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는 청룡의 해…신령스러운 용의 상징·의미를 전시장서 만나다
삼국시대~현대 캐릭터 상품까지 역사적 동반자
국립민속박물관, ‘용, 날아오르다’ 특별전
국립중앙박물관, ‘용을 찾아라’ 행사
2024년 새해는 갑진년(甲辰年)으로 용의 해다. 동양의 전통 사상·역법에서 하늘을 의미하는 10간(十干·천간) 가운데 ‘갑(甲)’, 땅을 의미하는 12지(十二支·지지) 중 ‘진(辰)’이 만나 갑진년이다. 특히 12지 각각에 해당하는 열두 띠 동물 가운데 ‘진’이 용이고, 색깔로는 푸른색을 뜻하니 갑진년은 곧 ‘푸른 용(청룡) 띠의 해’다.
용은 열두 띠 동물 가운데 유일하게 상상 속의 동물이다. 중국의 고서 ‘광아(廣雅)’ 등에 따르면, 9가지 실존 동물의 특징을 모두 가졌다. 머리는 낙타, 뿔은 사슴, 눈은 토끼, 귀는 소, 목은 뱀, 배는 조개, 비늘은 잉어, 발톱은 매, 발은 호랑이와 비슷하다는 것이다.
고대 사람들은 초현실적 존재인 용이 그만큼 신령스럽고도 강력한 힘을 갖고 있다고 믿었다. 국립민속박물관이 최근 펴낸 <한국민속상징사전-용>을 보면, 용은 변화무쌍한 초자연적인 힘을 지닌 수호신 같은 존재로 여겨졌다. 불행과 재앙을 막고 행운과 복을 부르는 벽사의 상징이었다.
또 최고 권력의 제왕을 의미했다. 임금의 옷은 용포이고, 발톱이 5개인 오조룡은 황제를, 4개의 사조룡은 왕을 뜻하기도 했다. 왕이 거처하는 궁궐 건축물 곳곳에는 용 조각, 용 무늬 등이 자리하고 있다.
무엇보다 용은 생명의 근원이자 농경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물을 상징하며 비, 바다 등을 다스리는 동물이기도 했다. 그 신령스러운 힘을 보다 가까이 두고자 사람들은 각종 건축물이나 복식, 공예, 그림, 가구 등 일상생활 곳곳에 용과 관련된 무늬를 활용했다. 용에 저마다 자신의 간절한 바람을 투영시킨 것이다.
용은 다양한 상징과 의미를 지닌 채 우리의 유구한 역사와 함께하고 있다. 지금도 용꿈은 대표적 길몽으로 여겨지고, 용 캐릭터 상품이 개발되며, 용과 관련된 전국의 지명도 1000여개로 열두 띠 동물 중 가장 많다.
갑진년 용띠 해를 맞아 용이 지닌 다채로운 문화적 상징과 의미, 용을 둘러싼 민속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흥미로운 전시회도 마련됐다.
국립민속박물관은 특별전 ‘용(龍), 날아오르다’를 열고 있다. 전시장에는 용과 관련된 조선시대부터 근현대의 각종 유물과 영상 등 모두 70여점이 선보이고 있다. 민속박물관 김형주 학예사는 “서구문화 영향으로 용이 불을 상징하거나 악의 화신으로 여겨지는 일이 많지만 우리 민속에서 용은 물을 상징하고 우리의 삶을 지켜주는 수호신”이라며 “우리 용에 관한 풍성한 이야기를 풀어내 보고자 했다”고 전시 취지를 밝혔다.
푸른색 청화 안료로 두 마리의 용이 구름 사이로 솟아오르는 모습을 담은 ‘백자 청화운룡무늬 항아리’(18세기)는 용이 생활용품 장식에 어떻게 쓰여졌는지를 보여준다. 또 구름 속 용을 세밀하게 그린 조선시대 ‘운룡도(雲龍圖)’나 문자도, 각종 공예품을 통해서도 용이 일상생활 속에 얼마나 친근하게 녹아져 있는지 드러난다. 용은 색깔이나 발톱 수, 서식지 등에 따라 여러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용은 물의 신, 비의 신이기도 해 기우제를 지냈고, 용왕제도 올렸다. <삼국유사>나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등 역사서에는 용을 대상으로 기우제를 지냈다는 기록들이 많다. ‘기우제 제문’ ‘용왕굿’ 등의 자료는 옛사람들의 용에 대한 인식을 잘 보여준다.
전시장에는 용두암·용두산·검룡소·용담 등 전국의 용 관련 지명을 정리·분석한 시각자료들도 나왔다. 프로야구 구단이던 ‘MBC 청룡’, 한국 첫 롤러코스터인 서울 어린이대공원의 ‘청룡열차’ 등의 관련 자료도 출품됐다. 김종대 민속박물관장은 “이번 전시가 용에 관한 상징과 문화상을 흥미롭게 즐기고 민속문화에 보다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전시는 3월3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도 ‘용을 찾아라’ 행사를 열고 있다. 상설전시관의 선사고대관·서화관·조각공예관 등 모두 9개 전시실에 전시된 용 관련 유물 15건을 통해 용이 지닌 상징과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또 여러 종류의 미술품에 나타난 용의 다양한 표현도 즐길 수 있다. 고구려 벽화고분이자 사신도로 유명한 강서대묘의 ‘청룡도’를 만나고, 조선시대 왕실용품으로 오조룡이 위풍당당하게 그려진 ‘백자 청화 구름용무늬 항아리’와 간략하게 용을 표현한 ‘백자 철화 구름용무늬 항아리’를 서로 비교해 볼 수 있다.
고려시대 ‘청자 용모양 향로’, 대형 용 그림도 있다. 조선 영조대 화원 진재기의 작품인 ‘용을 타고 내려오는 소사’는 고 이건희 회장이 기증한 <고사인물화보첩>에 수록된 그림이다. 중앙박물관 관계자는 “QR 리플렛에서 안내지도와 목록을 내려받으면 보다 쉽게 전시품을 즐길 수 있다”고 조언했다. 행사는 4월7일까지.
도재기 선임기자 jaeke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강혜경 “명태균, 허경영 지지율 올려 이재명 공격 계획”
- “아들이 이제 비자 받아 잘 살아보려 했는데 하루아침에 죽었다”
- 최현욱, 키덜트 소품 자랑하다 ‘전라노출’···빛삭했으나 확산
- 수능문제 속 링크 들어가니 “김건희·윤석열 국정농단 규탄” 메시지가?
- 윤 대통령 ‘외교용 골프’ 해명에 김병주 “8월 이후 7번 갔다”···경호처 “언론 보고 알아
- 이준석 “대통령이 특정 시장 공천해달라, 서울 어떤 구청장 경쟁력 없다 말해”
- “집주인인데 문 좀···” 원룸 침입해 성폭행 시도한 20대 구속
- 뉴진스 “민희진 미복귀 시 전속계약 해지”…어도어 “내용증명 수령, 지혜롭게 해결 최선”
- 이재명 “희생제물 된 아내···미안하다, 사랑한다”
- ‘거제 교제폭력 사망’ 가해자 징역 12년…유족 “감옥 갔다 와도 30대, 우리 딸은 세상에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