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물상] 세계의 관심사 된 한반도 야경 사진
2006년 봄 남북 장관급 회담 취재차 평양에 갔을 때 일이다. 회담 둘째 날 저녁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유명 식당에서 저녁을 먹는데 전기가 나갔다. 한 번도 아니고 세 번이나 전깃불이 스르르륵 약해지더니 완전히 암흑이 됐다. 식당 접대원들은 이런 상황에 익숙한 듯 재빨리 초를 가져와 켜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장관급 회담 같은 큰 행사가 열리면 북한 당국도 신경 써서 화력발전소 가동을 늘린다는데 이런 일이 생겼다.
▶요즘은 우주에서도 한 나라의 경제 사정을 볼 수 있는 시대다. 북한의 전력난, 나아가 경제적 어려움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한반도 야경 위성사진이다. 다양한 사진이 있지만 공통적으로 북한은 영토 경계선조차 보이지 않고 평양 정도만 작은 점 하나가 찍혀 있다. 반면 밝은 불빛이 가득찬 한반도 남쪽은 북한 땅과 3면 바다의 어둠에 둘러싸인 섬처럼 보인다. 북한 정권이 주민 민생을 도외시한 채 핵·미사일 개발에만 매달린 결과를 이렇게 선명하게 보여주는 사진도 없다.
▶이 사진은 많은 사람에게 깊은 인상을 준 것 같다. 도널드 럼즈펠드 전 미 국방 장관은 2005년 방한했을 때 한반도 야경 사진을 펜타곤 자신의 집무실에 놓고 매일 한반도 문제를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같은 민족인 한국과 북한이 너무나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고 했다. 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도 2001년 당시 김대중 대통령을 만났을 때 이 사진 얘기를 꺼냈다. 로이터는 2014년 1월 국제 우주정거장에서 찍은 ‘한반도의 밤’ 모습을 ‘올해의 사진’으로 선정하기도 했다.
▶최근 한반도 야경 사진이 다시 한번 세계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이번엔 인공지능(AI)을 둘러싼 개발론과 규제론의 충돌 과정에서 다시 소환됐다. 한 AI 개발 예찬론자(기욤 베르동)가 지난달 10일 ‘한국에 다녀오는 길’이라는 제목으로 X(옛 트위터)에 한반도 위성사진을 올린 것이다. 그는 AI 기술을 가속화하면 한국처럼 빛나고, 이를 막으면 북한처럼 미래가 컴컴해진다고 비유했다.
▶2023년 마지막 날엔 일론 머스크가 자신이 소유한 X에 한반도의 밤 이미지를 공유했다. 머스크는 ‘낮과 밤의 차이’라는 제목과 함께 ‘미친 발상(Crazy idea): 한 나라를 자본주의 반, 공산주의 반으로 나누고 70년 후에 어떻게 됐는지 확인해 보자’는 글을 달았다. 1일 현재 5000만명 가까이가 이 이미지를 보았다. 머스크의 이 사진이 한 국가의 체제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새삼 일깨우고 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감사 전합니다”...총리실, 칠곡 할머니 래퍼들 부른 사연
- 도로석으로 쓴 돌덩이, 알고보니 현존 최고 ‘십계명 석판’
- “타인에 노출되는 것 두렵다”... 성인 5명 중 1명 심한 사회불안 느껴
- 직무대리 검사 ‘퇴정’ 논란…대검 “75년간 이어온 적법한 제도”
- 새 경북대 총장에 허영우 교수…“세계가 주목하는 ‘초일류 대학’ 만들겠다.”
- [속보] ‘공천 거래’ 의혹 김영선 전 의원 구속심사 마쳐...明은 진행중
- [속보] 새 대법관 후보 4명 “마용주·심담·조한창·홍동기”
- SK플라즈마, 인니 혈액제 공장에 인도네시아 국부펀드 유치 완료
- ‘K뷰티’ 훈풍 속 CJ올리브영, 3분기 매출 1조2300억원... 5분기 연속 1조원대
- 롯데면세점, 매출 전년比 8% 올랐지만 영업 손실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