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AI 융합 산업 인재' 2704명 키웠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최근 2년간 인공지능(AI) 인력 육성 산업을 추진해 3000명에 육박하는 인재를 키워냈다.
AI가 다양한 산업에 침투하면서 전문인력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현장에 필요한 인력을 길러내는 인큐베이터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AI융합형 산업현장기술인력 혁신역량강화사업 성과관리 및 우수사례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최근 2년간 인공지능(AI) 인력 육성 산업을 추진해 3000명에 육박하는 인재를 키워냈다. AI가 다양한 산업에 침투하면서 전문인력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현장에 필요한 인력을 길러내는 인큐베이터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AI융합형 산업현장기술인력 혁신역량강화사업 성과관리 및 우수사례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산업부는 지난 2021년 제조산업현장의 AI 기술 융합을 위해 5개년 사업을 시작했다. 첫 해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8개 산업에서 8개 주관기관이 참여했다. 지난해 로봇, 철강, 화학 등 3개 산업을 추가하면서 민간 중심으로 주력·신산업에서 AI 융합 역량 강화를 지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2년간 총 11개 산업에서 3057명을 교육해 88.5%인 2704명이 수료했다. 디지털헬스케어(308명, 100.0%), 섬유패션(339명, 99.1%), 반도체(186명, 97.4%)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료율을 보였다. 반면에 IoT가전(281명, 68.9%), 로봇(186명, 76.9%), 화학(245명, 78.3%) 등은 저조했다.
산업별 교육생 역량은 사업 참여 이후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교육생 2005명을 대상으로 교육 전·후 역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 81.2점에서 88.5점(9.1%↑)으로 높아졌다. 구상능력 증대(89.6점)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전문지식 증가(89.4점), 문제 해결능력 증대(88.9점) 등이 뒤를 이었다.
교육 만족도도 고득점을 받았다. 교육생 1990명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100점 만점) 조사에서 오프라인 교육은 89.9점, 온라인 교육은 88.8점을 기록했다. 교육 종합 만족도는 90.8점으로 집계됐다.
이번 사업에서 체득한 전문성을 현업에 활용하는 수준은 86.5점으로 파악됐다. 특히 역량(86.8점)과 성과(86.8점)가 향상됐다는 응답이 많았다. 산업별로는 반도체 산업 91.4점, 차세대디스플레이 90.8점 등을 기록했다.
보고서는 “AI는 주력·신산업에 빠르게 용·활용되고 있다”면서 “(이번 사업이) 산업 내 재직·퇴직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현장 중심의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평가했다.
윤희석 기자 pioneer@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현대차, 내연기관 시내버스 안 만든다
- 이재명, 부산서 괴한에 피습… 정치권, 유불리에 촉각
- [2024 신년기획]AI 산업 발전 이루려면 인재·생태계 육성 시급…R&D 필수 세부기술은 'AI 반도체'
- [신년특집] 챗GPT로 촉발된 생성형 AI 전쟁, 빅테크 기술경쟁 '불꽃'
- [2024 신년기획] 글로벌 AI 산업 패권 노리는 美·中·유럽
- [2024 신년기획] 'AI' 주도권 쟁탈전…규제·표준 경쟁 본격화
- [2024 신년기획]모빌리티·플랫폼 차별화 핵심 'AI'
- [2024 신년기획]양청삼 개인정보정책국장 “AI시대, 원칙 중심 규율은 필수불가결”
- [2024 신년기획]“기대는 높이고 우려는 줄이고”…개인정보위, AI 프라이버시 정책 구체화
- [2024 신년기획] 'AX' 본격화, 이 직업을 주목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