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무 시간 길수록 삶의 만족도 하락…"행복 못 느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청년들의 근무시간이 길어질수록 삶의 만족도와 행복도가 낮아졌다.
1일 한국노동연구원의 학술지가 34세 이하 대졸 청년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삶의 만족도' 설문조사에서 52시간 초과 근무 청년들이 삶에 '매우 만족한다'는 답변은 16.2%에 그쳤다.
대체로 15시간 미만 초단시간 노동자와 52시간 초과 장시간 노동자의 삶 만족도가 낮고, 15시간 이상이면서 법정 근로시간인 주 40시간 이하로 근무하는 청년들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이뉴스24 박은경 기자] 청년들의 근무시간이 길어질수록 삶의 만족도와 행복도가 낮아졌다. 주 52시간 이상 일하는 청년들은 "행복도를 느끼지 못한다"는 답을 내놨다.
1일 한국노동연구원의 학술지가 34세 이하 대졸 청년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삶의 만족도' 설문조사에서 52시간 초과 근무 청년들이 삶에 '매우 만족한다'는 답변은 16.2%에 그쳤다. 52시간 초과 근무 청년 10명 중 삶에 만족하는 이들이 2명도 안 된다는 얘기다.
대체로 15시간 미만 초단시간 노동자와 52시간 초과 장시간 노동자의 삶 만족도가 낮고, 15시간 이상이면서 법정 근로시간인 주 40시간 이하로 근무하는 청년들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행복도 조사에서도 '전혀 느끼지 않았다'는 응답자 비율도 52시간 초과 근무 그룹 비중이 8.5%로 가장 높았다. 뒤를 이어 15시간 미만 근무 청년들의 응답 비중도 6.6%로 비교적 높았고 15~40시간 근무 청년들의 응답 비중은 4.3%로 가장 낮았다.
초단시간 근무자, 장시간 근무자의 행복도가 낮고 15∼40시간 근무자의 행복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이다.
박주상 지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은 "노동시간이 증가할수록 직무만족도, 삶의 만족도, 개인 행복도에 유의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비정규직보다 정규직 노동자에게서 노동시간 증가가 더 크게 행복 수준을 낮추고 있으므로 정규직 중심으로 나타나는 장시간 노동의 문제를 국제 수준에 맞게 조정해가는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박은경 기자(mylife1440@inews24.com)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여의뷰] '공천개입 의혹' 尹 육성 공개…정국, 격랑속으로
- [혁신, 스타트업을 만나다] 디지털 광고의 판을 바꾸다 - 플랫브레드
- [헬스+] 1년도 안 돼 '26㎏' 감량한 40대 엄마, 비결은?
- "오늘도, 해피니스"...웬디, 애교 자판기[엔터포커싱]
- 중고 '차차차' 타고 달린 KB캐피탈, 신한캐피탈 제쳤다
- "가격 낮출 이유 있나요"…매물 쌓여도 호가 '요지부동'
- 남편 '외벌이'로 키운 아내 주식…이혼 시 '재산분할' 될까? [결혼과 이혼]
- "제 차 못봤어요?"…트레일러 '사각지대' 끼어든 SUV [기가車]
- [오늘의 운세] 11월 1일, 바라는 것이 모두 잘 풀리게 되는 띠는?
- [속보] 美 9월 개인소비지출 물가, 전년비 2.1%↑…전망치 부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