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초중고 1명당 교부금 8년 뒤 3천만원… 교육 재정 독점 풀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초중고생 1명당 지방교육재정 교부금이 2032년 3039만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를 국회예산정책처의 장기재정전망에 대입해 추산한 결과, 지난해 초중고생 1명당 1207만 원이었던 교육교부금이 8년 뒤면 2.5배로 급증한다.
근본적으로 학령인구의 변화 등 교육 수요에 맞춰 재정을 유연하게 배분할 수 있도록 교육교부금 산정 방식 개선도 당장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초중고 교육을 담당하는 17개 시도교육청은 국세의 20.79%와 교육세를 자동으로 배정받는다. 교육교부금은 매년 늘어나 지난해 76조 원이었다. 이런 규모의 교육교부금을 교육청이 독점하면서 교육 재정의 배분은 왜곡되어 왔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한국의 초중고생 1명당 공교육비는 1만3746달러로 OECD 평균의 1.4배다. 대학생 1명당 공교육비가 OECD 평균의 3분의 1에 불과한 것과 비교된다. 초중고교에선 돈이 남아 적립금을 쌓아두는데 등록금까지 묶인 대학들은 빈사 상태에 이르렀다고 한다.
세입을 신경 쓰지 않고 쓰기만 하는 구조이다 보니 교육청의 곳간 관리는 허술하기 짝이 없다. 지난해 8월 감사원은 시도교육청이 입학 지원금, 코로나19 회복 지원금 등 현금 복지 지원 사업 예산으로 5년간 3조5000억 원을 지출했다고 지적했다. 예산 집행률이 낮아지자 교육감들이 현금을 나눠주기 시작한 탓이다. 그런데도 시도교육감들은 “경기 변동에 따라 교부금이 감소할 수 있다”는 논리로 교부금 제도 개선 논의를 거부하고 있다.
당초 교육교부금의 도입 목적인 의무교육이 안착한 만큼 이제 재정 칸막이를 치우고 교육 수요에 맞춰 효율적으로 배분해야 한다.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는 대학에 대한 투자가 시급하고 국가 생존이 달린 저출산 해결을 위해 영유아 지원도 검토해야 한다.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사회복지 지출로 갈수록 중앙정부의 재정 부담은 늘어날 텐데 시도교육청이 쌓아두면서까지 재정을 독점하고 있을 이유가 없다. 근본적으로 학령인구의 변화 등 교육 수요에 맞춰 재정을 유연하게 배분할 수 있도록 교육교부금 산정 방식 개선도 당장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명 대표 피습… ‘총선’이 테러 당했다
- “죽이려고 했다”… 李 습격한 67세 남성은 부동산 중개업자
- [르포]“日지진 부상자 몰린 병원, 물끊겨 수술-투석 어려워… 온천선 옷도 못입고 탈출”
- [횡설수설/김재영]덕담인가 스팸인가… 새해 카톡 인사 스트레스
- 한동훈, 대통령 신년인사회 참석…오후엔 대한노인회 방문해 사과
- 김병민 “이준석 신당, 결국 민주당과의 경쟁 구도일 것”[중립기어 라이브]
- ‘법관기피 신청’ 이화영, 증인 무더기 재신청할 듯
- 딴생각에 자주 빠지고, 집중을 要하는 일이 싫다
- ‘기술’ 빼돌렸지만 제품개발 실패…대법 “업체 처벌못해”
- “성범죄 엡스타인 재판문건 ‘익명 36’은 빌 클린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