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회의 땅" 중동·북아프리카로 발 넓히는 건설사들

이수현 2024. 1. 5. 05: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주택 시장이 침체 국면에 접어들면서 건설사들도 해외 사업 확대를 노리고 있다.

그 중 전통적인 수주 텃밭으로 불렸던 중동에서 연이어 사업을 따내며 활로를 찾아가고 있다.

중동 건설시장이 활기를 되찾으면서 국내 건설사들도 지난해 여러 사업을 수주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동·북아프리카, 건설사 총 수주액 30% 차지
사업다각화·강화된 현지화 대응은 과제

[아이뉴스24 이수현 기자] 국내 주택 시장이 침체 국면에 접어들면서 건설사들도 해외 사업 확대를 노리고 있다. 그 중 전통적인 수주 텃밭으로 불렸던 중동에서 연이어 사업을 따내며 활로를 찾아가고 있다.

대우건설이 준공한 리비아 벵가지북부발전소 전경. [사진=대우건설]

5일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중동과 북아프리카(MENA)지역 수주액은 83억8530만달러로 2022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11.3% 늘었다. 전체 수주액의 30.2% 비중으로 이 지역보다 수주액이 많은 곳은 북미·태평양(94억4891달러, 34.1%)뿐이다.

국내 건설사들은 1973년 삼환기업이 사우디아라비아 알울라-카이바 고속도로 건설공사를 수주한 후 다양한 사업을 수주했다. 1956년부터 지난해 11월까지 누적 수주액만 4793억달러로 전체 수주액의 50%에 달한다.

2010년대 저유가 장기화로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국가의 경제 상황이 악화하며 전체 사업 건수가 감소했다. 하지만 2020년대 국제 유가가 40~80달러 수준까지 상승하면서 중동 국가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중단된 대형 사업을 차례로 추진했다.

중동 건설시장이 활기를 되찾으면서 국내 건설사들도 지난해 여러 사업을 수주했다. 지역에서 장기간 건설 사업을 수행하면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신뢰를 쌓아온 덕이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6월 사우디 진출 이래 최대 규모인 아미랄 석유화학 플랜트 패키지1·패키지4(총 50억7600만 달러)를 수주했다. 아미랄 프로젝트는 사우디 국영 석유·천연가스 기업인 아람코가 추진하는 석유화학단지 건설사업이다. 현대건설은 설계·구매·건설 등 공사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하는 일괄수주(턴키)방식으로 수주했다.

GS건설 자회사 GS이니마는 아랍에미리트(UAE)에서 9200억원 규모 '슈웨이핫4 해수담수화플랜트 건설공사'를 수주했다. 아랍에미리트 수전력공사(EWEC)에서 발주한 사업은 슈웨이핫 지역에서 해수담수화플랜트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대우건설은 지난 3월 리비아에서 7억9000만 달러(약 1조455억원) 규모 발전공사를 수주했다. 리비아전력청(GECOL)이 발주한 공사는 멜리타·미수라타 지역에 가스화력 발전소를 건설하는 공사다. 또한 10월에는 1억3000만달러 규모 이라크 알포 컨테이너 터미널 상부시설 연약지반 개량 공사를 수주했다.

현대건설이 수행한 아람코 대표 프로젝트 [사진=현대건설]

전문가들은 고유가 장기화와 중동 국가들의 산업 다각화 정책 영향으로 올해도 대규모 프로젝트가 예상되는 만큼 사업다각화와 현지와 등에 대한 맞춤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제언했다.

코트라는 지난해 11월 발표한 '2024 중동 진출전략'에서 "팬데믹 동안 중단된 사업이 재개되고 메가 프로젝트 대거 발주 등 중동 프로젝트 시장이 활성화됐다"면서 "중동 내 건설·교통 인프라 관련 프로젝트가 오일·가스 프로젝트 발주 규모보다 높고 경제 다각화 일환으로 인프라 개발이 주요 국책사업으로 수요가 많다"고 분석했다.

강해지고 있는 현지화 정책도 국내 건설업계가 극복해야 할 과제다. 사우디아라비아와 UAE, 카타르 등 중동 국가 대부분은 현지인 의무 채용, 현지 제품과 서비스 사용 등이 담긴 자체 현지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현지 공급망을 늘리고 국가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다.

이에 해외건설정책지원센터는 지난해 10월 '이스라엘·하마스 무력 충돌 이후 중동 건설시장 동향 및 전망' 보고서에서 "중동 현지화 강화 정책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면서 "중동지역 내 경쟁력을 갖고 있는 현지 기업과의 협업 또는 파트너십 관계 구축, 유능한 현지 인재 영입, 경쟁력 있는 현지 기자재업체 발굴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수현 기자(jwdo95@inews24.com)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