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 체육회 독립성·자율성 존중 필요하다

황선학 기자 2024. 1. 5. 03: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희망과 덕담을 주고 받아야 할 대한민국 체육계가 신년 벽두부터 시끄럽다. 체육정책을 관장하는 문화체육관광부와 전문체육 육성·생활체육을 이끄는 대한체육회가 정면 충돌 양상을 띠고 있다. 체육계 수장인 이기흥 대한체육회장은 최근 일련의 사태들을 두고 연초부터 문체부 관료들을 겨냥해 ‘패거리 카르텔’로 규정하는 등 잇따라 강경한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문체부와 대한체육회의 갈등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정부의 예산 지원을 받는 대한체육회에 대한 문체부의 과도한 간섭과 이에 따른 정책 수행의 어려움 등으로 크고 작은 마찰을 끊임없이 빚어 왔다. 윤석열 정부 들어 밀월 관계를 이어오는 듯했던 정부와 체육회의 관계는 최근 민관 합동기구인 ‘국가스포츠정책위원회’ 구성과 스위스 로잔 국외연락사무소 사업 승인 지연, 문체부 장관의 대한체육회와 대한올림픽위원회(KOC) 분리 검토 발언 등으로 급랭했다.

그동안 불만에도 즉각 대응이나 발언을 자제해온 대한체육회는 최근 방향을 선회해 강경 대응하고 나섰다. 이기흥 회장은 지난해 12월20일 국무총리를 공동 의장으로 하는 스포츠정책위원회의 민간 위원 6명이 체육계 추천 인물에서 배제되자 당연직인 자신은 사직서를 제출했다. 유인촌 장관의 체육회와 KOC 분리 발언에 대해서도 자율권 침해를 주장하며 사과를 요구했다.

문체부와 대한체육회의 갈등의 불길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 대한체육회와 중앙 경기단체는 물론 전국 17개 시·도 체육회, 228개 시·군·구 체육회가 연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체육정책의 자율성·독립성 확보를 위해 새로운 체육정책 컨트롤타워인 ‘국가스포츠위원회’ 설립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정부와 체육회의 갈등은 비단 중앙의 일만은 아니다. 지난 2020년 민선회장 체제로 전환된 지방체육회도 대부분 지방정부의 지나친 관리·감독에 시달리고 있다. 직원 채용과 기구 개편, 사업 시행 등에 있어 회장의 권한은 여전히 제한적이다. 체육회 예산이 전적으로 지방정부의 지원으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지자체 관련 부서가 지방체육회의 예산 집행 등을 관리·감독하는 것이 합법이라고 해도 도를 넘은 행위는 간섭과 길들이기로 비칠 수밖에 없다.

현재 우리나라 전문 체육은 저변 약화와 과도한 생활체육 편중 정책으로 고사 위기에 처해 있다. 뿌리가 흔들리고 있다. 그럼에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이 같은 위기감은 아랑곳없이 권위주의적이고 보여주기식 행정과 포퓰리즘에 매몰돼 있다.

이에 체육인들의 쌓인 감정이 폭발한 것이다. 중앙이든 지방이든 정부 관련 부서와 체육회는 국민건강과 전문선수 발굴·육성을 통해 체육 발전을 이끌어야 할 두 축이다. 대한민국 체육이 비상의 용틀임을 하기 위해서는 갈등과 대립이 아닌 소통과 상호 존중을 통한 협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황선학 기자 2hwangpo@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