면 가입자 수 등에서 웨이브와 큰 격차를 벌릴 수 있는 만큼 합병비율 산정 과정에서도 상대적으로 다급한 웨이브가 양보할 여지가 커지지만, 만약 티빙의 중계권 확보가 불발되면 그만큼 웨이브의 양보 명분이 약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입찰에 뛰어든 사업자들이 어제(5일) KBO에서 2차 PT를 진행했는데, 티빙은 사활을 걸고 유료화 부담을 상쇄할 전략을 제시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실시간 라이브 중계는 무료로 제공하는 카드까지 꺼냈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