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같은 삼성맨 아니다...성과급 놓고 뒷말 무성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삼성 그룹 성과급의 '꽃'이라 불리는 OPI(초과이익성과급) 예상 지급 범위가 공개되면서 뒷말이 무성하다.
일각에선 삼성전기의 '형님' 삼성전자 반도체(DS)부문이 OPI 0%로 성과급을 단 한 푼도 못 받은 것을 두고 눈치를 보는 것이 아니냐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
특히 네트워크와 의료기기 사업부 등 삼성전자가 미래 먹거리로 점찍은 신사업 부서의 경우, 진입 초기엔 이익이 나기 어렵다보니 OPI 기준이 불공평하다고 여기기도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성 그룹 성과급의 '꽃'이라 불리는 OPI(초과이익성과급) 예상 지급 범위가 공개되면서 뒷말이 무성하다. 삼성전자와 타 계열사간, 또 삼성전자 내부 사업부별 성과급 차등 지급을 두고 의견이 분분한 것이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기는 지난해 성과에 대한 OPI 범위를 1~2%로 공지받았다. 2022년 성과에 따라 지난해 초 받은 18%에 비해 크게 줄었다. 직원들은 실적에 비해 성과급 규모가 터무니 없는 것 아니냐고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1퍼 전기'라는 말까지 돌 정도다. 삼성전기의 지난해 3분기까지 누적 영업이익은 약 5291억원이다. 직원들은 2017년 3100억원의 영업이익에도 OPI 비율 8%가 설정된 것과 비교해 가며 성과급이 적다고 한다.
일각에선 삼성전기의 '형님' 삼성전자 반도체(DS)부문이 OPI 0%로 성과급을 단 한 푼도 못 받은 것을 두고 눈치를 보는 것이 아니냐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 한 직원은 "삼성전자와 삼성후자란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니다"고 자조했다. 3분기 기준 삼성전기의 전체 매출 가운데 삼성전자와 그 종속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32.9%다.
삼성전자 내에서는 사업부에 따라 비슷한 분위기가 감지된다. 네트워크와 의료기기,생활가전 등 '네 글자'짜리 사업부는 10~12%로 OPI 범위가 공지됐다. 이들 사업부는 상대적으로 무선사업(MX)부와 DS에 비해 소외받고 있다는 생각을 하는 것은 마찬가지다. 특히 네트워크와 의료기기 사업부 등 삼성전자가 미래 먹거리로 점찍은 신사업 부서의 경우, 진입 초기엔 이익이 나기 어렵다보니 OPI 기준이 불공평하다고 여기기도 한다.
OPI 예상 지급 범위가 높다고 마냥 만족하는 것도 아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플래그십 스마트폰 패널 수요 상승에 따라 3분기에만 1조9400억원의 영업 실적을 내는 등 최고 실적을 보였지만 OPI 비중 최대치가 49%로 공지됐다. 삼성디스플레이 역시 삼성전자를 의식해 OPI 비율을 최대치인 50%까지는 지급하지 않고 40% 후반으로 맞췄다는 얘기가 나온다.
2014년 OPI 제도가 시작된 이후 사상 처음으로 0%가 책정된 DS에선 별도의 위로금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인이력 경쟁이 치열한 산업 특성상 직원들을 잡아두기 위해 경제적 보상을 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경쟁사인 SK하이닉스의 성과급에 삼성전자 DS부문 직원들이 관심을 가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OPI는 사업부별 실적이 초과이익이 나면 20% 내에서 이를 나눠 개인 연봉의 최대 50%까지 임직원들에게 돌려주는 제도다. 영업이익의 절대적인 숫자보다도 들어간 비용을 빼고 난 후 남은 초과이익이 얼마만큼이냐가 더 중요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삼성전기도 직원들이 말하는 2017년(3100억원)의 영업이익보다 2023년(6000억원대 예상)이 더 높다고 하더라도 초과이익은 다를 수 있다는 얘기다. OPI 선정 방식이 공개되지 않으면서 직원들 사이의 위화감을 키웠다는 지적도 있다. 초과 이익의 기준이 되는 EVA(경제적 부가가치)는 세금 등 부가적인 비용을 빼고 순전히 임직원의 노동 활동을 통해서 발생한 비용을 뜻하는데, 회사의 경영전략상 기밀이라 공개하기도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직원들은 2022년(1조1828억원)과 비교해 지난해 영업이익은 절반 정도로 떨어졌는데, OPI 비율이 18%에서 1%로 뚝 떨어지는 것은 불합리한 것 아니냐고 주장한다.
그룹 입장에선 단기 성과뿐만 아니라 장기적 성장이 중요한 만큼 성과급 기준을 손봐야 한다는 얘기도 나온다. 홍기용 인천대 경제학부 교수는 "(차등 지급은) 성과급이라는 본질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 반도체 등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조직은 인력 확보를 위해 성과급이 높을 수도 있다"며 "기복을 줄이고 직원 사기를 진작하기 위해선 안정적 측면이 강한 연봉제를 합리적으로 운영해 성과급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지연 기자 vividhan@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계속된 '前부인' 이혜영 언급에…이상민 "왜 자꾸 날 걸고 넘어지냐" - 머니투데이
- 전현무, 한혜진과 결별 5년만 '환승연애' 출연?…"둘 다 원해" - 머니투데이
- 바다 "♥남편, 11살 연하라 도덕적으로 안 된다고 생각" - 머니투데이
- 김완선 "이모 지시로 은퇴 후 홍콩행…대만서 극단적 선택 생각" - 머니투데이
- "故이선균 협박녀는 배우 출신"…유튜버가 신상 공개하며 한 말 - 머니투데이
- 정준하 "하루 2000만, 월 4억 벌어"…식당 대박에도 못 웃은 이유 - 머니투데이
- "시세차익 25억"…최민환, 슈돌 나온 강남집 38억에 팔았다 - 머니투데이
- 박나래, 기안84와 썸 인정…"깊은 사이였다니" 이시언도 '깜짝' - 머니투데이
- "700원짜리가 순식간에 4700원"…'퀀타피아 주가조작 의혹' 전직 경찰간부 구속 - 머니투데이
- "수능 시계 잃어버려" 당황한 수험생에 '표창 시계' 풀어준 경찰 '감동'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