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민준의 골프세상] 골프 트라우마 어떻게 치유할 것인가

방민준 2024. 1. 3. 13: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은 본 칼럼 내용과 관련 없습니다. 사진제공=ⓒAFPBBNews = News1

 



 



[골프한국] 골프처럼 핑곗거리가 많은 스포츠도 없을 것이다. 풍성한 포획을 상상하고 사냥에 나서는 사냥꾼처럼 골퍼 역시 기대와 희망을 품고 필드로 향하지만 골프 코스는 결코 파라다이스가 아니다. 코스 자체는 파라다이스의 조건을 충분히 갖추었지만 코스를 걷는 골퍼의 마음은 코스의 아름다움과 평화로움을 그대로 받아들일 만큼 여유롭지 못하다. 그 많은 핑곗거리만큼 다양한 종류의 스트레스와 징크스가 운명처럼 따라다니기 때문이다.



 
트라우마(trauma)는 의학 병리학에서만 통용되는 용어가 아니다. 간단히 정의해 '외상 후 정신적 스트레스 장애'로 알려진 트라우마는 사실 인간의 마음속에 똬리를 틀고 상주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성인이 아닌 이상 스트레스 없는 삶이란 없다. 어떤 분야이든 최고의 경지에 오른 사람들은 겉으로 드러난 즐거움과 보람 뒤에 뼈를 깎는 인내의 그림자를 안고 있다. 한 시대 빙판의 요정으로 추앙받은 김연아도 결정적인 순간에 다리가 무감각해져 마음먹은 동작을 할 수 없는 입스(yips) 증후군에 시달렸다는 얘기를 들으면 고통스런 트라우마를 자신의 한 부분으로 받아들인 뒤의 각고의 노력이 그들을 최고의 경지로 이끈 추동력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골프라고 예외일 수 없다. 싱그러운 초원에서 한가하게 노닐며 이따금 그다지 복잡하거나 힘들어 뵈지 않는 동작으로 볼을 날리는 골프야말로 실은 트라우마의 지뢰밭이다. 



 



대부분의 골퍼가 여러 종류의 입스 증후군에 시달린다. 정신성 불안증세로 인해 나타나는 근육의 경련현상인 입스 증후군은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설레는 가슴으로 필드를 찾은 모든 골퍼에게 필연적으로 나타나게 돼 있다. 



첫 홀 티잉 그라운드에 올라섰을 때의 울렁거림과 드라이버 샷을 실패하면 어쩌나 하는 두려움, 벙커와 해저드에 대한 공포, 짧은 어프로치 샷을 남겨놓은 상황에서의 머리의 어지러움, 별로 어렵지 않은 퍼팅을 남겨놓고 겪는 블랙아웃 현상 등 지나친 흥분과 긴장에 따른 입스 증후군은 골프에서는 다반사로 나타난다. 
이런 입스 증후군의 증세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터부 또는 징크스로 변하고 결국에는 트라우마로 굳어진다.



 
입스 증후군 없는 골퍼가 없듯 트라우마 없는 골퍼 역시 존재할 수 없다. 트라우마 자체에 좋고 나쁨은 없다. 그것은 상처의 흔적일 뿐이다. 그 흔적을 보면서 지난날의 아팠던 기억을 되살려 헤어나지 못하고 고통을 받는다면 고질적 트라우마가 되고 만다.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 트라우마가 치유되고 징크스나 터부로 굳은살이 되지 않을 텐데 부정하려 들다 보니 트라우마의 존재는 더욱 강해지고 나를 옥죈다. 



 



'골프란 원래 천국과 지옥을 오락가락하는 운동이다. 무슨 일이든 일어날 수 있는 게 골프다'라는 대 전제를 깔고 라운드에 임하면 필드에서 발생하는 모든 끔찍한 일들을 견뎌낼 수 있지만 '왜 유독 나에게 이런 끔찍한 일이 일어나는가'라며 부정하면 정신적 상처는 치유되기는커녕 더욱 악화할 뿐이다. 



 



촉망받던 신인이었다가 원인 모를 추락으로 극심한 트라우마에 빠져 9년여 고통의 세월을 보내며 자살까지 생각했던 재미교포 골퍼 크리스티나 김(40)은 결국 자신의 우울증을 인정하고 스스로 탈출로를 모색함으로서 222 경기만인 2014년 9월 로레나 오초아 인비테이셔널 대회에서 우승을 거두었다. 트라우마에 굴복하지 않고 트라우마를 천연두 자국처럼 받아 들임으로서 트라우마를 극복한 대표적 사례다.



 



나에게도 한때 벙커 샷에 대한 트라우마가 있었다. 벙커에 볼이 들어가면 한 번에 탈출하지 못하고 투닥거리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주변에서 벙커 샷 연습할 곳도 없어 고질병처럼 굳어가던 차에 해변으로 짧은 휴가를 다녀오면서 벙커 샷에 대한 공포를 치유할 수 있었다. 휴가철이 아니어서 백사장은 한가했다. 샌드웻지와 볼 20여개를 들고 백사장 한 구석에서 벙커샷 연습을 시작했다. 다양한 상황의 벙커샷을 하면서 반나절을 보냈다. 이튿날에도 백사장에서의 벙커샷으로 반나절을 보냈다. 그러고 나니 벙커샷에 대한 공포는 씻은 듯 사라져 평범한 어프로치를 하듯 벙커샷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누적된 스트레스와 징크스 등으로 생긴 트라우마로부터 벗어나는 길은 트라우마의 존재를 인정하고 트라우마가 생긴 근본 원인을 찾아 꼬인 실타래를 하나하나 풀어가는 길 외에 왕도가 없다.



 



*칼럼니스트 방민준: 서울대에서 국문학을 전공했고, 한국일보에 입사해 30여 년간 언론인으로 활동했다. 30대 후반 골프와 조우, 밀림 같은 골프의 무궁무진한 세계를 탐험하며 다양한 골프 책을 집필했다. 그에게 골프와 얽힌 세월은 구도의 길이자 인생을 관통하는 철학을 찾는 항해로 인식된다. 



*본 칼럼은 칼럼니스트 개인의 의견으로 골프한국의 의견과 다를 수 있음을 밝힙니다. *골프한국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길 원하시는 분은 이메일(news@golfhankook.com)로 문의 바랍니다. / 골프한국 www.golfhankook.com

Copyright © 골프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