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 리포트] 한중 정상외교의 정상화

베이징/이벌찬 특파원 2024. 1. 3. 03: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새해 한국 외교의 급선무는 한중 정상외교의 정상화다. 한국의 일인자와 중국의 이인자가 자꾸 매칭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7월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 정상회의를 계기로 리창 중국 총리와 만났다. 정작 11월에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는 함께 참석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이 불발됐다. 미·중, 중·일 정상회담은 열렸는데 한중 회담만 열리지 않았다. 올해 상반기 서울에서 개최될 것으로 예상되는 한·일·중 정상회의에도 관례상 중국 총리가 참석하기 때문에 윤 대통령은 또다시 중국의 이인자와 마주 앉게 된다.

중국이 한중 정상외교에서 이인자를 내세우기로 마음먹었나 싶을 정도다. 실제로 2016년 사드 사태 이후 시진핑 대신 중국 총리가 한국 대통령을 만나는 일이 부쩍 늘었다. 2017년 11월 문재인 전 대통령은 마닐라에서 리커창 당시 총리를 만났고, 이듬해 5월 도쿄에서 열린 한·일·중 정상회의에서 또다시 리커창과 마주 앉았다. 문 전 대통령이 시진핑과 회담한 것은 직접 중국에 찾아갔던 2017년 12월과 2019년 12월, 그리고 2018년 5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파푸아뉴기니)와 2019년 6월 20국(G20) 정상회의(일본)에서였다. 중국 외교부는 문재인과 시진핑의 전화 통화에 대해서도 대부분이 한국 측의 요청이라고 명시했다. 대조적으로 박근혜 전 대통령은 4년 동안 양자·다자회의 계기에 7번 시진핑과 회담했다.

시진핑의 방한은 무기한 미뤄지고 있다. 그가 마지막으로 한국을 방문한 것은 9년 반 전인 2014년 7월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2013년 6월 중국을 방문하고 약 1년 만에 성사됐던 방한이다. 그러나 이후 박근혜·문재인이 두 번씩 중국에 갔는데도 시진핑의 답방이 없었다. 우리 정부는 시진핑이 2022년 11월(발리 한중 정상회담)과 작년 9월(항저우 아시안게임 계기 시진핑과 한덕수 국무총리 회담)에 방한 검토 의사를 밝혔다고 했지만, 중국 측 발표문에선 이런 내용을 찾아볼 수 없다. 시진핑의 외국 방문이 줄어든 것도 사실이다. 지난해 중국의 ‘제로 코로나’가 해제됐는데도 시진핑은 러시아(3월), 남아프리카공화국(8월·브릭스 정상회의), 미국(11월·APEC), 베트남(12월) 4곳만 방문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 후보자는 한미 동맹 못지않게 한중 관계도 중요하다고 했다. 불편해진 양국 관계를 염두에 둔 말이다. 이런 관계를 관리하려면 우리 대통령이 중국의 일인자인 시진핑과 직접 마주 앉아 대화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중국 또한 경제 위기와 서방권의 압박이란 내우외환 속에 이웃 나라인 한국과의 관계 회복이 절실하다. 한중의 일인자가 국제 무대에서 부지런히 만나 분위기를 예열한 다음 시진핑이 방한하는 2024년을 기대한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