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 종교] 새해의 시작, 한 걸음부터
2024년, 갑진년 새해가 시작됐다. 새 달력, 첫달을 어떤 마음으로 시작해야 할까? 시작하는 마음은 늘 설레고 두근거린다. 어떤 인연과 만나고, 어떤 일이 벌어질지 아직 모르기 때문에 더 가슴이 뛴다.
아주 사소한 계획부터 거창한 계획까지, 새해를 맞이하는 사람들에게는 각자 마음속에 새해 다짐, 약속, 목표 등을 품었으리라 생각한다.
불교에서는 처음 발심이 곧 깨달음이라는 뜻의 ‘초발심시변정각(初發心時便正覺)’이라는 법성게의 유명한 구절이 있다. 법성게는 신라 의상 스님이 당나라 유학을 마치며 자신이 배우고 수행한 60권 화엄경의 가르침을 일곱 글자로 된 30개의 구절, 총 210자에 담아 668년 완성한 것이다.
‘초발심시변정각’이란 무엇이든 시작할 때의 마음가짐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에 마음을 정하고 그 일에 집중하는 것, 그것이 바로 무슨 일이든지 성취할 수 있게 하는 비결이다. 깨닫고자 하는 마음을 일으킨 그 지극한 순간이 비로소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는 가르침을 주고 있다.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가다 보면 어느새 목표한 지점에 도달해 있다. 하루하루가 모여 한 달이 되고, 한 달이 모여 한 해가 될 것이다.
시작할 때 중요한 것, 어떤 일에 집중하고 의욕적으로 노력할 것인가? 처음 목표를 정하고 나서 자신의 의지와 결심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도중에 의지가 약해지거나 다른 유혹에 넘어가 다른 곳에 관심이 생기면서 흐지부지될 수 있다. 그것은 처음 마음을 냈을 때의 목적의식이 약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기 어려운 무리한 목표를 세워도 안되고, 너무 쉬운 목표를 세워도 안 된다. 현재 자신이 처한 환경과 상태에서 할 수 있는 한계를 알고 그에 맞춰 계획을 세우고 실천해야 한다.
부처님 당시에도 소나꼴리위사라는 비구가 있었다. 그는 부유한 장자의 아들이었는데 밤낮을 가리지 않고 부지런히 정진했지만 수행의 결과가 없었다.
아무리 노력해도 되지 않으니 자책하면서 수행을 포기하고자 했다.
바로 그때 부처님께서 소나꼴리위사를 찾아와 이야기했다.
“그대가 악기를 연주할 때 현을 너무 팽팽히 조이면 소리가 듣기 좋은가?”
“좋지 않습니다.”
“그럼, 지나치게 느슨하면 듣기 좋던가?”
“좋지 않습니다. 부처님, 악기를 연주할 때 현의 완급을 적당히 조율하지 않으면 좋은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부처님께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진리의 길을 걷는 것도 마찬가지다. 의욕이 지나쳐 너무 급하면 초조한 마음이 생기고, 열심히 하려는 뜻이 없으면 태만으로 흐르는 것이다. 그러니 극단적으로 생각하지 말고 중도의 길을 가야 한다. 그러면 속세의 미혹에서 벗어나게 될 것이다.”
너무 조급하고 초조해도 일을 그르치고, 그렇다고 너무 느긋하고 게을러도 일을 그르치게 된다. 양극단에 치우치지 않는 지혜로운 중도의 길을 찾아야 한다.
매일 꾸준히 실천할 수 있는 계획을 세우고, 중도 포기하지 않고 실천함으로써 자신감이 생기게 되고, 결국 원하는 목표에 도달하게 된다.
한 걸음 잘 내딛는 것이 목표를 향해가는 지름길임을 기억하고 하루하루 착실히 살아가면서 실천했으면 좋겠다. 지금 한 걸음부터.
경기일보 webmaster@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온 어린이가 행복하길”…경기일보‧초록우산, 제10회 경기나눔천사페스티벌 ‘산타원정대’
- ‘낀 경기도’ 김동연호 핵심 국비 확보 걸림돌…道 살림에도 직격탄 예고
- 경기아트센터 무용단 '직장 내 괴롭힘'으로 감봉 1개월...'솜방망이 처벌' 논란
- “수고했어 우리 아들, 딸”…“수능 끝, 이제 놀거예요!” [2025 수능]
- 이재명 “혜경아 사랑한다” vs 한동훈 “이 대표도 범행 부인”
- [시정단상] 지방재정 안정화 정책 시급하다
- [빛나는 문화유산] 분청사기 상감 ‘정통4년명’ 김명리 묘지
- [삶, 오디세이] 그 자리의 자신
- [기고] 생명을 살리는 ‘안전보건교육’
- 인천경제청, 중국 새로운 투자 수요 찾는다…미래첨단산업 분야 협력 모델 마련 [한‧중 미래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