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신춘문예] 등장인물들의 목적·갈등, 무대 위의 긴장 담보할 수 있는 가능성 높아
응모작 97편은 현재 한국 사회의 절망적 상황을 보여주고 있었다. 코로나 팬데믹을 벗어나 표면적으로는 사람들이 밖으로 나와 서로 소통할 것 같았지만, 오히려 이전보다 더 폐쇄적이고, 절망, 우울, 불신, 폭력, 죽음이 넘실대고 있었다. 독백이나 방백을 통해 관객에게 직접 말하는 작품이 눈에 띄게 늘어난 것도 특징적이었다. 하지만 지나치게 사변적이거나 자기 넋두리에 그치는 측면이 있고 시대와 접점을 형성하기에는 부족해 보이는 작품이 많았다. 또한 근미래를 배경으로 하여 과학의 발달에 따른 폐해를 다룬 작품도 많이 보였으나 깊은 사유까지 도달한 작품은 찾기 어려웠다.
‘동파’ ‘부메랑, 그 임계점’ ‘구덩이’가 최종심에 올랐지만, 세 작품 중에서 선뜻 한 작품을 꼽기에는 각각 아쉬운 점이 보였다. ‘동파’는 전세 사기를 당한 후 생활고에 시달리는 부부의 고단한 삶의 풍경을 배수관이 얼어붙은 세탁기에 빗대어 생생하게 묘사하였으나 예측 가능한 전개와 감상적 결말이 아쉬웠다. ‘부메랑, 그 임계점’은 대한민국의 구조적 부조리와 소통 부재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모습은 흥미로웠으나 표층적 사건에 치우쳐 인물을 통한 심층적 주제 증명까지 이르지는 못했다. ‘구덩이’는 자살을 소재로 한 기시감이 있는 구성과 전개가 아쉬웠으나 희곡은 상연을 전제로 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등장인물들의 목적과 갈등의 조합이 무대 위의 긴장과 밀도감을 담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고 당선작으로 선정하였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