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향한 사람들… 청년층 잡기 고군분투 역부족

박계교 기자,곽우석 기자,윤신영 기자,진나연 기자 2024. 1. 1. 20:0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농어촌지역 중심 각종 인구지표 '위험'… 지자체 절반 넘어서
지방 소멸 현재진행형… 저출산·초고령화·젊은층 유출 심각
인프라 소외로 2030세대 수도권행… 지역 경쟁력 약화 악순환
■ 인구감소지역 현황 2023년 현재 89곳

지방소멸위기는 현재진행형이다. 저출산·초고령화가 맞물리면서 아기소리는 점점 사라지고, 일자리를 찾아 청년들이 하나둘 떠난 지방도시는 늙어가고 있다. 수도권은 날로 과밀화되어가고, 소멸위험지역은 전체 지방자치단체의 절반을 넘어섰다. 인구감소 시대, 소멸위기에 직면한 지방 살리기가 국가적 난제로 떠오른 가운데 충청권의 소멸위기 징후 및 인구 실태를 들여다본다.

충청권 지방소멸 위기가 가속화되고 있다. 저출산에 따른 인구감소는 물론 양질의 일자리·인프라 부족 등으로 인해 수도권 인구 유출이 빨라지면서 농어촌지역을 중심으로 각종 인구 지표가 위험 수위에 다다르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지역산업과 고용'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2월 기준 전체 228개 시·군·구 중 소멸위험진입·소멸고위험 등 소멸위험지역은 118곳(51.8%)이다.

지방소멸위험지수는 20-39세 여성인구 수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값으로, 지방의 소멸위험 정도를 측정한 지수다. 지방소멸위험지수는 저위험(1.5 이상), 정상(1.0-1.5 미만), 주의(0.5-1.0 미만), 위험진입(0.2-0.5 미만), 고위험(0.2 미만) 등 총 5단계로, 0.5 미만에 해당할 경우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된다.

대전의 지방소멸위험지수는 전국 평균 0.632보다 높은 0.755로, 소멸주의단계다. 자치구별로는 유성구 1.236, 서구 0.905, 대덕구 0.558, 동구 0.518, 중구 0.498 등 격차를 보였다.

1989년 충남도에서 대전직할시로 분리된 후 1990년 106만 명이던 시의 인구는 2013년 153만 3000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연평균 -0.63%씩 줄어들면서 2022년 145만 명이 붕괴, 2023년 11월 말 기준 144만 3106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다만 전국에서 유일하게 합계출산율과 인구 천 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출생률이 각각 0.03명(3.7%), 0.2명(3.9%)씩 증가하면서 비교적 인구 감소세가 완만하다는 분석이다.

신생도시인 세종시의 경우 소멸위험지수 1.0-1.5 미만으로 정상지역에 해당, 지방소멸위기에선 상대적으로 안전한 편이다.

세종 합계출산율은 2012년 시 출범(1.60명) 이후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으나 2015년 정점(1.89명)을 찍은 뒤 2022년(1.12명)까지 전국 평균과 유사한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2020년부터는 초저출산 지역으로 분류됐으며, 2022년 기준 합계출산율(1.12명)은 2015년(1.89명) 대비 0.77명, 약 41%나 감소했다.

지역별 인구 순 이동 현황을 살펴보면 세종지역 전체 인구 순유입은 2020년부터 주춤한 데 이어 2022년 시 출범 이후 최초로 월 평균 1000명대(1-12월 월평균 844명) 아래로 떨어졌다.

충남은 전체 15개 시·군 중 80%인 12개 시·군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서산·당진·홍성·공주·논산·보령·예산 등 7개 시·군은 소멸위험진입 단계, 금산·태안·청양·부여·서천은 소멸고위험 단계다. 천안은 정상지역, 아산과 계룡은 소멸주의단계로 분류됐다.

충남의 인구는 지난 1984년 305만 6198명으로 정점을 찍고 2022년 212만 3037명을 기록하며 39년 간 총 93만 3161명이 감소했다.

저출생에 따른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0.91명까지 하락했고 만혼과 비혼 증가 등으로 출산율은 더욱 하락하고 청년층의 수도권 유출 등으로 향후 도내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충북은 11개 전체 시·군 중 72.7%에 해당하는 8개 시·군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소멸위험지역은 청주·진천·증평 등 3곳, 소멸고위험지역은 단양·괴산·옥천·보은·영동 등 5곳이었다. 소멸위험지역에 시 단위지역이 포함되기 시작한 것은 이미 지방소멸이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해지고 있다는 뜻이다. 제천시의 경우 소멸위험지역에서 제외되긴 했지만, 인구 수가 지난 2019년 13만 4617명에서 2023년 11월 말 13만 508명으로 4109명이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청권 전반적으론 2030세대 청년층이 급격히 줄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그동안 충청권 4개 시·도 중 유일하게 증가세를 보이던 세종지역까지 2022년부터 감소세에 접어들었다.

충청권 4개 시·도 20-39세 인구는 2022년 12월 기준 총 135만 1656명으로, 불과 1년 새 2만 6103명이 줄어들었다.

2021년 12월 청년 인구가 10만 명대에 처음 진입한 세종에서도 감소세가 뚜렷했다. 세종지역 청년층은 2022년 6월부터 줄기 시작해 7개월간 월 평균 170명이 감소했고, 급기야 10만 명선이 무너져 2022년 말 9만 9462명까지 떨어졌다. 2020년 3-7월(5개월)을 제외하고 청년층 인구가 반 년 이상 지속 감소세를 보인 것은 세종시 출범 이후 처음이다.

게다가 교육·직업 등을 이유로 청년층이 타지역으로 빠져나가는 수도권 인구 쏠림 현상은 지역 경쟁력 약화 등의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각 지방자치단체가 인구소멸을 막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지만 감소하는 인구를 방어하기조차 버거운 상황이다.   박계교·곽우석·윤신영·진나연·석지연 기자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