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터 프리즘] 12층 김 여사님

김홍준 2024. 1. 6. 03:0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홍준 기획담당선임기자
김 여사님이 있습니다.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의 한 건물 미화원입니다. 미화원분들은 ‘여사님’이라고 불립니다. 김 여사님은 12층을 도맡습니다. 변기를 닦고 화장지를 갑니다. 휴지통을 비웁니다. 회사원들이 출근하기 전에 말이죠. 여사님은 새벽 4시에 출근합니다. 그렇다면 1층, 2층부터 9층, 10층 다른 여사님들은요? “연신내에서 오는 분들은 나처럼 새벽 4시가 뭐야, 여유 있게 일하려고 새벽 2시에 출근해요”라고 그녀가 답했습니다. 지난해 11월 하순, 김 여사님과의 이 만남은 중앙SUNDAY ‘새벽을 여는 사람들’(2023년 12월 30일자 1면, 8~11면) 기획의 출발점이었습니다.

「 대한민국의 새벽을 여는 사람들
소리소문 없이 묵묵히 할일 다해

연신내에서 오는 분들은 심야버스 N72번을 탑니다. 은평차고지에서 첫차가 오후 11시30분, 막차가 오전 3시25분입니다. 이 버스 막차 조금 뒤인 3시50분, 서울 상계동에서는 8146번 첫차가 출발합니다. 우린 그 버스에 올랐습니다. 또 다른 김 여사님, 박 여사님 등 여사님들로 꽉 찼습니다. 이들은 “이렇게라도 일하니 다행”이라고 하더니 곧 졸음에 빠져들었습니다. 인터뷰를 이어가기 힘들 정도였습니다.
지난해 12월 20일 오전 5시 영동대교를 지나는 8146번 버스. 오전 3시 50분 상계동에서 출발해 강남역을 찍고 돌아가는 이 버스 첫차는 이미 4시 25분에 꽉 찬다. 승객 대부분이 강남의 빌딩에서 일하는 미화원들로, '여사님들의 버스' 혹은 '노동자들의 버스'라고도 부른다. 김홍준 기자
지난해 12월 19일 오전 5시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의 한 음식점에 식자재 배달을 온 정규빈(32)씨는 ″전날 오후 11시에 경기도 시흥에서 출발해 50여 곳을 들르는 일이 이제 끝을 보고 있다″며 미소를 짓고 있다. 식자재로 가득했던 그의 트럭 적재함이 정말 끝을 보고 있었다. 김홍준 기자

새벽을 여는 사람들은 바빴습니다. 동이 트기 전 기어코 일을 마치려 하거나, 새벽이 지나기 전에 일을 시작하려고 했습니다. 정규빈(33)씨와 김흥배(76)씨처럼 말이죠. 정씨는 출근하는 음식점 사장님들보다 앞서 식자재를 원하는 곳(냉장실 몇 번째 칸 좌측 혹은 우측)에 정확히 갖다놔야 했습니다. 누군가와 통화라도 하는 걸까요. “이 새벽에 신문사에서 취재를 왔대”라고 건너편에 말했습니다. 김흥배씨는 “다른 사람이 폐지를 가져가기 전에 나왔는데, 경쟁자가 나타난 줄 알고 놀랐다”고 했습니다.

김 여사님과 함께 출근하는 남편은 정년퇴직 뒤 다른 건물에서 일합니다. 이제 70세를 갓 넘긴 팔팔한 노인입니다. 윤동현(23)씨는 주말에만 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하며 틈틈이 취업 공부를 하는 청년입니다. 우리는 이렇게 새벽을 여는 사람들과 함께 정년 연장과 청년 취업 사이에서 고민도 해봤습니다. 노인 문제, 자영업의 어려움에도 다가섰습니다.

대부분 사전 조율 없이, 길거리에서 부딪혀 만난 사람들이었습니다. 갓 캔 고구마 같은 거친 ‘현장’의 분들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런 일도 있었지요. “아니, 왜 자꾸 다가와요. 무서워요. 오지 마세요.”(대림역 첫 지하철을 기다리던 여성), “어디서 사진을 찍고 그래. 폰 줘 봐요. 기자? 얼굴만 나오게 하지 마쇼.”(남구로역 인력 시장의 남성)

눈이 내려 화이트크리스마스가 된 지난해 12월 25일 오전 3시 경기도 고양시와 파주시의 경계지점인 고양시 송포동에서 차만석(59)씨가 제설차량 점검하며 출동 준비를 하고 있다. 김홍준 기자
대한민국의 새벽을 여는 사람들은 소리소문 없이 왔다 가고는 합니다. 차만석(60)씨는 취재 뒤인 지난해 마지막 이틀에도 새벽에 출동해 자유로의 눈을 치웠습니다. 연순옥(61)씨는 30분 만에 도로 엉망이 될망정, 오늘 새벽에도 신도림역 화장실을 박박 닦았습니다. 고양시의 쓰레기 수거 차량은 여전히 불 꺼진 아파트에 조용히 들어갔습니다. 그러려니 하고 지나치기 쉬운 사람들입니다. 고 노회찬 전 의원이 “존재하되 그 존재를 우리가 느끼지 못하고 함께 살아가는 분들”이라며 언급한 ‘투명인간’일까요.
지난해 12월 19일 오전 4시, 환경미화 직원이불 꺼진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의 한 아파트 단지에서 쓰레기를 수거하고 있다. 김홍준 기자
지난해 12월 15일 0시 20분경 서울 신도림역에서 메트로환경 소속 직원이 취객이 남긴 토사물을 치우고 있다. 김홍준 기자

이정희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타인의 노동 없이 우리는 삶을 영위할 수 없고, 나의 노동도 누군가에게 필요하고, 누군가의 노동도 나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그 누군가가 사는 것도 중요하게 봐야 한다”며 “그게 연대고, 사회 정의”라고 강조했습니다.

난(蘭)이 있습니다. 한 것이라고는 물만 준 것뿐인데, 몇 해를 거르고 얼마 전 꽃을 피웠습니다. 출장-휴가-출장으로 물 줘야 할 때를 3주 연속 놓친 뒤였습니다. 그 3주간 누가 돌봐줬을까요. 혹시? “여사님!” 노크를 하고 그녀의 작은 공간에 들어섰습니다. 그녀는 어디론가 사라진 채였습니다. 투명인간처럼요.

취재진 5명을 대표해 새벽에 씁니다.

김홍준 기획담당선임기자 rinrim@joongang.co.kr

김홍준

Copyright © 중앙SUN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