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인상 종료 기대에…인도·베트남 뜨는 이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이 종료하리라는 기대에 투자자들의 시선이 신흥국으로 향하고 있다.
특히 미국과의 갈등, 경기 둔화로 중국의 투자 여건이 악화한 틈을 타 인도, 베트남 등이 대체 투자처로 부상하는 모습이다.
신승웅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다른 신흥국과 비교해 강한 이익 증가가 고금리 기조 속에서도 인도 증시에 외국인 순매수세를 이어간 주된 요인이었다"며 "내년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하가 시작되면 인도 주식시장으로 자금 유입은 더욱 가팔라질 전망"이라고 판단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금리인상 종료후 신흥국 자금유입 뚜렷
성장률 둔화 중국 대체 인도·베트남 등 주목
인도 니프티50지수 작년 한해 20% 넘게 올라
"금리인하 시작시 인도로 자금유입 더 빨라질것"
[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이 종료하리라는 기대에 투자자들의 시선이 신흥국으로 향하고 있다. 특히 미국과의 갈등, 경기 둔화로 중국의 투자 여건이 악화한 틈을 타 인도, 베트남 등이 대체 투자처로 부상하는 모습이다.
1일 인도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인도 증시 대표 지수인 니프티50은 지난해 2만7131.40에 거래를 마쳤다. 니프티50은 지난 한해 20% 넘게 상승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이 멈추면 달러 가치가 하락하며 신흥국의 투자 매력도가 높아진다. 과거 사례를 보면 연준의 금리인상 사이클 종료 후 완화 기조로 전환할 것이란 기대에 신흥국 외국인 증권자금 유입세는 뚜렷한 강화 흐름을 보였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연준의 금리 인상기인 지난 2015년 12월부터 2018년 12월 사이 222억5400만달러 수준이었던 신흥국 외국인 증권자금은 금리 유지기인 2018년 12월부터 2019년 6월 사이 426억7700만달러 수준으로 증가했다. 앞서 금리 인상기였던 2004년 6월부터 2006년 6월까지 228억8400만 달러 수준이었던 신흥국 외국인 증권자금은 이후 유지기인 2006년 6월 2007년 8월 사이엔 365억4100만달러 수준으로 늘어나기도 했다.
특히 인도는 6%대의 고성장세를 이어가며 중국을 대체할 투자처로 주목받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인도가 2024년 6.3%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세계 성장률(2.9%)의 두 배를 웃돈다. IMF는 인도가 2028년까지 세계 경제 성장의 18%를 차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신승웅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다른 신흥국과 비교해 강한 이익 증가가 고금리 기조 속에서도 인도 증시에 외국인 순매수세를 이어간 주된 요인이었다”며 “내년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하가 시작되면 인도 주식시장으로 자금 유입은 더욱 가팔라질 전망”이라고 판단했다.
이 같은 매력에 인도 주식시장에 투자하는 국내 금융상품도 쏟아지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과 삼성자산운용은 지난 4월 니프티50을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인 ‘TIGER 인도니프티50 ETF’와 ‘KODEX 인도Nifty50’을 각각 상장했고, 한국투자신탁운용은 지난달 인도 핵심 산업을 이끄는 5대 대표 그룹 주식에 투자하는 ‘한국투자인도5대대표그룹펀드’를 출시했다.
인도와 함께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베트남도 주목할 만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IMF는 베트남의 2024년 경제 성장률을 5.8%로 보고 있다. 문남중 대신증권 연구원은 “신흥국은 정책여력, 정치 상황, 대내외 건전성 등에 따라 국가별 차별화가 뚜렷하다”며 “베트남은 대외 교역 감소가 완화와 높은 자급률이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그간 달러가 약세를 보일 때마다 신흥국 투자의 중심에 섰던 중국의 투자 매력도는 떨어지고 있다. 대미 금리역전 심화와 위안화 약세, 미중 갈등에 따라 지난 2022년 초부터 중국의 외국인 증권자금 유출이 이어지고 있고 국내 투자자들도 중국 시장에서 빠져나오고 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국내 투자자들의 중국 주식 투자금액(매수 및 매도금액)은 17억9300만달러로 전년(37억1800만달러)에 비해 절반 넘게 줄었다. 김경환 하나증권 연구원은 “본질적으로 중국 펀더멘털에 대한 우려로 중국 증시는 글로벌 증시 회복 국면에서 소외되고 있다”며 “반등을 위해선 경제와 산업의 광범위한 수급 불균형 해소에 대한 증거, 실효성 있는 정책 구도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원다연 (here@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일론 머스크가 올린 한반도 위성 사진 “미친 아이디어”
- ‘살인사건 용의자’ 조폭 부두목…도주 8개월 만에 공개수배 [그해 오늘]
- 이승연 친모, 53년 만에 만난 남편에 "여자랑 같이 있었잖아"
- 이원종, 故이선균 언급 "좋아하는 후배 떠나…야만의 세월 반복 않길"[KBS 연기대상]
- 홍석천, 10년 만에 100억 차익 예상되는 건물은?[누구집]
- 엄마 낮잠 자는 사이...5살 남아, 16층서 추락해 사망
- 서귀포서 폭발음과 함께 전기 자전거 대여점서 화재
- "아이 학교 가기 전 이사가야죠"…대치·목동 학군지 전셋값 ‘쑥’
- 신촌 도로 역주행한 킥보드, 승용차와 충돌…1명 의식불명
- 태양광으로 전기차 충전…내년 ‘전력 직거래’ 시장 넓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