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AI까지…정치 리스크 피하기 총력하는 '네카오'

한광범 2024. 1. 5. 06: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뉴스 포털 서비스를 운영 중인 네이버와 카카오(다음)가 올해 국회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낮은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정치적 오해를 불러일으키지 않도록 뉴스를 비롯해 여러 서비스에서 신중을 기하는 모습이다.

앞서 네이버는 지난해 11월 뉴스에 '댓글 내 인용답글(답글의 답글)' 작성 기능을 허용했다가 정치권 등으로부터 '총선을 앞두고 정치 논쟁의 심화로 댓글 전쟁을 부추길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자 나흘 만에 서비스를 전격 철회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 서비스로 오랫동안 정치적 공격 시달려
다음, 외부 반발에도 뉴스 검색·노출 개편 완료
네이버도 서비스개편 예고…다른 서비스도 영향

[이데일리 한광범 기자] 뉴스 포털 서비스를 운영 중인 네이버와 카카오(다음)가 올해 국회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낮은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정치적 오해를 불러일으키지 않도록 뉴스를 비롯해 여러 서비스에서 신중을 기하는 모습이다.

네이버·카카오. (사진=뉴시스·이데일리)
4일 IT업계에 따르면 다음은 지난달 말 서비스 개편을 통해 모바일 화면의 ‘언론사 탭’ 상단에 노출되는 언론사 수를 콘텐츠제휴(CP) 146개사 중 일부인 29개로 제한했다. 앞서 다음은 지난해 11월에도 뉴스 검색 개편을 통해 검색 기본값에 146개 CP사만 노출하기로 했다. 기존에 146개 CP사에 더해 1176개 검색제휴사가 노출되던 것에서 기본값을 바꾼 것이다. 언론사들의 강력한 반발이 계속되고 있지만 다음은 서비스 개편을 고수하고 있다.

앞서 다음은 지난해 6월 댓글 서비스를 대폭 개편했다. 기사 출고 후 24시간 동안만 댓글창이 활성화되는 방식이었다. 카카오 측은 기존 뉴스 댓글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편이라고 설명했지만 사실상 댓글 서비스 삭제 수순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당시 정치권 눈치보기 아니냐라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개편 서비스는 유지되고 있다.

카카오, 뉴스 댓글도 ‘24시간 한정’으로 개편

네이버는 지난달 22일 뉴스 서비스 개편에 나서기로 하고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된 ‘네이버 뉴스 서비스 혁신준비포럼’ 준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정치권이 그동안 요구했던 알고리즘 공정성 강화와 가짜뉴스 대응 방안 등이 담길 개선안을 총선 전인 올해 1분기에 내놓을 계획이다.

앞서 네이버는 지난해 11월 뉴스에 ‘댓글 내 인용답글(답글의 답글)’ 작성 기능을 허용했다가 정치권 등으로부터 ‘총선을 앞두고 정치 논쟁의 심화로 댓글 전쟁을 부추길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자 나흘 만에 서비스를 전격 철회했다.

두 회사에 뉴스는 골머리를 앓는 서비스 중 하나다. 앱으로의 이용자 유입 효과라는 긍정적 측면이 있지만 일부 이용자들의 댓글 등 이용 행태로 인해 정치적 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네이버와 다음(카카오)의 최고위 경영진들은 수차례 국회에 불려 나가 혼쭐이 나기도 했다. 정치 공격 역시 ‘내 편’ 혹은 ‘네 편’이라는 식으로 진행돼 왔다.

생성 AI 환각현상이 정치적 논쟁 번질까도 우려

현재 뉴스 서비스를 대하는 두 기업의 차이는 서비스 영향력에서 기인한다. 네이버의 경우 ‘네이버 앱’에서 뉴스는 이용자를 유입효과가 가장 큰 서비스 중 하나인 만큼 중요하다. 서비스를 유지하되 정치적 논란을 피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이어나가는 이유다.

반면 카카오의 경우 합병 당시와 달리 다음은 이제 작은 사업부 중 하나에 불과하다.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는 ‘카카오톡 앱’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만큼 카카오 입장에서도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정치적 논란을 피하기 위한 움직임은 뉴스 외 다른 서비스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생성형 AI 기반 챗봇 서비스다. 네이버의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X 기반의 클로바X는 출시 직후 소극적 답변으로 아쉽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당시에도 네이버가 정치적 논란 등에 휘말릴 것을 우려해 할루시네이션(환각 현상)을 막는 데 초점을 줬다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다. 한 IT업계 관계자는 “생성형 AI 답변의 적극성은 환각 현상과 비례하는 구조다. 잘못된 답변으로 논란이 야기될 수 있는 만큼 환각 현상 감소에 방점을 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한광범 (totoro@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