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은 러시아, 2024년은 중국? 김정은·시진핑, 나란히 “친선의 해” 선포

김예진 2024. 1. 1. 13:3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정은·시진핑 “조·중 친선의 해 선포”
통일연구원 “중·북수교 75주년 파장,
미 대선과 함께 북한 대외관계 최대 변수”
“한반도 정세 낙관 어려워
대외신인도 유지 위한 정세관리 필요”

북한이 새해 첫날부터 중국과 교환한 친서를 공개하고 “조·중(북·중) 친선의 해를 선포한다”고 밝혔다. 북한이 국제정세를 신냉전으로 규정하고 공세적 대외관계 구축을 시도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북·러 밀착에 이어 올해가 북·중 밀착의 해 될지 관심이 쏠린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새해 첫날 신문인 1일자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새해를 맞이 서로 주고받은 축전을 게재했다. 

북한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 노동신문뉴스1
김 위원장은 시 주석에게 보낸 새해 기념 축전에서 “2024년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중화인민공화국사이의 외교관계설정 75돐이 되는 뜻깊은 해”라며 “조·중(북·중) 두 당과 정부가 올해를 《조중친선의 해》로 정한 것은 두 나라에서의 사회주의 건설이 새로운 전진단계에 들어서고 국제정세가 복잡다단한 속에서 전통적인 친선협조관계를 시대의 요구에 맞게 발전시켜나가려는 우리 두 나라 인민의 공동의 기대에 부합”된다고 했다.

이어 “《조중친선의 해》의 시작을 선포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하며 올해에도 사회주의를 위한 투쟁에서 맺어지고 공고화된 조중친선의 불패성이 남김없이 발휘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조중친선의 해》를 통하여 두 당, 두 나라는 정치, 경제, 문화를 비롯한 모든 분야에서 교류와 래왕을 긴밀히 하고 친선의 정과 단결의 뉴대를 더욱 두터이 하며 지역과 세계의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기 위한 공동의 투쟁에서 협동을 보다 강화해나감으로써 조중관계사에 새로운 한페지를 아로새길 것”이라고 덧붙였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2023년 12월 26일 당중앙위원회 본부 청사에서 소집된 제8기 제9차 전원회의 확대회의에 참석했다고 조선중앙TV가 2023년 12월 27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시 주석은 김 위원장에게 보낸 축전에서 “나는 당신과 함께 2024년을 《중조친선의 해》로 정한다는 것을 선포하고 각 분야에서 공동으로 기념활동들을 진행하여 중조관계발전에 새로운 활력을 부어넣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두 나라는 산과 강이 잇닿아있는 친선적인 린방”이라며 “로세대 령도자들이 친히 마련해준 중조친선은 피어린 혁명투쟁 속에서 굳건히 다져지고 사회주의건설 과정에 끊임없이 심화되였으며 국제정세변화의 시련을 이겨냈다”고 했다.

시 주석은 “최근 쌍방의 공동의 노력과 추동 밑에 전통적인 중조친선협조관계는 새로운 력사적 시기에 들어섰다”며 “쌍방은 전략적 의사소통을 긴밀히 하고 실무협조를 심화시키였으며 다무적인 국제문제들에서 조률과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중조관계의 끊임없는 발전을 추동하고 두 나라의 공동의 리익과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였다”고 밝혔다.

또한 “새 시기 새로운 정세 하에서 중국 당과 정부는 시종일관 전략적 높이와 장기적 각도에서 중조관계를 대하고 있다”며 “전통적인 중조친선협조관계를 훌륭히 수호하고 공고히 하며 발전시키는 것은 우리의 확고부동한 방침”이라고 했다.

이어 “중국 측은 조선 측과 함께 두 나라사이의 외교관계설정 75돐과 《중조친선의 해》를 계기로 전통적인 친선을 빛내이고 전략적 신뢰를 두터이 하며 교류와 협조를 증진시켜 중조관계가 시대와 더불어 전진하고 보다 큰 발전을 이룩하도록 추동함으로써 중조친선의 새로운 장을 공동으로 아로새기고 두 나라 인민들에게 보다 훌륭한 복리를 마련해주며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새로운 공헌을 할 용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은 지난 2023년 12월 29일 열린 노동당 중앙위원회의 4일차 전원회의에서 "2024년도 투쟁목표를 확정짓는 사업이 진행되고있다"고 조선중앙TV가 2023년 12월 30일 보도 했다. 조선중앙TV 화면 캡처
북한은 북·러 수교 75주년이었던 지난해 김정은-푸틴 정상회담을 하며 강력한 밀착을 대내외에 과시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활용한 북·러무기거래 의혹,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인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 지원 의혹 등으로 국제사회의 비난을 샀다. 북·중·러 밀착이 강화될 경우 한반도는 신냉전 대립의 ‘열점’으로 떠오를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미국과 갈등 완화를 꾀하고 있는 중국이 북·러 밀착에 거리두기를 하면서 우려는 완화되는 듯했다. 그러나 올해 북·중 수교 75주년을 맞으며 양측의 밀착이 강화될 경우 우려가 다시 커질 수 있다.

지난달 26∼30일 진행한 연말 전원회의(노동당 제8기 제9차 전원회의)에서 김 위원장은 “사회주의 나라들과 관계발전에 주력하면서 미국과 서방의 패권전략에 반기를 드는 반제자주적인 나라들과의 관계를 가일층 발전”시켜나가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노동신문은 이날 북·중 축전 교환 외에 외국에서 받은 신년 연하장을 공개하며 해당 국가를 열거하기도 했다. 중국 시 주석과 부인, 러시아 대통령, 베트남 공산당 중앙위 총비서, 베트남 주석, 타지키스탄 대통령,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 아르메니아 대통령, 아제르바이잔 대통령, 인도네시아 대통령, 벨라루스 대통령, 에티오피아 대통령 등이 연하장을 보냈다고 보도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AFP연합뉴스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은 31일 발간 전원회의 분석 자료에서 “2024년 북한의 대외관계에서 최대 변수는 미국 대선 결과와 함께 중·북 수교 75주년의 파장”이라고 밝혔다. 이어 “2024년 한반도 정세를 낙관하기 어렵고 북한의 긴장 조성 행위가 일어날 수 있다”며 “한국의 대외 신인도 유지를 위해 정세를 관리하는 안보 및 외교적 노력을 강화해나가야 하고 한·중관계와 한반도 정세에 미칠 영향에 능동적으로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로이터연합뉴스
국가정보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31일 전원회의 결과에 대해 “중·러·북 3국 간 연대를 통해 북한이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에 맞대응하는 한편, 한반도 주변 신냉전 구도를 강화해 체제생존을 도모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