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인니에 이식된 '제2의 포스코' 크라카타우포스코

찔레곤(인도네시아)=김동욱 기자 2024. 1. 3. 05:5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머니S리포트 - '알트 차이나' 거점, 인도네시아를 가다(2부)] ①생산 설비 및 제품 품질, 포항·광양제철소와 같아

[편집자주]인도네시아가 중국을 대체할 새로운 '기회의 땅'으로 떠올랐다. 한국은 대(對)중국 경제의존도를 벗어나기 위해 수출 다변화와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한 거점으로 인도네시아를 주목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아세안 1위, 세계 16위 경제 대국으로 글로벌 경제위기 속에서도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세계 4위 규모의 인구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테스트베드로서의 잠재력을 보유해 생산거점과 소비시장으로서의 가치도 높다. 머니S는 2024년 갑진년 새해를 맞이해 인도네시아를 찾아 한국 주요 기업들의 사업 현황과 전략을 살펴봤다. 현지 관계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인도네시아 진출에 필요한 조언을 들었다.

크라카타우포스코 전경. /사진=포스코 제공
▶기사 게재 순서
<1부>
①'세계 4위 인구 대국' 인도네시아를 아시나요
②니켈매장 1위 인니… K-배터리 생명줄 쥔 자원보고
<2부>
①[르포] 인니에 이식된 '제2의 포스코' 크라카타우포스코
②[인터뷰] "인니 철강 성장성 커… 투자 확대로 매출 2배 늘린다"
③[르포] LS전선의 아세안 전초기지 'LSAGI'를 가다
④[인터뷰] "인니, 플랜트 확대에 전선 수요 급증… 캐파 2배 늘릴 것"
⑤HD현대건설기계, 인니 사업 본격화… "현지 톱5 업체로 도약"
⑥롯데케미칼, '라인 프로젝트'로 인도네시아 시장 정조준
⑦LX인터내셔널, '전략 지역' 인니서 미래 유망 사업 박차
⑧현대차그룹 '아세안 전동화 드라이브' 핵심 기지
<3부>
①[인터뷰] "인니 공략 만만찮아… 韓 기업, 중·일 네트워크 뚫어야"
②[인터뷰] "단기성과 지향, 인니서 100전 100패"
③[인터뷰] "기술력 뛰어난 韓 기업… 신도시 구축 프로젝트 함께 하고 싶다"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서 서쪽으로 약 100㎞ 거리에 떨어진 찔레곤 소재 크라카타우포스코 일관제철소. 동남아시아 최초이면서 포스코의 첫 해외 일관제철소인 이곳은 매년 300만톤에 달하는 쇳물을 뽑아내고 있다. 뜨거운 제철소 열기와 직원들의 각오, 생산된 고품질 제품 등을 살펴봤을 때 크라카타우포스코는 '제2의 포스코'로 불리울 만했다.


"크라카타우포스코, '제2의 포스코'로 이해해야"


크라카타우포스코는 포스코와 인도네시아 국영기업 크라카타우스틸이 합작해 2010년 설립한 일관제철소다. 2013년 첫 가동 당시 쇳물부터 철강재 생산에 이르는 모든 공정을 모두 보유한 제철소는 크라카타우포스코가 유일했다. 현재 크라카타우포스코 직원 2800여명(현지인 2650여명, 한국인 약 150명)과 협력사 직원 3160여명 등 총 6000여명이 근무하는 제철소로 자리 잡았다.

지난해 12월 방문한 크라카타우포스코는 한국의 포스코 포항·광양제철소와 다름이 없었다. 제품 생산공정부터 설비까지 모든 게 일치했다. 자체 교육을 통해 현지 직원들의 능력을 한국인 직원과 비슷한 수준으로 끌어올리기도 했다.

현장을 안내한 최대규 크라카타우포스코 후판 공장장은 "한국에 있는 포스코 제철소와 비교했을 때 다른 점은 캐파(CAPA·생산능력)뿐"이라며 "한국에서 만든 제품과 인도네시아에서 생산한 제품은 품질이 똑같다"고 했다.

크라카타우포스코는 제선, 제강, 연주, 압연 등의 공정을 거쳐 제품을 생산한다. 제선은 철광석을 녹여 쇳물을 뽑아내는 과정이다. 쇳물은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 공정을 거친 뒤 연주 공정을 통해 반제품인 슬라브로 재탄생한다. 슬라브는 롤러 형태의 설비로 고객사가 원하는 두께까지 얇게 피는 압연을 통해 판재 모양의 철강제품(후판)이 된다.


3분마다 슬라브 1개 처리… "최고 수준의 철강재 생산"


크라카타우포스코 제품 생산 과정. /사진=포스코 제공
이날 크라카타우포스코 후판 공장의 압연 공정도 둘러봤다. 3시간 동안 가열된 1160도의 뜨거운 슬라브를 5000~6000톤의 힘으로 누르는 과정이 반복되고 있었다. 뜨거운 열기와 함께 끊임없이 투입되는 슬라브가 눈에 띄었다. 최 공장장은 "한 시간에 슬라브 20개를 처리하고 있다"며 "3분에 1개씩 슬라브가 투입되는 꼴"이라고 설명했다.

압연은 제품 품질을 결정짓는 핵심 공정이다. 2.4m~4m 규격의 슬라브를 압연을 통해 최대 47m까지 늘리는 게 골자다. 이 과정에서 두께는 통상 15㎜까지 얇아지고 제품 강도는 높아진다. 두께와 강도는 고객사 요청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작된다.

크라카타우포스코는 생산 능력 확대와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 설비 건설을 위한 약 40억달러(약 5조2000억원) 규모의 2단계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ASEAN) 지역 유일의 자동차 강판 등 고급강 생산이 가능한 일관제철소를 구축, 역내 국가들의 수평적 분업 구조를 만들고 공동 번영을 달성하기 위해서다.

공장 함께 둘러본 크라카타우포스코 관계자는 "제철소 가동 초기엔 인도네시아에서 제품을 생산했다는 이유로 품질이 떨어질 것이란 인식이 있었다"며 "현재는 인도네시아 생산 제품과 포스코 포항·광양제철소 제품 사이에 품질 차이가 없다는 사실을 고객사들이 알고 있다"고 했다.

찔레곤(인도네시아)=김동욱 기자 ase846@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