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사업체, 대통령 재임 중 중국 등에 100억원 받아"(종합)

이윤희 특파원 2024. 1. 5. 05:4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민주, 트럼프 소유 호텔 등 해외정부와 거래 주장
'트럼프타워 세입자' 中공상은행, 대북제재 회피 의혹
"헌법 위반" 주장…공화당 바이든 탄핵조사에 역공
[리노=AP/뉴시스]미 하원 민주당은 4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재임 시기 그의 사업체가 중국과 사우디아라비아 등 해외 정부와 100억원 상당을 거래했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사진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난달 17일(현지시간) 네바다주 리노에서 선거 연설을 하고 있는 모습. 2024.01.05.

[워싱턴=뉴시스] 이윤희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재임 시기 그의 사업체가 중국과 사우디아라비아 등 해외 정부와 100억원 상당을 거래했다는 보고서가 미 하원에서 발표돼 파장이 예상된다.

미 공화당은 조 바이든 대통령 차남의 사업 거래 등과 관련해 바이든 대통령의 연루 가능성이 있다며 탄핵조사를 벌이고 있는데, 이번 보고서는 이에 대한 민주당 측의 반격으로 보인다.

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미 하원 감독위원회 소속 제이미 래스킨(민주·메릴랜드) 의원은 이날 '백악관 팝니다 : 왕세자, 총리, 수상들은 어떻게 트럼프 대통령에게 돈을 주었나'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는 트럼프 전 대통령 재임 중 그의 사업체가 20개 해외 정부나 관련 기관으로부터 최소 780만달러(약 102억원)를 수수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156쪽에 이르는 보고서는 법정 다툼에서 나온 문서들을 통해 미국의 최대 적국을 포함한 해외 정부와 정부통제 기관들이 어떻게 트럼프 전 대통령 재임기간 그의 사업체와 교류했는지 보여준다고 신문은 평가했다.

구체적으로 해외 정부기관은 미 워싱턴DC와 라스베이거스의 트럼프 인터내셔널 호텔, 뉴욕시 5번가에 있는 트럼프 타워, 뉴욕 트럼프 월드타워 등에 수백만불을 지불한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 사실이 드러난 국가는 중국, 사우디,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 쿠웨이트, 인도, 필리핀, 말레이시아, 튀르키예, 콩고민주공화국, 알바니아, 코소보 등이었다.

중국은 주미중국대사관, 중국공상은행(ICBC), 하이난 항공 등을 통해 550만달러를 거래했다고 보고서는 주장했다. 이는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 독보적으로 높은 수치다. 지출 2위는 61만5000달러를 사용한 사우디였다.

트럼프 전 대통령 재임기간 미중 무역분쟁이 심화되고, 사우디 정부를 비판해온 미 워싱턴포스트(WP) 칼럼니스트였던 자말 카슈끄지가 암살됐던 점을 감안하면 다양한 해석이 나올 수 있다.

특히 보고서는 ICBC 트럼프 타워 세입자였기에 북한 제재 회피에 활용됐다는 의혹에도 아무런 조치를 받지 않았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보고서는 "2017년 중반 ICBC는 북한 기업과 협력했다는 광범위한 증거에 직면했고,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내 북한의 금융 활동을 촉진한 몇몇 중국 은행에 대한 제재에 무게를 뒀다"면서 "트럼프 당시 대통령과 행정부는 자당 의원들의 간청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타워 세입자인 ICBC에 대해 어떤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워싱턴=뉴시스]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미 하원 감독위원회 소속 제이미 래스킨(민주·메릴랜드) 의원은 이날 '백악관 팝니다 : 왕세자, 총리, 수상들은 어떻게 트럼프 대통령에게 돈을 주었나'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사진=뉴욕타임스가 공개한 보고서 표지 캡쳐). 2024.01.05. *재판매 및 DB 금지

NYT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의 차남인 에릭 트럼프는 해외 이해관계가 부친의 대통령 업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호텔에서 벌어들인 모든 수익은 자발적으로 재무부에 납부해 환원했다고 주장했다.

ICBC의 경우 2008년 20년에 걸친 입주 계약을 체결한 것이며,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임 중 개인적인 사업 문제가 공적인 결정에 미치지 않도록 한 것이 분명하다고 반박했다.

하지만 래스킨 의원은 이익을 환원했다고 해도 헌법적 책무에 어긋난다는 입장이다. 미 헌법은 대통령이 의회의 동의를 얻지 않는 한 해외 정부나 군주로부터 금전이나 선물 등 어떤 종류도 받아서는 안 된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보고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동의를 구하기 위해 의회를 찾은 적은 없다고 언급했다.

래스킨 의원은 보고서에서 "개인적인 재정 이익과 부패한 해외 권력의 정책을 미국의 공익보다 우선시하면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헌법의 명확한 명령과 역대 모든 통수권자가 설정하고 준수한 신중한 선례를 모두 위반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또 공화당이 하원을 장악한 뒤 관련 조사가 중단됐고, 트럼프 전 대통령의 회계법인이었던 마자르의 자료 확보도 어려워졌다고 지적했다.

특히 조사가 중단되기 전에도 마자르 자료엔 중요 자료가 누락돼있었는데, 그 예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한국기업 대우에서 받은 2000만달러 대출 재무 기록을 들기도 했다.

이번 보고서는 공화당이 장악한 미 하원이 지난달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탄핵 조사를 공식화한 가운데 나왔다. 공화당은 바이든 대통령이 부통령으로 재임하던 시절, 그의 차남인 헌터 바이든이 우크라이나 에너지기업 부리스마에서 임원으로 일하며 거액을 수령한 점 등을 문제삼고 있다.

공화당은 바이든 대통령이 부패에 연루됐을 것이라며 공세를 높이고 있으나 아직 물증을 공개하지는 못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근거 없는 정치적인 쇼(stunt)"라며 의혹을 일축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ympathy@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